서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천왕은 고구려의 제13대 왕으로, 270년에 즉위하여 292년까지 재위했다. 재위 기간 중 숙신의 침입을 동생 달가를 보내 격퇴하고, 반란을 꾀한 동생 일우와 소발을 처형하는 등 왕권을 강화했다. 276년과 288년에는 신성을 순행하며 서쪽 변경을 다스렸으며, 292년에 사망하여 서천원에 장사되었다. 사후에는 서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92년 사망 - 무도황후
서진 무제 사마염의 황후 양지는 무원황후 양염의 사촌 동생으로, 양염의 유언에 따라 황후가 되었으나 가남풍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폐위되고 굶어 죽은 뒤 회제 사마치에 의해 황후로 복권되었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3세기 한국의 군주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고구려 국왕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고구려 국왕 - 보장왕
보장왕은 연개소문의 난으로 즉위하여 연개소문 사후 권력 다툼으로 혼란을 겪다 고구려 멸망 후 부흥을 시도하다 유배되어 사망했다.
서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약로(藥盧), 약우(若友) |
시호 | 서천(西川) |
별칭 | 서양왕(西壤王) |
능묘 | 서천원(西川原) |
신상 정보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292년 (음력) |
가족 관계 | |
부친 | 중천왕 |
모친 | 왕후 연씨(掾氏) |
배우자 | 왕후 우씨(于氏) |
자녀 | 봉상왕, 돌고 |
왕위 | |
작위 | 제13대 고구려 국왕 |
재위 기간 | 270년 10월 ~ 292년 (음력) |
전임자 | 중천왕 |
후임자 | 봉상왕 |
태자 시절 | |
작위 | 고구려 태자 |
재위 기간 | 255년 ~ 270년 10월 (음력) |
전임자 | 태자 연불 |
후임자 | 태자 상부 |
2. 생애
296년 모용외(慕容廆)의 침입 때 서천왕릉이 도굴당했는데, 도굴하던 자들이 갑자기 죽고 무덤 안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와 적군이 퇴각하였다고 한다.
2. 1. 즉위 초
255년에 태자가 되었고, 270년에 중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271년 정월에 서부(西部) 대사자(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을 왕후로 삼았으며, 7월에 국상 음우(陰友)가 죽자 그의 아들 상루(尙婁)를 국상으로 삼았다.
2. 2. 숙신과의 전쟁
280년 숙신(肅愼)이 쳐들어오자 서천왕은 동생인 달가(達賈)를 보내 이를 격퇴하게 했다. 달가는 단로성(檀盧城)을 빼앗아 추장을 죽이고, 6백여 가구를 부여 남쪽의 오천(烏川)으로 이주시켰으며 부락 예닐곱 곳을 복속시켰다. 서천왕은 달가를 안국군(安國君)으로 삼아 군대를 지휘하게 하였고, 양맥과 숙신의 여러 부락을 통솔하게 하였다.2. 3. 반란 진압
286년 동생 일우(逸友)와 소발(素勃)이 반란을 획책하자, 서천왕은 이들을 재상으로 삼는다고 속여 불러들여 체포·처형하였다. 이는 왕권 강화 과정에서 나타난 왕족 간의 갈등을 보여준다.2. 4. 지방 순행과 죽음
서천왕은 276년과 288년 두 차례에 걸쳐 신성(新城)으로 순행하였다. 이는 신성이 서쪽 변경의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288년의 순행은 3월에서 11월에 걸친 장기간의 순행이었다.292년에 왕이 죽자 서천원(西川原)에 장사지냈다.
3. 도굴 사건
296년 모용외가 쳐들어왔을 때 서천왕릉이 도굴당했는데, 이때 도굴하던 자들이 갑자기 죽고 무덤 안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와 이를 두려워한 적군이 퇴각하였다고 한다.
4. 가족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King Seocheon
http://rki.kbs.co.kr[...]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31
[2]
웹사이트
서천왕
http://www.cultureco[...]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2016-01-31
[3]
서적
Samguk Sagi(三國史記 卷第十七 髙句麗本紀 第五)
http://db.history.go[...]
2016-01-31
[4]
서적
Samguk Sagi(三國史記 卷第十七 髙句麗本紀 第五)
http://db.history.go[...]
2016-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