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 그래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 그래프는 그래프의 변을 정점으로, 인접한 변들을 연결하여 얻는 그래프이다. 원래 그래프의 각 변을 정점으로 나타내고, 공통 끝점을 공유하는 변에 해당하는 두 정점을 인접하게 연결하여 얻어진다. 휘트니 정리에 따르면, 두 연결 그래프의 선 그래프가 동형이면, 원래 그래프가 동형이거나, 특정 예외(삼각형 그래프와 클로 그래프)에 해당한다. 선 그래프는 클리크 분할과 9개의 금지된 유도 부분 그래프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Roussopoulos, Lehot, Sysło, Degiorgi, Simon에 의해 선형 시간 알고리즘으로 인식될 수 있다. 평면 그래프의 경우, 최대 차수가 3인 경우에만 선 그래프가 평면 그래프로 유지되며, 일반화된 개념으로 유향 그래프 및 하이퍼그래프에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래프족 - 척도 없는 네트워크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과학에서 연결 정도 분포가 멱법칙을 따르는, 즉 일부 허브 노드가 압도적으로 많은 연결을 가지는 불균등한 연결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바라바시-앨버트 모델로 설명된다.
  • 그래프족 - 정규 그래프
    정규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동일한 그래프를 의미하며, 각 꼭짓점이 k개의 변에 잇닿아 있는 그래프를 k-정규 그래프라고 하고, 여러 성질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선 그래프
기본 정보
선 그래프의 예시
선 그래프의 예시
유형그래프
연구그래프 이론
관련 용어
관련 개념그래프
꼭짓점

경로
인접성 행렬
그래프의 선
그래프 이론
정의그래프의 선 L(G)는 G의 변을 꼭짓점으로 가지고, G에서 공통 꼭짓점을 공유하는 변에 해당하는 L(G)의 두 꼭짓점이 인접하는 그래프임.
다른 이름수반 그래프, 변-꼭짓점 그래프, 변 그래프
사용 분야네트워크 분석
데이터 시각화

2. 정의

(무향 단순) 그래프 \Gamma의 선 그래프 L(\Gamma)는 다음과 같은 그래프이다.


  • V(L(\Gamma))=E(\Gamma). 즉, 선 그래프의 꼭짓점은 원래 그래프의 변과 일대일 대응한다.
  • E(L(\Gamma))=\{(v_1v_2)(v_2v_3)\colon v_1v_2,v_2v_3\in E(\Gamma)\}. 즉, 선 그래프의 변은 원래 그래프의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변과 일대일 대응한다.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 그 선 그래프 L(G)는 다음과 같은 그래프이다.

  • L(G)의 각 정점은 G의 변을 나타낸다.
  • L(G)의 두 정점은 해당 변이 G에서 공통의 끝점을 공유하는 경우("인접한")에만 인접한다.


즉, 각 변을 두 끝점의 집합으로 나타내어 G의 변의 교차 그래프이다.

3. 성질

연결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연결되어 있다. 원래 그래프에 임의의 두 변을 연결하는 경로가 있다면, 선 그래프에서는 이 경로에 해당하는 꼭짓점들이 경로를 형성한다.[3] 그러나 고립된 꼭짓점을 가진 비연결 그래프도 연결된 선 그래프를 가질 수 있다.[3]

선 그래프는 원래 그래프에 차수가 1이 아닌 단절선이 있을 때만 절점을 갖는다.[1]

\(n\)개의 꼭짓점과 \(m\)개의 변을 가진 그래프 \(G\)의 선 그래프 \(L(G)\)는 \(m\)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L(G)\)의 변의 수는 \(G\)의 각 꼭짓점 차수의 제곱의 합을 2로 나눈 값에서 \(m\)을 뺀 값과 같다.[4]

\(L(G)\)의 독립 집합은 \(G\)의 매칭과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특히, \(L(G)\)의 최대 독립 집합은 \(G\)의 최대 매칭과 같다. 최대 매칭은 다항 시간 안에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선 그래프의 최대 독립 집합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2]

그래프 \(G\)의 변 색수는 그 선 그래프 \(L(G)\)의 꼭짓점 색수와 같다.[5]

변-추이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꼭짓점-추이 그래프이다.[6]

만약 그래프 \(G\)가 오일러 사이클을 갖는다면, 즉 연결되어 있고 모든 꼭짓점의 차수가 짝수라면, \(G\)의 선 그래프는 해밀턴 그래프이다.[7]

선 그래프의 유도 부분 그래프로 존재할 수 없는 9개의 그래프


임의의 그래프 \(\Gamma\)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동치이다.[31][32]

  • \(L(\Gamma')\cong\Gamma\)인 그래프 \(\Gamma'\)이 존재한다.
  • \(\Gamma\)는 그림에 제시된 9개의 특정 그래프들을 유도 부분 그래프로 포함하지 않는다.


모든 선 그래프는 클로가 없는 그래프이며, 세 잎 트리 형태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가 없는 그래프이다.[18] 트리의 선 그래프는 정확히 클로가 없는 블록 그래프이다.[16]

3. 1. 휘트니 동형 정리

다이아몬드 그래프(왼쪽)와 더 대칭적인 선 그래프(오른쪽). 강한 휘트니 정리(Whitney's theorem)에 대한 예외이다.


연결 그래프의 선 그래프가 동형이면, 그 아래에 있는 그래프도 동형이다. 단, 삼각형 그래프 K|3영어와 클로 K|1,3영어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선 그래프는 동형이지만 원래 그래프는 동형이 아니다.[8]

K|3영어와 K|1,3영어 외에도, 선 그래프가 그래프 자체보다 더 높은 수준의 대칭성을 갖는 몇몇 예외적인 작은 그래프들이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그래프 K|1,1,2영어 (한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삼각형)는 네 개의 그래프 자기 동형 사상을 가지지만, 선 그래프 K|1,2,2영어는 여덟 개의 자기 동형 사상을 갖는다. 다이아몬드 그래프 그림에서 그래프를 90도 회전하는 것은 그래프의 대칭이 아니지만, 선 그래프의 대칭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예외적인 경우는 최대 4개의 정점을 갖는다. 휘트니 동형 정리의 강화된 버전은 4개 이상의 정점을 가진 연결 그래프에 대해, 그래프의 동형 사상과 선 그래프의 동형 사상 간에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고 명시한다.[9]

휘트니 동형 정리와 유사한 정리가 멀티 그래프의 선 그래프에 대해서도 증명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더 복잡하다.[29]

3. 2. 선 그래프의 반복

유한 연결 그래프에 선 그래프 연산을 반복하면 다음 네 가지 현상 중 하나가 나타난다.[33]

  • 만약 \(\Gamma\)가 순환 그래프라면 이는 항등열이다.
  • 만약 \(\Gamma\)가 완전 이분 그래프 \(K_{1,3}\)라면 \(C_3\cong L(G)\cong L(L(G))=\cdots\)이다.
  • 만약 \(\Gamma\)가 경로 그래프 \(P_n\)이라면 \(L(P_n)=P_{n-1}\)이므로 결국 공 그래프 \(P_0\)이 된다.
  • \(\Gamma\)가 순환 그래프, 경로 그래프, \(K_{1,3}\)이 아니라면, \(|V(L^n(\Gamma))|\)와 \(|E(L^n(\Gamma))|\)는 무한대로 발산한다.


연결 그래프가 아닌 경우, 각 연결 성분에 위 분류가 적용된다.

아드리안 반 루이젠(Adriaan van Rooij)과 허버트 윌프(Herbert Wilf)는 1965년에 그래프 수열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G, L(G), L(L(G)), L(L(L(G))), \dots.\)

그들은 \(G\)가 유한한 연결 그래프일 때, 이 수열에 대해 네 가지 동작만이 가능함을 보였다.

  • 만약 \(G\)가 사이클 그래프이면, \(L(G)\)와 이 수열의 각 후속 그래프는 \(G\) 자체와 동형이다. 이것들은 \(L(G)\)가 \(G\)와 동형인 유일한 연결 그래프이다.[20]
  • 만약 \(G\)가 갈고리 \(K_{1,3}\)이면, \(L(G)\)와 수열의 모든 후속 그래프는 삼각형이다.
  • 만약 \(G\)가 경로 그래프이면, 수열의 각 후속 그래프는 결국 빈 그래프로 수열이 종료될 때까지 더 짧은 경로이다.
  • 나머지 모든 경우에, 이 수열의 그래프 크기는 결국 무한대로 증가한다.


\(G\)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분류는 \(G\)의 각 구성 요소에 개별적으로 적용된다.

경로가 아닌 연결 그래프의 경우, 라인 그래프 연산의 충분히 높은 반복 횟수는 해밀턴 그래프를 생성한다.[21]

3. 3. 다른 그래프와의 관계


  • 연결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연결되어 있다. 만약 그래프 G가 연결되어 있다면, 임의의 두 변을 연결하는 경로가 존재하고, 이는 L(G)의 임의의 두 꼭짓점을 포함하는 경로로 변환된다. 그러나 고립된 꼭짓점을 가지고 있어서 연결되지 않은 그래프 G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된 선 그래프를 가질 수 있다.[3]
  • 선 그래프는 기본 그래프에 차수가 1이 아닌 단절선이 있는 경우에만 절점을 갖는다.[1]
  • n개의 꼭짓점과 m개의 변을 가진 그래프 G의 경우, 선 그래프 L(G)의 꼭짓점 수는 m이고, L(G)의 변의 수는 G의 꼭짓점 차수의 제곱의 합의 절반에서 m을 뺀 값이다.[4]
  • L(G)의 독립 집합은 G의 매칭에 해당한다. 특히 L(G)의 최대 독립 집합은 G의 최대 매칭에 해당한다.[2]
  • 그래프 G의 변 색수는 선 그래프 L(G)의 꼭짓점 색수와 같다.[5]
  • 변-추이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꼭짓점-추이 그래프이다.[6]
  • 만약 그래프 G가 오일러 사이클을 가지고 있다면, 즉, G가 연결되어 있고 각 꼭짓점에 짝수 개의 변이 있다면, G의 선 그래프는 해밀턴 그래프이다.[7]
  • 두 개의 단순 그래프가 그래프 동형이면, 그들의 선 그래프도 동형이다. 휘트니 그래프 동형 정리는 연결된 그래프의 모든 쌍에 대해 이러한 관계의 역을 제공한다.
  • 모든 선 그래프는 클로가 없는 그래프이며, 세 잎 트리 형태의 유도된 부분 그래프가 없는 그래프이다.[18]
  • 트리의 선 그래프는 정확히 클로가 없는 블록 그래프이다.[16]

4. 예

다음은 그래프(왼쪽)와 그 선 그래프(오른쪽)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선 그래프의 각 꼭짓점은 원래 그래프에서 해당 모서리의 양 끝점 쌍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의 녹색 꼭짓점 1,3은 왼쪽의 파란색 꼭짓점 1과 3 사이의 모서리에 해당한다. 녹색 꼭짓점 1,3은 다른 세 개의 녹색 꼭짓점과 인접하는데, 이는 1,4 및 1,2 (파란색 그래프에서 꼭짓점 1을 공유하는 모서리에 해당)와 4,3 (파란색 그래프에서 꼭짓점 3을 공유하는 모서리에 해당)이다.

완전 그래프 K_n의 선 그래프는 삼각 그래프, 존슨 그래프 J(n, 2), 또는 크네저 그래프 KG_{n,2}의 여그래프라고도 불린다.

5. 특징화

선 그래프는 다른 그래프의 간선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클리크 분할: 선 그래프 L(G)는 클리크(모든 정점이 서로 연결된 부분 그래프)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L(G)의 각 정점은 정확히 두 개의 클리크에 속해야 한다.[18] 이러한 클리크 분할이 존재하고, L(G)의 두 정점이 동일한 두 개의 클리크에 모두 속하지 않는다면, L(G)는 어떤 그래프의 선 그래프가 된다.

클리크로 분할된 선 그래프

  • 휘트니 정리:연결 그래프의 선 그래프가 동일하면, 원래 두 그래프도 동일하거나 특정한 예외 경우(완전 그래프 K3, 완전 이분 그래프 K1,3 또는 정점이 없거나 1개인 그래프)에 해당한다.
  • 베이네케 정리: 선 그래프는 9개의 특정한 그래프를 유도 부분 그래프로 포함하지 않는다. 이 9개의 그래프는 와 같다. 즉, 어떤 그래프가 이 9개 그래프 중 하나라도 유도 부분 그래프로 가지면, 그 그래프는 선 그래프가 아니다.[19]


예를 들어, 다음 그래프는 중심의 정점에서 위, 왼쪽, 오른쪽으로 뻗어 나가는 세 간선이 하나의 클리크에 속할 수 없기 때문에 선 그래프가 아니다.



이는 클리크 분할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며, 베이네케 정리에서 금지된 그래프 중 하나(K1,3)를 포함하므로 선 그래프가 될 수 없다.

6. 알고리즘

Roussopoulos, 1973와 Lehot, 1974는 선 그래프를 인식하고 원래 그래프를 재구성하는 선형 시간 알고리즘을 설명했다.[1] Sysło, 1982는 이러한 방법을 방향 그래프로 일반화했다.[2] Degiorgi, Simon, 1995는 정점 삽입 및 삭제에 따라 동적 그래프를 유지하고 각 단계에서 변경된 에지 수에 비례하는 시간 내에 입력의 선 그래프 표현(존재하는 경우)을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구조를 설명했다.[3]

Roussopoulos, 1973와 Lehot, 1974의 알고리즘은 홀수 삼각형(선 그래프에서 삼각형 꼭짓점의 홀수 개수에 인접한 다른 정점이 있는 속성이 있는 삼각형)과 관련된 선 그래프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1] 그러나 Degiorgi, Simon, 1995의 알고리즘은 휘트니의 동형 정리만 사용한다.[3] 나머지 그래프가 선 그래프가 되도록 하는 삭제를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 복잡하지만, 정적 인식 문제에 특화되면 삽입만 수행하면 되며 알고리즘은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 입력 그래프 ''L''을 한 번에 하나의 정점을 추가하여 구성하고, 각 단계에서 이전에 추가된 정점과 인접한 정점을 추가할 정점을 선택한다. ''L''에 정점을 추가하는 동안, 그래프 ''G''를 유지한다. 알고리즘이 적절한 그래프 ''G''를 찾지 못하면 입력은 선 그래프가 아니며 알고리즘이 종료된다.
  • ''G''에 네 개 이하의 정점이 있는 그래프에 정점 ''v''를 추가할 때, 선 그래프 표현이 고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증가된 그래프는 선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므로 무차별 대입 검색을 통해 상수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다.
  • 다른 그래프 ''G''의 선 그래프와 같은 더 큰 그래프 ''L''에 정점 ''v''를 추가할 때, ''S''를 ''L''에서 ''v''의 이웃에 해당하는 에지로 형성된 ''G''의 부분 그래프로 한다. ''S''가 하나의 정점 또는 두 개의 인접하지 않은 정점으로 구성된 정점 덮개를 갖는지 확인한다. 덮개에 두 개의 정점이 있는 경우, 이 두 정점을 연결하는 에지(''v''에 해당)를 추가하여 ''G''를 증가시킨다. 덮개에 정점이 하나만 있는 경우, 이 정점에 인접한 새로운 정점을 ''G''에 추가한다.


각 단계는 상수 시간이 소요되거나 ''v''의 이웃 수에 비례하는 크기의 그래프 ''S'' 내에서 상수 크기의 정점 덮개를 찾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체 알고리즘에 걸리는 총 시간은 모든 정점의 이웃 수의 합에 비례하며, 이는 (핸드셰이킹 보조정리)에 따라 입력 에지 수에 비례한다.

7. 일반화

중간 그래프는 평면 그래프의 선 그래프와 관련되며, 다면체 절단 연산과 관련이 있다. 최대 정점 차수가 3인 평면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평면 그래프이며, 모든 평면 임베딩은 임베딩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차수가 더 높은 평면 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비평면 그래프가 될 수 있다. 중간 그래프는 최대 차수가 3인 평면 그래프의 선 그래프와 일치하지만, 항상 평면 그래프이다. 중간 그래프는 라인 그래프와 동일한 정점을 가지지만, 엣지는 잠재적으로 더 적다. 정다면체 또는 단순 다면체의 경우, 중간 그래프 연산은 다면체의 각 정점을 그에 인접한 모든 엣지의 중점을 통과하는 평면으로 잘라내는 연산으로 기하학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두 번째 절단, 퇴화 절단, 또는 정류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22][23][24][25][26][27]

그래프의 전체 그래프는 정점 또는 변을 정점으로 가지며, 두 요소가 인접하거나 인접할 때마다 두 요소 사이에 변을 갖는다. 전체 그래프는 각 변을 세분화한 다음 세분화된 그래프의 제곱을 취하여 얻을 수도 있다.[28]

선 그래프의 개념은 멀티그래프인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멀티그래프의 경우, 동일한 선 그래프를 갖는 비동형 그래프 쌍의 수가 더 많다. 예를 들어 완전 이분 그래프는 동일한 수의 간선을 가진 쌍극자 그래프 및 섀넌 멀티그래프와 동일한 선 그래프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hitney의 동형 정리와 유사한 내용들이 이 경우에도 여전히 파생될 수 있다.[29]

반복된 선 유향 그래프로서의 드 브루인 그래프 구성


선 그래프를 유향 그래프로 일반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향 그래프라면, 이의 유향 선 그래프는 의 각 변에 대해 하나의 정점을 갖는다. 의 선 유향 그래프의 각 변은 에서 길이가 2인 유향 경로를 나타낸다. 드 브루인 그래프는 완전 유향 그래프에서 시작하여 이 유향 선 그래프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선 그래프에서 원래 그래프의 차수인 각 정점은 선 그래프에서 개의 가장자리를 생성한다. 이는 의 고차수 노드가 선 그래프에서 과도하게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중 가장자리가 있는 선 그래프인 가중 선 그래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의 가장자리와 가 차수인 정점에서 만나면 선 그래프에서 두 정점와 를 연결하는 가장자리에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하이퍼그래프의 선 그래프는 집합족의 집합의 교차 그래프와 동일하다.

분리 그래프의 분리 그래프는 의 각 변에 대해 정점을 만들고, 의 두 변이 공통된 정점을 "가지지" 않는 경우, 에서 해당 정점에 해당하는 변 사이에 변을 만든다.[30]의 클리크는 의 독립 집합에 해당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참조

[1] 학술 p. 71
[2] 서적 Combinatorial Optimization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Interfac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학술 p. 32 https://books.google[...]
[4] 학술 Theorem 8.1, p. 72
[5] 서적 Graph The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서적 Topics in graph automorphisms and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학술 Theorem 8.8, p. 80
[8] 학술 Theorem 8.3, p. 72
[9] 학술
[10] 저널 Which graphs are determined by their spectrum? https://research.til[...]
[11] 학술 Theorem 8.6, p. 79
[12] 저널 The strong perfect graph theorem http://annals.prince[...]
[13] 학술 Theorem 8.7, p. 79
[14] 학술
[15] 저널 Graphs with 1-factor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6] 학술 Theorem 8.5, p. 78
[17] 저널 Maximum induced trees in graphs
[18] 학술 Theorem 8.4, p. 74
[19] 학술
[20] 학술
[21] 학술 Theorem 8.11, p. 81
[22] 학술
[23] 저널 The medial graph and voltage-current duality
[24] 서적 Combinatorial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York, 1985) New York Acad. Sci.
[25] 서적 Polyhedra: A Visual Approac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Space Structures—their Harmony and Counterpoint Birkhäuser
[27] 웹사이트 Rectification
[28] 학술 p. 82
[29] 학술
[30] 저널 The Clique Complex and Hypergraph Matching 2001-01-01
[31] 서적 Beiträge zur Graphentheorie Teubner 1968
[32] 저널 Characterizations of derived graphs 1970
[33] 저널 The interchange graph of a finite grap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