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강 구는 타이중 분지 북단에 위치한 타이중시의 구이다. 과거 신광장으로 불렸으며, 한족에 의해 개발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저라현, 장화현을 거쳐 대만현에 속했고, 일본 통치 시대에는 신강, 사구, 삼각자의 3개 구역으로 나뉘었다. 1920년 펑위안 군 신강장으로 개편되었으며, 대만 광복 후 타이중 현 신강향이 되었다. 2010년 타이중 현시 합병 및 직할시 승격으로 선강 구가 되었다. 행정 구역은 16개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중 시립 선강 고급공업고등학교, 선강 국민중학교, 선전 국민중학교, 여러 초등학교가 있다. 국도 1호선과 4호선이 지나가며, 타이완 풍선 박물관, 소운산장 등 관광 명소와 용안, 여지 등의 특산품이 있다.
선강 구는 타이중 분지의 북단에 위치하고, 다두산 대지의 동쪽, 다자갑시의 남안, 타이중시의 북서단에 위치한다. 동쪽은 펑위안 구와, 서쪽은 칭수이 구와, 남쪽은 다야 구 및 탄쯔 구와, 북쪽은 다자갑시를 사이에 두고 허우리 구와 접하고 있다. 동서 약 9.01km, 남북 약 7.61km이다.
선강 구는 한족, 주로 광동 출신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새로이 열린 광대한 평원'이라는 의미의 신광장(新廣莊)으로 불리다가, 발음이 비슷한 신강(神岡)으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1]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음)
2. 지리
다두산 대지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세는 다소 높으며, 최고 해발은 207.2m, 최저 해발은 110m로, 동서에 비해 중앙부가 움푹 들어간 지형이다. 지질은 타이중 분지 북단의 다자갑시의 충적선으로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지의 충적층 외에는 대부분 사력과 점토의 혼합 지층이다.
기후는 아열대 기후에 속하며, 연중 온도 차가 적다. 연평균 기온은 22.3°C이며, 연간 강수량은 1,800mm~2,000mm이다. 4월부터 6월까지가 우기로, 8월부터 9월까지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3. 역사
정성공 통치 시기에는 천흥주, 청나라 통치 초기인 1684년에는 제라현, 1723년 장화현 설치 이후에는 장화현에 속했다. 옹정 말년에는 광동 출신 장달경, 장승조 등이 타이완으로 이주하여 사구(만흥장), 북장, 부수(홍수두) 등을 개발했다. 도광 22년(1842년)에는 천주인들이 이주하여 취락을 형성했다. 1887년 대만성 설치로 타이중 지구에 대만현이 설치되면서 대만현에 귀속되었다.[1]
일제강점기에는 신코(神岡), 샤코(社口), 산카쿠시(三角仔)의 3개 구로 분할되었다가, 1920년 타이중 주 도요하라 군 신코 장(神岡庄)으로 개편되었다. 광복 후 타이중 현 선강향으로 개칭되었고, 2010년 직할시 승격과 함께 선강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1]
3. 1. 일제강점기 이전
한족에 의한 선강 구 개발은 주로 광동 출신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새로이 열린 광대한 평원'이라는 의미로 신광장(新廣莊)이라 불렸다. 이후 신광(新廣)과 신강(神岡)의 발음이 유사하여, 복건계 주민들이 혼동하면서 신강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고 여겨진다.[1]
정성공 통치 시기에 선강은 천흥주에 속했다. 청나라 통치가 시작되면서 1684년 1부 3현 설치로 제라현에 속하게 되었다. 1723년 제라현이 분할되어 장화현이 설치되면서 창화현 관할이 되었고, 묘무동속동보안리사(猫霧東梀東堡岸裡社)로 개칭, 속칭은 아하파장(阿河巴莊)이었다. 옹정 말년, 광동 출신 장달경, 장승조 등이 타이완으로 이주하여 대규모 개발을 진행했다. 이때 사구(만흥장), 북장, 부수(홍수두) 등이 개발되었다. 도광 22년(1842년) 선강에 처음으로 장(莊)이 설치되고 천주인이 다수 이주하여 취락을 형성했다. 1887년 청의 대만성 설치로 타이중 지구에 대만현이 설치되면서 선강도 대만현에 귀속되었다.[1]
3. 2. 일제강점기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이 시작되면서, 선강 지구는 신코(神岡), 샤코(社口), 산카쿠시(三角仔)의 3개 구로 분할되었지만, 1920년 지방 제도 실시로 타이중 주 도요하라 군 신코 장(神岡庄)으로 개편되었다.
3. 3. 현대
정씨 정권 시대, 선강은 천흥주에 속했으며, 그 후 청나라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 1684년에 1부 3현을 설치하여 저라현에 귀속되었다. 1723년에 저라현이 분할되어 장화현이 설치되자, 장화현의 관할 하에 놓여, 묘무동추동보안리사로 개칭되었으며, 속칭은 "아하파장"이라고 했다. 옹정 말년이 되자, 광동 출신의 장달경, 장승조 등이 대만으로 이주하여, 이 지역에서 대규모 개발을 했다. 이때 형성된 곳은 사구(만흥장), 북장, 부전(홍전두) 등이 개발되었다. 도광 22년이 되자 선강에 처음으로 "장"이 설치되었고, 천주 사람들이 다수 이주하여 집락을 형성했다. 1887년에 복건대만성이 설치되자, 타이중 지역에는 대만현이 설치되었고, 선강도 대만현에 속했다.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이 시작되자, 선강 지구는 "신강", "사구", "삼각자"의 3구로 분할되었으나, 1920년의 지방 제도 실시와 함께 타이중 주 펑위안 군 신강장으로 되었다. 대만의 중화민국 편입 후 타이중 현 선강향으로 개칭되었고, 2010년 12월 25일 타이중 현시 합병·직할시 승격과 함께 선강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4. 행정 구역
리 신강리, 북장리, 장전리, 장후리, 전전리, 산피리, 전도리, 신장리, 사구리, 대사리, 안리리, 삼각리, 사남리, 계주리, 신주리, 풍주리
5. 경제
6. 교육
선강구에는 고등학교 1개교, 국민중학교 2개교, 국민소학교 5개교가 있다.
6. 1. 고등학교
타이중 시립 선강 고급공업고등학교
6. 2. 중학교
6. 3. 초등학교
학교 이름 |
---|
타이중시 신강구 신강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신강구 펑저우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신강구 서커우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신강구 안리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신강구 첸터우 국민소학교 |
7. 교통
국도 1호선과 국도 4호선이 선강 구를 통과한다.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고속도로 | 고속도로 1호 (타이완) | 펑위안 나들목(IC) ~ 타이중 분기점(JCT) |
국도 | 국도 4호 타이중 환상선 | 선강 나들목(IC) ~ 타이중 분기점(JCT) |
성도 | 타이 10선 |
8. 관광
- 타이완 풍선 박물관
- 소운산장
- 안리사 고비정
- 사커 임택
- 탄야신 자전거 도로
- 펑저우대명궁
- 조청궁 천사묘
- 전두 장씨 종사
- 신강 선민 영탑
9. 특산품
10. 저명한 출신 인물
- 장훙루, 입법원 의원
참조
[1]
웹사이트
2014 Local Elections
http://vote2014.nat.[...]
2014-12-27
[2]
문서
「州、廳ノ位置、管轄區域及郡市ノ名稱、位置、管轄區域」大正九年八月十日、臺灣總督府令第四十七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