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순은 설씨 가문의 인물로, 설문질의 후손이다. 설철독은 설순의 증조부이고, 설손은 조부이며, 설경수는 부친이다. 설장수는 백부이고, 설미수는 숙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 설씨 (설손) - 설송웅
    설송웅은 4.19 혁명 당시 이승만 대통령에게 하야를 요구한 시민 대표 중 한 명이자 박정희 정권 시절 대통령 경호실 경호원이었으며, 용산구청장과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자 행정가이지만 잦은 당적 변경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역사 강사 설민석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다.
  • 경주 설씨 (설손) - 설미수
    설미수는 원나라 고창 출신으로 고려 말과 조선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조선 건국 후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둔전제 실시를 건의하며 호조, 공조, 예조 판서를 역임하다 1415년에 사망한 문신이다.
  • 1435년 사망 - 선덕제
    선덕제는 명나라의 5대 황제로, 뛰어난 능력과 정치적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통치를 이룩하고 정화의 남방 항해를 재개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환관의 권력 강화는 비판받기도 하며, 문인화가로서 재능도 보인 그의 치세는 명나라 전성기로 평가된다.
  • 1435년 사망 - 조반나 2세
    조반나 2세는 1414년부터 1435년까지 나폴리 여왕으로 재임하며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서 나폴리를 통치했고 예술과 문학을 후원했지만 후계자를 남기지 못해 앙주 가문의 르네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 조선의 학자 - 김건순
    김건순은 조선 후기 노론 명문가 출신으로 천주교에 입교하여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며 정약종과 함께 《성교전서》를 저술하던 중 황사영에 의해 순교자로 기록되었다.
  • 조선의 학자 - 전봉준
    전봉준은 조선 말기 동학 농민 혁명의 지도자로, 부패한 관리 처벌과 일본 세력 축출 등을 주장하며 농민 운동을 이끌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혁명 정신은 민주주의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설순
기본 정보
한글설 순
한자偰循
일본어 (히라가나)せつ じゅん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Seol Su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Sŏl Sun
참고 자료
출처岸本美緒・宮嶋博史 (1998-04-01). 《明清と李朝の時代》. 世界の歴史 (12). 中央公論社. ISBN 4124034121. p. 16.

2. 가계

관계이름
증조고조부설문질
증조부설철독
조부설손
설경수
백부설장수
숙부설미수


2. 1. 설씨 가문의 기원

설씨 가문의 시조 및 초기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증조고조부설문질
증조부설철독
조부설손
설경수
백부설장수
숙부설미수


2. 2. 주요 인물

관계이름
증조고조부설문질
증조부설철독
조부설손
설경수
백부설장수
숙부설미수


2. 2. 1. 설문질

偰文質|설문질중국어설손의 증조부이자, 설철독의 고조부이다.[1]

2. 2. 2. 설정독

관계이름
증조고조부설문질
증조부설철독
조부설손
설경수
백부설장수
숙부설미수


2. 2. 3. 설손

설경수의 아버지이자, 설문질의 증손이며, 설철독의 손자이다. 설장수, 설미수의 형이다.[1]

2. 2. 4. 설경수

雪景洙|설경수중국어설손의 아들이자 설문질의 5대손이다. 설철독의 손자이며, 설장수, 설미수와 형제이다.

2. 2. 5. 설장수

설경수의 형이자 설손의 장남이다.[1]

2. 2. 6. 설미수

설미수는 설순의 숙부이다.

참조

[1] 서적 明清と李朝の時代 "[[中央公論新社|中央公論社]]" 1998-04-01
[2] 기록 《세종실록》 권70, 세종 17년(1435년) 10월 21일(기미) 4번째 기사
[3] 기록 《세종실록》 권27, 세종 7년(1425년) 1월 16일(정해) 1번째 기사; 《세종실록》 권70, 세종 17년(1435년) 10월 21일(기미) 4번째 기사
[4] 간행물 《국조방목》(한국학중앙연구원), 병과 7인, 설순
[5] 기록 《세종실록》 권7, 세종 2년(1420년) 3월 16일(갑신) 1번째 기사
[6] 기록 《세종실록》 권13, 세종 3년(1421년) 10월 26일(을묘) 2번째 기사
[7] 기록 《세종실록》 권 42, 세종 10년(1428년) 10월 3일(신사) 1번째 기사
[8] 기록 《세종실록》 권 56, 세종 14년(1432년) 6월 9일(병신) 2번째 기사
[9] 기록 《세종실록》 권 64, 세종 16년(1434년) 6월 26일(신미) 2번째 기사; 권 65, 세종 16년(1434년) 7월 27일(임인) 2번째 기사
[10] 문헌 서거정, 《필원잡기》 권 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