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설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손은 위구르 출신으로, 원나라에서 벼슬을 지내다가 고려 공민왕 때 귀화한 인물이다. 1345년에 진사시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황태자를 가르치기도 했다. 승상과의 갈등으로 지방 수령으로 나갔다가 고려로 망명하여 공민왕의 후대를 받았다. 공민왕은 그에게 작위와 토지를 하사했으며, 설손은 1360년에 사망했다. 작품으로는 《근사재일고》가 있었으나 현재는 유실되었고, 시와 산문이 《동문선》에 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구르계 한국인 - 설장수
    설장수는 위구르 고창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왜구 격퇴, 조선 개국공신 책록, 명나라 외교 활동 기여, 사역원 제도 정비, 《직해소학》 저술 등의 활동을 한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 위구르계 한국인 - 장순룡
    장순룡은 드라마 《기황후》 등장인물로, 배우 김명국이 연기했으며, 《무신》, 《정도전》, 《징비록》, 《옥중화》, 《미스터 션샤인》 등 다수 드라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한다.
  • 고려의 무슬림 - 장순룡
    장순룡은 드라마 《기황후》 등장인물로, 배우 김명국이 연기했으며, 《무신》, 《정도전》, 《징비록》, 《옥중화》, 《미스터 션샤인》 등 다수 드라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한다.
  • 고려의 무슬림 - 라마단 빈 알라웃딘
    라마단 빈 알라웃딘은 광저우 회성사 묘지 비문을 통해 생애가 알려진 고려 출신 다루가치로, 아랍어와 한문으로 기록된 비문을 통해 그의 출신, 거주지, 직업, 사망일 등을 알 수 있다.
  • 경주 설씨 (설손) - 설송웅
    설송웅은 4.19 혁명 당시 이승만 대통령에게 하야를 요구한 시민 대표 중 한 명이자 박정희 정권 시절 대통령 경호실 경호원이었으며, 용산구청장과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자 행정가이지만 잦은 당적 변경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역사 강사 설민석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다.
  • 경주 설씨 (설손) - 설미수
    설미수는 원나라 고창 출신으로 고려 말과 조선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조선 건국 후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둔전제 실시를 건의하며 호조, 공조, 예조 판서를 역임하다 1415년에 사망한 문신이다.
설손
偰遜
한글설손
한자偰遜
일본어 (히라가나)せつ そん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Seol So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Sŏl Son
참고 문헌
도서 정보기시모토 미오・미야지마 히로시, 《명청과 이조의 시대》, 주오코론신샤, 1998년 4월 1일

2. 가계

인물관계설명
율른 테뮈르(Yulïn temür[12], 嶽璘帖穆爾)고조할아버지칭기즈 칸의 정복 전쟁을 도우면서 많은 전공을 세웠고,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죽은 뒤에는 선력보덕공신(宣力保德功臣)으로 추증되었다.[3]
카라 부카(Qara buqa, 合剌普華)증조할아버지학문과 교육에 큰 관심을 보였다.[4]
설문질(偰文質)할아버지열 살 때 자신의 살을 베서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도 하였다.[5]
설철독(偰哲篤)아버지이부상서(吏部尚書),[6] 회남행성좌승(淮南行省左丞),[7] 강서행성우승(江西行省右丞)[4] 등을 지냈으며, 《요사》(遼史)의 제조관이었다.[8]



설손은 본래 위구르 사람으로, 조상 대대로 설련하(偰輦河: 현재의 셀렝가강)에 살았으므로 설(偰)로 성씨를 삼았다.[2]

3. 생애

1345년(원 순제 13년; 고려 충목왕 원년)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해[9] 한림응봉문자(翰林應奉文字)·선정원단사관(宣政院斷事官)을 지내고 단본당(端本堂) 정자(正字)로 선발되어 황태자에게 경전(經典)을 가르쳤다.[2] 그러나 승상 카마(哈麻)[10]와 마찰이 있어[2] 단주(單州: 현 중국 산둥성 산현) 수령으로 나갔다가 부친상을 당하자 대령(大寧)에서 우거했다.[2][9]

1358년(공민왕 7년) 홍건적이 대령을 침범하자 병란을 피해 고려로 왔다. 공민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황태자를 단본당(端本堂)에서 시종하면서 설손과 구면이 있었으므로 크게 후대했다.[9] 공민왕은 그에게 집을 하사하고 고창백(高昌伯)으로 봉했다가[11] 부원후(富原侯)로 다시 봉하고 부원(富原: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마포구)의 농토를 하사했다. 1360년(공민왕 9년)에 사망했다.[2]

4. 가족

위구르 사람으로 조상 대대로 셀렝가강에 살았으므로 설(偰)로 성씨를 삼았다.[2]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율른 테뮈르(嶽璘帖穆爾|악린첩목이mn)[3]칭기즈 칸의 정복 전쟁을 도움[3]
증조부카라 부카(合剌普華|합랄보화mn)[4]학문과 교육에 큰 관심[4]
조부설문질[5]10세 때 자신의 살을 베어 어머니의 병을 고침[5]
설철독[4]이부상서, 회남행성좌승, 강서행성우승 등을 역임[4]
본인설손
조씨(趙氏)[13]
장남설장수
차남설연수
삼남설복수
사남설경수
오남설미수
손자설순[14]
숙부설첩해(偰帖該|설첩해mn)[15]


5. 작품

동문선》에 시 몇 편과 산문 한 편이 전한다.[2]

6. 전기 자료

설손에 대한 전기 자료는 《고려사》 권112, 〈열전〉25, 설손 편에 실려 있다.

참조

[1] 서적 明清と李朝の時代 "[[中央公論新社|中央公論社]]" 1998-04-01
[2] 서적 고려사
[3] 서적 원사
[4] 서적 원사
[5] 서적 신원사
[6] 서적 원사
[7] 서적 원사
[8] 서적 요사
[9] 서적 목은문고
[10] 서적 원사
[11] 서적 고려사
[12] 간행물 "フフホト白塔のウイグル語題記銘文" 2016
[13] 서적 태종실록
[14] 서적 세종실록
[15] 서적 목은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