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가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가정은 가톨릭교회, 루터교, 성공회 등에서 나자렛 예수, 성모 마리아, 성 요셉을 가족으로서 기리는 전례를 의미한다. 이 축일은 기독교 가정의 모범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17세기부터 기념되었으며, 1921년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되었다. 성가정은 16세기 초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서 미술의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었다. 또한, 성가정은 선교회, 수도회, 교구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되며, 신자들은 "✝ J.M.J. ✝"를 사용하며 성가정의 축복을 간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자렛의 요셉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나자렛의 요셉 - 성 요셉 대축일
성 요셉 대축일은 예수의 양아버지인 성 요셉을 기리는 날로, 가톨릭교회에서는 대축일로 지켜지며 이탈리아의 아버지의 날, 스페인의 팔레스 축제 등 다양한 국가에서 기념하고 이탈리아계 공동체에서는 음식을 제공하는 전통이 있다. - 예수의 가족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예수의 가족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예수의 어머니로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등으로 공경받고 동정녀 잉태의 믿음이 있으며, 이슬람에서는 마르얌으로 불리며 존경받는 여성으로, 그녀의 생애는 성경과 외경, 전승, 예술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전해진다. - 12월의 세시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12월의 세시 - 대설
대설은 양력 12월 초에 해당하며 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로, 천문학적으로는 4대 절기 중 하나이며, 농경 사회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기후 변화로 인한 폭설의 위험성 증가와 사회적 대응이 중요해지는 시기이다.
성가정 | |
---|---|
성가정 | |
![]() | |
구성원 | |
구성원 | 예수, 마리아, 요셉 |
신학적 의미 | |
중요성 | 그리스도교 신앙의 근본적인 가족 모델 인간적인 사랑과 헌신의 상징 |
축일 | |
기념일 | 성탄 후 첫 번째 주일 |
2. 공경
성가정 축일은 가톨릭교회뿐만 아니라 많은 루터교와 성공회 교회에서도 나자렛 예수, 그의 어머니 마리아, 그리고 양아버지 성 요셉을 가족으로서 기리는 전례 축일이다.[4] 이 축일의 주된 목적은 성가정을 기독교 가정의 모범으로 제시하는 것이다.[3]
17세기부터 이 축일은 지역 및 지방 차원에서 기념되었으며,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장려되었다. 1921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이 축일을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시켰고, 주현절 옥타바 내의 일요일(cf. ''주현절기'')로 정했다. 즉, 1월 7일부터 1월 13일 사이의 일요일(1954년 로마 일반 전례력 참조)이었다.[5][6]
1954년 로마 일반 전례력에서, 크리스마스 옥타바 내의 일요일은 12월 29일, 30일 또는 31일에만 지켜졌는데, 이는 성 스테파노, 성 요한, 어린이 순교자 축일과 같은 상위 등급의 축일에 양보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12월 30일로 옮겨졌다. 1962년 로마 미사 경본은 1960년 로마 일반 전례력을 따르며, 크리스마스 옥타바 내의 일요일을 이러한 성인들보다 상위로 간주하고 주현절 다음 일요일에 성가정 축일을 지킨다.
로마 일반 전례력의 1969년 개정판은 성가정 축일의 기념일을 크리스마스 옥타바 내의 일요일, 즉 크리스마스와 신년 사이의 일요일(두 날짜 제외)로 옮겼다. 또는 크리스마스와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이 모두 일요일이면 12월 30일(이 해에는 항상 금요일)로 정했다. 일요일에 지켜지지 않을 경우 의무 축일이 아니다.[7] 1969년 로마 일반 전례력에서 성가정 축일은 크리스마스 옥타바 기간에 해당하는 다양한 성인들의 축일보다 우선시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일요일에 지켜지기 때문이다.[8]
가톨릭교회에서, 극공경(hyperdulia)[9] 과 원공경(protodulia)[10]은 각각 마리아와 성 요셉에 대한 특별한 공경을 위해 사용되는 명칭이다. 이러한 공경은 다른 성인에게 바쳐지는 공경(dulia)보다 더 중요하다.
3. 예술에서의 성가정
성가정은 16세기 초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와 네덜란드 및 플랑드르 르네상스 회화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 이는 성 요셉에 대한 관심과 헌신이 증가했기 때문인데, 중세 후기 요셉은 다소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되었고, 종종 예수 탄생 장면에서 잠들어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15세기에는 요셉에게 헌신하는 형제회가 부활하면서 적어도 깨어 있고 양육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초기 ''성가정'' 구성은 대부분 예수 탄생 장면이거나, 세 명의 주요 인물에 집중한 이집트 도피 중 휴식이었고, 혹은 성 요셉이 추가된 ''성모자와 아기 예수''에서 파생되었다. 종종 인물들은 클로즈업되어 그림 공간의 대부분을 채웠다.[11]
예수의 사촌인 세례자 요한과 그의 어머니 성 엘리사벳이 추가되기도 하지만, 요셉은 종종 이들 그림에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성가족은 이집트에서 돌아온 후 엘리사벳과 함께 머물렀다고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그림은 아이들을 신생아보다 더 나이가 많은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성 친족이라고 불리는 예수의 확대 가족은 최대 20명의 인물을 포함할 수 있다.
3. 1. 이탈리아
성가정은 16세기 초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 이 주제가 인기를 끈 것은 성 요셉에 대한 관심과 헌신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중세 후기에 요셉은 다소 희극적인 인물로 묘사되었고, 그의 나이가 강조되었으며, 종종 예수 탄생 장면에서 잠들어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15세기에는 요셉에게 헌신하는 형제회가 부활하면서 요셉은 적어도 깨어 있으며 양육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초기 ''성가정'' 구성은 대부분 예수 탄생 장면이거나, 세 명의 주요 인물에 집중한 이집트 도피 중 휴식이었다. 또는 많은 구성이 성 요셉이 추가된 ''성모자와 아기 예수''에서 파생되었다. 종종 인물들은 클로즈업되어 그림 공간의 대부분을 채웠다.[11]
예수의 사촌인 세례자 요한과 그의 어머니 성 엘리사벳이 추가되기도 하지만, 요셉은 종종 이들 그림에 나타나지 않아 ''성가정''의 일반적인 정의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성가족은 이집트에서 돌아온 후 엘리사벳과 함께 머물렀다고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그림은 아이들을 신생아보다 더 나이가 많은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성 친족이라고 불리는 예수의 확대 가족은 최대 20명의 인물을 포함할 수 있다.
1490년경의 구엘파 성가정은 루카 시뇨렐리의 작품이다. 안드레아 만테냐는 1490년대 후반에 매우 집중된 그룹을 창안한 것으로 보이며, 드레스덴에 있는 작품과 같이 성 요한 세례자와 그의 어머니를 그린 여러 변형 작품이 있다. 이러한 작품 중 일부는 갓 태어난 아기라기보다는 주로 유아기에 접어든 아기들을 세워 놓거나 수직 형태로 묘사한다.[12]
성기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많은 이탈리아 회화가 수평 형식을 띠게 되었다. 이 주제는 안토니오 다 코레조(파비아, 오를레앙, 영국 왕립 컬렉션, 로스앤젤레스, 만토바 소장)와 도메니코 베카푸미(뮌헨, 피렌체 팔라티나 미술관, 우피치 소장)에게 인기 있는 소재였다. 미켈란젤로의 템페라 작품(1506년경)은 이탈리아,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걸려 있다.[13] 줄리오 로마노의 참나무 아래의 성가정은 프라도 미술관에, 또 다른 작품은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게티 센터에 소장되어 있다.[14]
로렌초 로토 역시 이 주제를 여러 번 그렸으며, 후기에는 천사와 성인들을 추가하여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의 버전을 제작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로는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와 함께 있는 성가정'', ''성 히에로니무스와 성 안나와 함께 있는 성가정'', 그리고 예수와 요한 세례자의 가족이 함께 있는 루브르 박물관의 작품 등이 있다.
3. 2. 북유럽
알프스 이북에서는 1490년대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가 회화보다 먼저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기 북유럽 회화로는 대략 1500년경 성 바르톨로메오 제단화의 대가의 작품이 있는데, 여기서는 구도가 완전히 새롭게 상상되었다. 반면 네덜란드 화가 요스 반 클레베의 1512년경 작품인 ''성 가족''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15] 얀 반 에이크의 ''루카의 성모''를 정물화 세부 묘사가 더해진 클로즈업으로 축소하고, 성모의 어깨 너머로 성 요셉을 추가한 것이다.[16]
3. 3. 갤러리
4. 수호 및 관습
가톨릭 교회뿐만 아니라 많은 루터교와 성공회 교회에서도 나자렛 예수, 그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그리고 양아버지 성 요셉을 가족으로서 기리는 전례 축일인 성가정 축일이 있다.[4] 이 축일의 주된 목적은 성가정을 기독교 가정의 모범으로 제시하는 것이다.[3]
17세기부터 이 축일은 지역 및 지방 차원에서 기념되었으며,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장려되었다. 1921년 교황 베네딕토 15세는 이 축일을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시켰다.[5][6]
1969년 로마 일반 전례력의 1969년 개정판은 성가정 축일의 기념일을 크리스마스 옥타바 내의 일요일, 즉 크리스마스와 신년 사이의 일요일(두 날짜 제외)로 옮겼다. 또는 크리스마스와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이 모두 일요일이면 12월 30일로 정했다. 일요일에 지켜지지 않을 경우 의무 축일이 아니다.[7]
가톨릭교회에서 극공경(hyperdulia)[9]과 원공경(protodulia)[10]은 각각 지극히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지극히 정결한 성 요셉에 대한 특별한 공경을 위해 사용되는 명칭이다. 이러한 공경은 다른 성인에게 바쳐지는 공경(dulia)보다 더 중요하다. 실제로, 동정 마리아는 천사들의 여왕과 성인들의 여왕이라는 마리아적 칭호를 가지며, 성 요셉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호성인이다.
나자렛의 성가정은 성가정 선교회 사제와 형제들의 삶의 모범이다. 그들은 사목 활동에서 예수, 마리아, 요셉에 대한 진실한 사랑과 헌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성가정 구성원들은 또한 성 십자가회의 수호성인이다.
성가정의 아들회는 성가정에 헌신하는 또 다른 수도회이다.
나자렛 성가정 대성당은 오클라호마 털사 교구의 주교좌이다.[18]
그리스도인, 특히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신심 행위는 편지, 카드, 문서 및 개인 노트 상단에 두 개의 십자가로 묶인 "✝ J.M.J. ✝"를 쓰는 것으로, 이는 예수, 마리아, 요셉을 성가정으로 지칭하는 것이다.[19] "✝ J.M.J. ✝"가 쓰여진 곳은 "성가정의 축복을 간구하는 것"이다.[20]
참조
[1]
문서
Ainsworth
[2]
간행물
The Holy Family
http://www.americanc[...]
Catholic Update
[3]
웹사이트
Strasser O.S.B., Bernard. With Christ Through the Year
https://web.archive.[...]
2014-01-02
[4]
웹사이트
What are the 12 days of Christmas?
https://web.archive.[...]
Living Lutheran
2021-03-26
[5]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Feast of the Holy Family
https://www.britanni[...]
[6]
웹사이트
Ss. Cosmas and Damian Roman Catholic Parish: Feast of the Holy Family of Jesus, Mary and Joseph
https://web.archive.[...]
2020-01-14
[7]
문서
[8]
웹사이트
Warum der Stephanustag dieses Jahr (fast) überall ausfällt
https://www.katholis[...]
2023-10-17
[9]
Youtube
Devotion to Mary, Hyperdulia - Mariology for Everyone
https://m.youtube.co[...]
Franciscanfriars
[10]
웹사이트
Why does the Latin church give protodulia to St. Joseph instead of St. John the Baptist?
https://www.reddit.c[...]
2022-06-03
[11]
문서
Hall
[12]
문서
The Holy Family with Saint John the Baptist
https://www.national[...]
National Gallery
[13]
웹사이트
"The Holy Family", Art in the Bible
http://www.artbible.[...]
Artbible.info
2019-01-15
[14]
웹사이트
"The Holy Family", The J. Paul Getty Museum
http://www.getty.edu[...]
[15]
웹사이트
"The Holy Family",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Metmuseum.org
2019-01-15
[16]
서적
Northern Renaissance Art
Harry N. Abrams
[17]
웹사이트
University of Dayton Libraries
http://ecommons.uday[...]
[18]
웹사이트
Cathedral of the Holy Family of Nazareth
https://web.archive.[...]
2014-01-02
[19]
서적
Saint Joseph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2000-03
[20]
서적
Ignatian Spirituality A to Z
Loyola Press
2017-11-01
[21]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絵画
白水社
[22]
문서
[23]
문서
《로마 미사 경본》〈전례주년과 전례력에 관한 일반규범〉, 35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