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적 (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적은 교육기관에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평점 평균(GPA)으로 계산되며, 대학 입학, 장학금, 취업 등에 영향을 미친다. 성적 평가는 상대평가, 절대평가, 인정평가, 개인 내 평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국가별로 다른 체계를 갖는다. 성적은 학업 성공의 지표로 여겨지지만, 학생의 발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학습 동기를 저해한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대안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성적의 의미와 중요성

평점 평균(GPA)은 대학교에서 얻은 성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주로 4년간 얻은 평점의 평균을 의미하며, 학교에 따라 4.0, 4.3, 4.5점 만점으로 계산된다. 미국, 캐나다 대학에서는 보통 4.0이 만점이며, A는 4점, B는 3점, C는 2점, D는 1점, 낙제는 0점으로 계산한다. A+는 학교에 따라 다르게 취급될 수 있다.[2]

일부 국가에서는 성적을 평균하여 평점 평균(GPA)을 산출하며, 이는 고등학교, 학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계산된다.[2] '''누적 평점 평균'''('''CGPA''')은 학생이 해당 교육 기관에 재학하는 동안 취득한 모든 GPA의 평균을 의미한다.[3] 학생들은 특정 학업 프로그램에 입학하거나 계속 참여하기 위해 일정 GPA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성적은 재정 지원이나 장학금 제공 결정에도 사용된다.[3]

성적은 학업 성공과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지며, GPA는 미래의 직업적 효능과 성공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4] 높은 GPA는 더 높은 소득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직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5] 대학원 진학이나 취업 시 학부 성적이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3. 성적 평가의 역사

학생들은 기원전 500년까지 평가를 받았지만, 학생의 성과를 공식적으로 측정하거나 과목 숙달도를 추적하는 방법은 없었다. 1600년대 중반 하버드 대학교는 학생들을 평가하기 위해 퇴학 시험을 요구하기 시작했지만, 이는 문자 등급으로 점수가 매겨지지 않았다.[6]

학생 등급 척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예일 대학교에서였다. 예일 대학교 역사학자 조지 윌슨 피어슨은 "전통에 따르면 예일에서 처음으로 등급이 부여된 것은 (그리고 아마도 미국 최초일 것이다) 1785년으로, 에즈라 스타일스 총장이 58명의 졸업반 학생을 시험한 후 일기에 '최우수 20명, 차상 16명, 열등자(Boni) 12명, 최하(Pejores) 10명'이라고 기록했다."[7]고 썼다. 1837년까지 예일 대학교는 이 형용사를 4점 척도의 숫자로 변환했으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것이 표준 현대 미국 GPA 척도의 기원이라고 말한다.[8][6]

밥 마린은 학생의 과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개념이 윌리엄 패리시라는 튜터에 의해 개발되어 179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시행되었다고 주장한다. 그 주장은 윌리엄 패리시가 수치 점수의 발명가라는 증거가 설득력이 없다고 여기는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다.[9] 스트레이의 기사는 또한 시험 방식(구두 또는 서면)과 이러한 방식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암시하는 다양한 교육 철학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한다.[9]

A-D/F 시스템은 1897년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에서 처음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1940년대까지 널리 퍼지지 않았으며, 1971년에도 미국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의 67%에서만 사용되었다.[8]

4. 성적 평가 방식

상대평가는 다른 학습자와 성적을 비교하여, 성적이 학습 집단 내에서 어떤 순위에 있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이다.

절대평가는 개인의 성적 그 자체를 단독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 * 인정평가 평가의 척도가 교사의 머릿속에 있으며, 비공개 상태에서 교사가 인정했는지 여부로 평가한다. 예: 일본 무용, 화도
  • * 도달도 평가 달성도 평가라고도 한다. 미리 설정한 도달 목표에 따라, 그것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로 평가한다. 예: 줄넘기, 수영 연습

개인 내 평가(진보 평가) 학습자 본인의 이전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평가. 예: 골절 외상 환자의 재활, 장애인의 학습 활동

4. 1. 상대평가

상대평가는 다른 학습자와 성적을 비교하여, 성적이 학습 집단 내에서 어떤 순위에 있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이다.

4. 2. 절대평가

절대평가는 개인의 성적 그 자체를 단독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 * 인정평가 평가의 척도가 교사의 머릿속에 있으며, 비공개 상태에서 교사가 인정했는지 여부로 평가한다. 예: 일본 무용, 화도
  • * 도달도 평가 달성도 평가라고도 한다. 미리 설정한 도달 목표에 따라, 그것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로 평가한다. 예: 줄넘기, 수영 연습

4. 2. 1. 인정평가


  • 상대평가 다른 학습자와 성적을 비교하여, 성적이 학습 집단 내에서 어떤 순위에 있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이다.
  • 절대평가 개인의 성적 그 자체를 단독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 * 인정평가 평가의 척도가 교사의 머릿속에 있으며, 비공개 상태에서 교사가 인정했는지 여부로 평가한다. 예: 일본 무용, 화도
  • * 도달도 평가 달성도 평가라고도 한다. 미리 설정한 도달 목표에 따라, 그것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로 평가한다. 예: 줄넘기, 수영 연습
  • 개인 내 평가 (진보 평가) 학습자 본인의 이전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평가. 예: 골절 외상 환자의 재활, 장애인의 학습 활동

4. 2. 2. 도달도 평가


  • 상대평가 다른 학습자와 성적을 비교하여, 성적이 학습 집단 내에서 어떤 순위에 있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
  • 절대평가 개인의 성적 그 자체를 단독으로 평가하는 방법.
  • * 인정평가 평가의 척도가 교사의 머릿속에 있으며, 비공개. 교사가 인정했는지 여부로 평가한다. 예: 일본 무용, 화도
  • * 도달도 평가 달성도 평가라고도 한다. 미리 설정한 도달 목표에 따라, 그것이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로 평가한다. 예: 줄넘기, 수영 연습
  • 개인 내 평가 (진보 평가) 학습자 본인의 이전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평가. 예: 골절 외상 환자의 재활, 장애인의 학습 활동

4. 3. 개인 내 평가 (진보 평가)

개인 내 평가는 학습자 본인의 이전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얼마나 진보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골절 외상 환자의 재활, 장애인의 학습 활동 등이 있다.

5. 국가별 성적 체계

대부분의 국가는 자체적인 성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단일 국가 내에서도 기관에 따라 성적 시스템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유럽 바칼로레아와 같이 성적에 대한 여러 국제 표준이 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기본적으로 성적 평가의 기준으로 학급 내 구성원 간의 학력을 비교하는 상대 평가를 사용해 왔지만, 2000년대부터는 학습 목표에 비추어 평가하는 절대 평가가 사용되고 있다. 절대 평가에서의 평가 기법으로는 관점별 평가가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관점별 평가는 학습 지도 요령에 제시된 목표에 비추어 교과・과목의 학습 상황을 4~5개의 관점으로 분류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관점별 평가는 주로 학기학년 단위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지만, "평가를 돌려주는 기회가 적어, 학습자의 약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관계자(학습자, 보호자, 교원 등)가 파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원별로 면밀한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지만, "1단위 시간 동안 막대한 평가 자료를 수집하면서 수업을 해야 하는 등, 수업자에게 막대한 노력을 강요한다"는 이유로, 현실적인 평가 방법은 아니라는 의견이 많아, 실천 사례는 적다.

중국에서는 성적표에 시험 등에 근거한 점수(소점(素点))가 표시되며, 5단계로 100~90점의 "우수"(우/优중국어), 89~80점의 "양호"(양/良중국어), 79~70점의 "중등"(중/中중국어), 69~60점의 "합격"(급/及중국어), 60점 미만의 "불합격"으로 분류된다[18]

단, 성적 분류에 "중"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우수" 100점~85점, "양호" 84점~70점, "합격" 69점~60점이 된다[18]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통지표(보고서 카드, report card) 등에 기재되는 평가에 알파벳으로 표시되는 5점 척도가 사용되어 왔다.[19]

5점 척도 외에도 3점 척도(O(우수), S(양호), N(보통)의 3문자)나 기타 문자 방식(P(합격)와 F(불합격) 또는 S(만족)와 U(불만족) 등)이 있다.[19]

스웨덴에서는 성적 평가 문서를 참조하라.

5. 1. 대한민국

;중학교

점수는 학생들의 중간, 기말고사, 수행평가 총 합산으로 계산한다. (총 100점)

기존의 수우미양가에서 ABCDE로 용어만 바뀌었다.

점수등급
89.5–100A
80–89.5B
70–79C
60–69D
0–59E



; 고등학교

백분율은 동일한 과목에서 학생들 간 상대적 위치를 가리킨다. (100%는 최고, 0%는 최저)

백분율등급
96–1001등급
89–962등급
77–893등급
60–774등급
40–605등급
23–406등급
11–237등급
4–118등급
0–49등급


5. 1. 1. 중학교

wikitext

점수는 학생들의 중간, 기말고사, 수행평가 총 합산으로 계산한다. (총 100점)

기존의 수우미양가에서 ABCDE로 용어만 바뀌었다.

점수등급
89.5–100A
80–89.5B
70–79C
60–69D
0–59E


5. 1. 2. 고등학교

백분율은 동일한 과목에서 학생들 간 상대적 위치를 가리킨다. (100%는 최고, 0%는 최저)

백분율등급
96–1001등급
89–962등급
77–893등급
60–774등급
40–605등급
23–406등급
11–237등급
4–118등급
0–49등급


5. 2.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기본적으로 성적 평가의 기준으로 학급 내 구성원 간의 학력을 비교하는 상대 평가를 사용해 왔지만, 2000년대부터는 학습 목표에 비추어 평가하는 절대 평가가 사용되고 있다. 절대 평가에서의 평가 기법으로는 관점별 평가가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관점별 평가는 학습 지도 요령에 제시된 목표에 비추어 교과・과목의 학습 상황을 4~5개의 관점으로 분류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관점별 평가는 주로 학기학년 단위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지만, "평가를 돌려주는 기회가 적어, 학습자의 약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관계자(학습자, 보호자, 교원 등)가 파악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원별로 면밀한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지만, "1단위 시간 동안 막대한 평가 자료를 수집하면서 수업을 해야 하는 등, 수업자에게 막대한 노력을 강요한다"는 이유로, 현실적인 평가 방법은 아니라는 의견이 많아, 실천 사례는 적다.

점수등급
90-100매우 잘함 (AA/T)
80-89A
70-79B
60-69C
0–59낙제 (E/F)


5. 3. 중국

중국에서는 성적표에 시험 등에 근거한 점수(소점(素点))가 표시되며, 5단계로 100~90점의 "우수"(优), 89~80점의 "양호"(良), 79~70점의 "중등"(中), 69~60점의 "합격"(及), 60점 미만의 "불합격"으로 분류된다.[18]

단, 성적 분류에 "중"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우수" 100점~85점, "양호" 84점~70점, "합격" 69점~60점이 된다.[18]

5. 4. 미국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통지표 등에 기재되는 평가에 알파벳으로 표시되는 5점 척도가 사용되어 왔다.[19] 5점 척도 외에도 3점 척도(O(우수), S(양호), N(보통)의 3문자)나 기타 문자 방식(P(합격)와 F(불합격) 또는 S(만족)와 U(불만족) 등)이 있다.[19]

점수등급
93-100A (우수)
80-92B (양호)
70-79C (보통)
60-69D (평균이하)
59-0F (낙제)


5. 5. 기타 국가

wikitable

백분율등급
75–100A1
<75A2
<70B3
<65B4
<60C5
<55C6
<50D7
<45E8
<40F9



등급백분율
우수(Excellent)90–100
매우 양호(Very Good)79–89
양호(Good)70–78
보통(Adequate)60–69
수용 가능(Acceptable)50–59
미흡/낙제(Weak/Failure)0–49



등급스케일 1스케일 2
16–20A4
14–15B3
12–13C2
10–11D1
0–9E/F0



점수등급
93-100A (우수)
80-92B (양호)
70-79C (보통)
60-69D (평균이하)
59-0F (낙제)



스웨덴에서는 스웨덴의 교육 문서를 참조하라.

6. 국제 학사 학위

대부분의 국가는 자체적인 성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단일 국가 내에서도 기관에 따라 성적 시스템이 다를 수 있다.[20] 그러나 최근 유럽 바칼로레아와 같이 성적에 대한 여러 국제 표준이 등장했다.

국제 등급 체계는 과목과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표기된다.[20]

등급대략적인 표기
1~96–100(%)= A
2~90–95= B
3~80–89=C
4~70–79=D
5~60–69=F
6~50–59=F
7~40–49=F
8~30-39=F
9~0-29=F



지식 이론의 등급과 표기는 다음과 같다.[21]

등급표기
A49–60
B40–48
C32–39
D22–31
E/F0–21


6. 1. 국제 등급 체계

대부분의 국가는 자체적인 성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단일 국가 내에서도 기관에 따라 성적 시스템이 다를 수 있다.[20] 그러나 최근 유럽 바칼로레아와 같이 성적에 대한 여러 국제 표준이 등장했다.

국제 등급 체계는 과목과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표기된다.[20]

등급대략적인 표기
1~96–100(%)= A
2~90–95= B
3~80–89=C
4~70–79=D
5~60–69=F
6~50–59=F
7~40–49=F
8~30-39=F
9~0-29=F



지식 이론의 등급과 표기는 다음과 같다.[21]

등급표기
A49–60
B40–48
C32–39
D22–31
E/F0–21


7. 성적과 학습의 관계

더글라스 바튼(Douglas Barton)이 13년 간 세계 여러 지역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조사한 결과,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적절한 방법으로 열심히 해야 좋은 결과를 얻는다고 밝혔다.[22] IQ는 학생 개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닐 뿐더러, 성적에 영향을 주는 지배적인 요인이 아니며, 오히려 회복 탄력성 등과 같은 요인이 중요했다.[22]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교과서나 노트필기를 반복해 읽는 방법이 아닌, 혼자 모의 시험을 보는 것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22] 또한, 공부 스케줄을 짤 때 공부 시간부터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여가 시간부터 계획한 뒤, 공부 계획을 세웠다.[22]

8. 성적 평가에 대한 비판

성적은 학생이 주어진 기간 동안 얼마나 배웠는지에 대한 단기적인 스냅샷일 뿐이며, 실제 성과를 부분적으로만 반영하고 학생 개개인의 발달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10] 장기간에 걸친 낮은 성적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거의 또는 전혀 배우지 못할 것이라는 인상을 주어 모든 어린이의 내재적인 학습 동기를 위협한다.[10][11] 낮은 성적은 건설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않고 절대적인 핵심 수치만 제공하므로 학생들에게 파괴적인 피드백을 나타낸다.[10] 또한, 낮은 성적이 좋지 않은 미래 전망으로 이어진다는 사고 방식은 종종 채점 시스템에서 기인하며, 이는 학부모와 자녀에게 당혹감, 압박감, 스트레스,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비판도 있다.[10][11]

학생들이 미래의 삶을 위해 또는 자료에 대한 관심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성적과 관련 지위만을 위해 배우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거식증 학습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있다.[11][12]

독일의 철학자이자 저술가인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는 그의 저서 ''안나, 학교와 사랑하는 신: 교육 시스템이 우리 아이들을 배신하다''에서 학교 성적 시스템을 비판한다. 그는 1에서 6까지의 숫자(독일에서 사용되는 학교 성적 시스템)가 아이들의 개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13] 성적은 의미도 없고 차별적이지 않으므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13] 학생이 더 동기 부여되었는지, 주제에 더 관심이 있는지, 실패에 더 잘 대처하는 법을 배웠는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했는지는 성적으로 답할 수 없다.[13] 대신, 프레히트는 학생들의 학습 및 발달 경로에 대한 차별화된 서면 평가를 제안한다.[13] 성적 시스템은 심리적으로나 교육학적으로 무지한 시대에서 왔으며 21세기에 어울리지 않는다.[13]

독일의 교육 혁신가인 마르그레트 라스펠트는 성적 시스템이 도움이 되지 않으며, 학교에서 발생하는 경쟁적인 사고방식에 대해 비판하며 "학교는 성공을 조직하기 위한 것이지 실패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14]

독일의 신경과학자인 게랄트 휘터는 학생들이 열정을 가지고 재능이 있는 주제에 특화될 수 없도록 하는 책임이 성적에 있다고 비판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다른 분야의 성적이 떨어지기 때문이다.[15] 그는 또한 "우리가 모든 아이들에게 동일한 평가 기준을 강요한다면 우리 사회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믿는다.[15]

채점은 또한 강사의 편견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16] 교육자들이 잠재적인 단점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역량 기반 평가, 사양 채점, "무등급"을 포함한 대체 채점 방법이 더 인기를 얻고 있다. [17]

9. 대안적 성적 평가 방식

참조

[1] 웹사이트 Grading Systems by Country 2024 https://worldpopulat[...] 2024-10-31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ade Point Average https://www.merriam-[...] 2024-10-31
[3] 웹사이트 What is GPA? https://www.timeshig[...] 2023-06-07
[4] 논문 The predictive value of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 to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of dental graduates 2021-12
[5] 논문 Does GPA matter for university graduates' wages? New evidence revisited 2022-04-12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etter grading system https://stacker.com/[...] 2024-10-31
[7] 논문 Yale Book of Numbers https://oir.yale.edu[...] 1701–1976
[8] 논문 Teaching More by Grading Less (or Differently) 2014
[9] 간행물 From Oral to Written Examinations: Cambridge, Oxford and Dublin 1700–1914 https://doi.org/10.1[...] History of Universities 2005
[10] 웹사이트 Stress blockiert Kinder: Warum Noten in der Schule nicht zukunftsfähig sind https://www.focus.de[...] 2020-12-17
[11] 웹사이트 Das Dilemma mit den Schulnoten https://www.n-tv.de/[...] 2020-12-17
[12] 서적 Gute Noten ohne Stress: Ein Lehrer verrät die besten Tipps und Tricks, um das Gymnasium erfolgreich zu bestehen Heyne Verlag
[13] 서적 Prinzipien für eine Bildungsreform: Der Besuch des Kindergartens sollte Pflicht sein. Die Zeit
[14] 웹사이트 'Positionen 18: "Akadämlich" – Freies Denken unerwünscht!' https://kenfm.de/pos[...] 2019-08-18
[15] 웹사이트 Wie wichtig sind gute Noten? https://www.haz.de/T[...] 2012-09-05
[16] 논문 Teachers' perceptions and A-level performance: is there any evidence of systematic bias? http://www.tandfonli[...] 2008-08
[17] 서적 Specifications Grading http://dx.doi.org/10[...] Routledge 2024-10-31
[18] 웹사이트 中国での「成績」、そして漢字圏全体の比較 https://dictionary.s[...] 三省堂 2019-07-22
[19] 웹사이트 諸外国の教育評価 https://www.shinko-k[...] 新興出版社啓林館 2020-11-29
[20] 문서 Marks for MATHS HL May 2007 TZ2
[21] 웹사이트 IB Grade Boundaries by year at The Student Room http://www.thestuden[...] 2011-09-28
[22] Youtube TEDx-Youth: What do top students do differently?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