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년은 학교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단위로, 학교별, 국가별로 그 기준과 기간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교육법에 따라 매년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일까지를 1학년으로 규정하며, 학교 종류에 따라 1년 수업 일수가 다르다. 일본에서는 기간을 나타내는 의미로 연도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며, 4월에 학년이 시작하는 제도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학년은 같은 입학 연도의 학생 집단을 지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되며, 특정 연도의 4월 2일부터 다음 해 4월 1일까지 태어난 사람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습 방법학 - 교훈주의
    교훈주의는 가르침을 목적으로 예술, 문학, 디자인 등에서 나타나는 경향으로, 즐거움과 도덕적 가르침을 추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학습 방법학 - 훈련
    훈련은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지식, 기술, 능력, 행동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과정이며, 신체적, 직업적, 정신적, 사회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 직업, 재난 대비, 시뮬레이션, 연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 학교 교육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학교 교육 - 학부
    학부는 대학에서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교육 단위로, 중세 유럽 대학의 4개 학부 체제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부들이 운영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단과대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학년

2. 학년의 개념

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기간을 단위로 교육을 진행하는데, 이때 소정의 수업 연한을 나누는 1년 단위의 기간을 학년이라고 한다. 나라나 사회적 조건에 따라 학년의 정의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교육법에 따라 매년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를 한 학년으로 정하고 있다.

학년 기간 동안 매일 수업을 하는 것은 아니며, 공휴일이나 방학 등 공식적인 휴일을 제외한 날에 수업을 진행한다.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수업 일수를 채워야 하며, 이를 수업일수(授業日數)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의 학교 종류별 최소 수업일수는 다음과 같다.

학교 종류최소 수업일수
초등학교, 중등학교매 학년 220일 이상
대학교매 학년 32주 이상
공민학교, 고등공민학교매 학년 170일 이상



다만,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국가적인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교육부 장관이 1개월 범위 안에서 수업일수를 단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행정 권한이 실제로 발동되는 경우는 드물다.

3. 기간으로서의 학년

일반적으로 학교에서는 일정한 기간을 단위로 교육을 진행하는데, 이때 소정의 수업 연한 단위로 정해 놓은 1년의 기간을 학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법에 따라 매년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를 한 학년으로 정하고 있다.

학년 기간이 1년이라고 해서 365일 내내 수업하는 것은 아니다. 공휴일이나 방학 등 법정 휴일을 제외한 날에만 수업하는 것이 원칙이며, 학교 종류별로 정해진 최소 수업일수를 채워야 한다. 이를 수업일수(授業日數)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수업일수는 다음과 같다.

학교 종류최소 수업일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매 학년 220일 이상
대학교매 학년 32주 이상
공민학교, 고등공민학교매 학년 170일 이상



다만, 천재지변(天災地變)이나 국가 비상사태 발생 시 교육부 장관이 1개월 범위 내에서 수업일수를 단축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 이러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일상적으로 "학년"이라는 말은 연도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새 학년이 시작되었다"와 같이 기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도 "학년"은 연도와 거의 같은 뉘앙스로 사용되어 そろそろこの学年が終わる|소로소로 고노 가쿠넨가 오와루일본어(이제 곧 이 학년이 끝난다)와 같이 표현한다.

3. 1. 학년의 시작 월

세계적으로는 유럽이나 미국, 러시아, 터키, 몽골, 중국 등 많은 나라가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이러한 9월 시작 방식은 북반구 기준으로 가을 초에 학년이 시작되어 학년 말에 여름 방학을 맞이하는 구조이다. 여름 방학 전에 학년 마지막 정기 시험도 끝나기 때문에, 학생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여름 방학을 보낼 수 있다. 영어권에서는 가을 신학기 시기를 속칭 'Back to schoo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9월 학년 시작은 세계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방식이어서 국제적인 표준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9월 시작 제도를 채택한 국가의 학생들은 유학을 갈 때 학년 전환 시기가 일치하여, 학년이 바뀌는 시점에 맞춰 유학을 시작하면 학업 공백 없이 효율적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 미국, 중국 등의 학생들은 비교적 쉽게 유학을 인생 계획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세계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대학들이 대부분 유럽이나 미국에 위치해 있어, 9월 학년 시작 국가의 학생들은 이들 대학으로 유학하기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3. 1. 1. 일본의 경우

메이지 시대 일본의 대학이나 고등학교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는 오랫동안 '''9월 학년 시작 제도'''를 채택했다. 4월 학년 시작 제도가 도입된 것은 비교적 나중에 이루어졌는데, 1886년(메이지 19년) 고등사범학교를 시작으로, 1892년(메이지 25년)에는 초등학교에서도 4월 학년 시작 제도를 채택했다. 도쿄 제국대학의 경우 1921년(다이쇼 10년)에 4월 학년 시작 제도를 도입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회계 연도가 4월에 시작하는 것과 관련이 크다.[3]

현재 일본의 학교 대부분은 4월 학년 시작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학교교육 시행 규칙(쇼와 22년 문부성령 제11호)에 따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중등교육학교, 고등전문학교, 특별지원학교, 유치원의 학년은 4월 1일에 시작하여 다음 해 3월 31일에 끝나도록 정해져 있다. 반면, 대학교나 전문학교 등은 개별 학교의 재량에 따라 학년 시작 시기를 정할 수 있다.

국제화 흐름에 따라 일부 학교에서는 가을 입학 제도를 도입하기도 한다. 세계에서 학생을 많이 받아들이는 일부 고등학교에서 가을 입학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으며, 대학 중에서는 도쿄 대학이 대표적이다. 도쿄 대학은 세계의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4월 입학 제도와 병행하여 '''10월 입학 제도'''를 도입했다. 당시 도쿄 대학 총장이었던 하마다 준이치는 가을 입학 제도의 장점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1]

  • 국제 표준의 (세계의 많은 대학과 일치하는) 학사력[1]
  • 국제 표준의 (세계의 유력 대학과 경쟁할 수 있는) 교육 내용・방법[1]
  • 국제 표준의 (세계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사회 환경[1]

이는 기존의 4월 학년 시작 제도가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세계 유력 대학과의 경쟁에서 불리하고, 국제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4. 집단으로서의 학년

"학년"이라는 말은 특정 집단을 가리킬 때도 쓰이는데, 그 의미는 꽤 넓다. 가장 직접적으로는 같은 해에 학교에 들어간 아동이나 학생들의 모임을 뜻한다. 예를 들어 "1학년 학생"이라고 하거나, "이 학년은 남자가 더 많다"처럼 사용한다. 좀 더 편한 말로는 동기와 비슷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그 학년 집단과 관련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1학년에서 배우는 내용", "2학년 학부모 모임", "3학년 담임 교사" 같은 표현이 그 예이다.

4. 1. 연령 계층을 나타내는 학년

일본에서는 특정 연도의 4월 2일부터 다음 해 4월 1일까지 태어난 사람 전체를 묶어 "학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많은 사람이 학령에 따라 의무 교육을 받는 사회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일본의 학교 제도는 연령주의 성향이 강하여, 같은 학년 학생들의 연령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법적으로는 특정 학년에 들어갈 수 있는 최저 연령만 규정되어 있고 최고 연령에 대한 규정은 없지만, 실제 교육 현장, 특히 초등학교, 중학교 및 다수의 고등학교에서는 학년 내 연령 다양성이 거의 사라지고 최저 연령의 학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일본의 의무 교육 단계에서 조기 진급이나 유급이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년"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학교의 단계를 넘어 연령과 거의 동의어처럼 사용되거나, 때로는 그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갖기도 한다. 같은 학년은 '공통의 경험을 공유한 집단'으로 인식되어, 같은 나이 또래(동년배)보다 같은 학년의 동급생에게 더 강한 친근감이나 연대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특히 1월 1일부터 4월 1일 사이에 생일이 있는 사람, 이른바 '''빠른 생일'''에 해당하는 경우는 전년도에 태어난 사람들과 같은 학년에 속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같은 해에 태어난 다른 사람들보다 학년이 1년 빨라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보통 실제 나이보다는 '같은 학년'이라는 소속감을 더 우선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령 집단으로서의 "학년" 개념은 의무 교육 단계뿐만 아니라, 취학 전 유아나 의무 교육 이후의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어 사용된다.

참조

[1] PDF 東京大学総長の[[濱田純一]]「改めて、「秋入学構想」とは何か?」 https://www.u-tokyo.[...]
[2] 법률 年齢計算ニ関スル法律과 学校教育法
[3] 문서 入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