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주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주군 선거구는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성주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칠곡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호석, 배상연, 도진희, 주병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군의 정치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은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4년 신설되어 6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이인기, 이완영, 정희용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성주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주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주군의회는 2018년에 치러졌으며,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3석과 비례대표 1석을, 무소속 후보는 지역구 4석을, 비례대표는 자유한국당 황숙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성주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성주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북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성주군·칠곡군
의원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성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칠곡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성주군·칠곡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성주군 선거구에서 국회의원 선거가 여러 차례 치러졌다.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 선거 결과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각 선거별 당선자와 소속 정당만을 간략하게 나열한다.

3.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호석 후보가 63.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이호석무소속24,40063.13%
이낙균대동청년단12,82333.18%
이동화무소속1,4223.67%
합계38,645100%


3.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배상연 후보가 11.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배상연무소속4,91611.93
정진용무소속4,68711.37
이영균대한독립촉성국민회4,61011.19
최성장무소속4,35110.56
이인순무소속3,1607.67
이한주무소속2,5636.22
송태섭무소속2,3675.74
박해석무소속1,9984.85
여연길무소속1,7854.33
도경기무소속1,6994.12
백남규민주국민당19491,4523.52
이동화무소속1,4253.45
서칠봉대한독립촉성국민회1,3883.36
이호석미상1,3403.25
석태영무소속1,2493.03
장진영무소속9062.19
이기인무소속8342.02
이원득무소속4631.12
합계41,193


3.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도진희 후보가 28.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도진희자유당11,13128.43
이영균자유당9,96025.44
주병환무소속6,70817.13
이호석무소속6,45116.48
배상연무소속4,00010.21
이기면무소속8892.27
합계39,139100


3.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 주병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주병환자유당23,49655.92
이민석자유당12,79530.45
최성장무소속3,2837.81
도정환무소속2,4395.80
신동욱자유당00


3.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한국어 7월 29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주병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주병환민주당15,55036.54
이규동무소속10,74625.25
김대훈무소속9,91123.29
배의석무소속4,36910.26
김갑임사회대중당1,9704.63
합계42,546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