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디나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디나르는 세르비아의 통화이다. 1214년에 처음 사용된 이래로 여러 번의 부침을 겪었다. 중세 세르비아, 근대 세르비아 왕국, 나치 독일 점령기를 거쳐 현재의 현대 세르비아 디나르에 이르렀다. 2003년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대체하여 부활했으며, 현재 세르비아 공화국 내에서 유통된다. 주화와 지폐가 모두 사용되며, 코소보에서는 유로가 통용되면서 세르비아 디나르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경제 - 라틴 통화 동맹
라틴 통화 동맹은 1865년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가 금과 은의 가치를 고정하여 통화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결성한 통화 동맹으로, 금은 복본위제를 채택했으나 금과 은의 가치 변동 등의 문제로 1927년 공식 해체되었다. - 세르비아의 경제 - 세르비아 국립은행
세르비아 국립은행은 베오그라드에 위치하며, 세르비아 디나르 발행, 통화 정책 결정, 물가 안정 보호, 금융 시스템 안정 증진을 담당하고 물가 안정을 주요 목표로 하는 세르비아의 중앙 은행이다. - 디나르 - 데나리우스
데나리우스는 기원전 211년 로마에서 발행된 은화로, 로마 공화정 및 제국 시대의 주요 통화였으며, 성경에도 등장하고 다양한 통화와 언어에 영향을 미쳤다. - 디나르 - 이라크 디나르
이라크 디나르는 1932년 도입되어 인도 루피를 대체한 이라크의 통화이며, 걸프 전쟁 이후 가치가 하락했다가 2003년 새로운 통화가 발행되었고 현재 이라크 정부가 환율을 통제하며 투자 사기에 주의해야 한다. - 유럽의 통화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유럽의 통화 - 아이슬란드 크로나
아이슬란드 크로나는 아이슬란드의 공식 통화로, 덴마크 크로네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 후 독자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여 동전 발행, 화폐 개혁, 환율 고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중앙은행이 관리하며 캐시리스 사회로 전환 중이고, 금융 위기 이후 가치 변동을 겪고 있다.
세르비아 디나르 | |
---|---|
일반 정보 | |
통화 이름 | 세르비아 디나르 |
현지 통화 이름 | srpski dinar / српски динар |
ISO 코드 | RSD |
기호 | РСД 및 RSD (비공식 기호: дин. / din.) |
사용 국가 | 세르비아 |
인플레이션율 (2024년 11월) | 4.3% |
인플레이션율 측정 방법 | CPI |
보조 단위 | 파라 (para, defunct) |
보조 단위 비율 | 1/100 |
복수형 | динари / dinari ("디나르") |
자주 사용되는 동전 | 1 디나르, 2 디나르, 5 디나르 |
드물게 사용되는 동전 | 10 디나르, 20 디나르 |
자주 사용되는 지폐 | 10 디나르, 20 디나르, 50 디나르, 100 디나르, 200 디나르, 500 디나르, 1,000 디나르, 2,000 디나르 |
드물게 사용되는 지폐 | 5,000 디나르 |
발행 기관 | 세르비아 국립은행 |
발행 기관 웹사이트 | 세르비아 국립은행 웹사이트 |
조폐국 | Institute for Manufacturing Banknotes and Coins - Topčider, Belgrade |
조폐국 웹사이트 | Institute for Manufacturing Banknotes and Coins 웹사이트 |
인쇄국 | Institute for Manufacturing Banknotes and Coins - Topčider, Belgrade |
인쇄국 웹사이트 | Institute for Manufacturing Banknotes and Coins 웹사이트 |
화폐 이미지 | |
![]() | |
![]() | |
이전 통화 | |
이전 통화 | 유고슬라브 디나르 |
기타 | |
통화 사용 지역 | 세르비아 코소보 내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
2. 역사
2. 1. 중세 세르비아 디나르
"세르비아 디나르"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14년 스테판 네마니치의 통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스테판 토마셰비치 데스포테이트가 1459년에 멸망할 때까지 대부분의 세르비아 통치자들은 은화인 디나르를 주조했다. 초기 세르비아 디나르는 다른 많은 남유럽 동전과 마찬가지로 베네치아 그로소를 모방했으며, 라틴 문자를 포함했다('Dux'는 'Rex'로 대체됨).[7]
이는 세르비아 광산에서 나오는 은의 상대적인 풍부함을 고려할 때 수년간 중세 세르비아의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였다. 베네치아인들은 이를 경계했고, 단테 알리기에리는 당시 세르비아 왕인 스테판 우로시 2세 밀루틴을 위조범으로 지옥에 넣을 정도였다.[7][20]
2. 2. 근대 세르비아 디나르 (1868–1920)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 19세기 중반까지 세르비아에서는 다양한 외화가 사용되었다.[8] 오스만 제국은 노보 브르도, 쿠차이나, 베오그라드에 주조소를 운영했다. 디나르의 하위 단위인 파라(para)는 같은 이름의 터키 은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페르시아어 파라/پارهfa('돈, 동전'을 의미)에서 왔다.세르비아 공국이 공식적으로 설립된 1817년 후에도, 여러 종류의 외화가 계속 통용되었다.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공은 계산 통화로 그로쉬(세르비아어 grošsr-Latn, 프랑스어 및 영어 piastre프랑스어, 터키어 )를 기반으로 환율을 설정하여 질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1819년,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공은 금화 10종, 은화 28종, 동화 5종, 총 43종의 외화를 평가한 표를 발행했다.[21]
1867년 마지막 오스만 수비대가 철수하면서 세르비아는 여러 통화가 유통되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에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공은 국립 통화를 주조하도록 명령했다. 최초의 청동화는 1868년에 도입되었고, 1875년에는 은화, 1879년에는 금화가 도입되었다. 최초의 지폐는 1876년에 발행되었다.
1873년에서 1894년 사이에 세르비아 디나르는 프랑스 프랑에 고정되었다. 세르비아 왕국은 라틴 통화 동맹에 가입하여 1914년까지 복본위제를 고수했다. 그러나 세르비아 디나르를 금본위제로만 전환하려는 시도는 예산 적자 확대, 상당한 정부 외채, 열악한 금 준비금으로 인해 실패했다.[9]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세르비아 왕국의 지폐(5 디나르) 앞면과 뒷면에는 밀로스 오빌리치의 초상이 있었다.

1920년, 세르비아 디나르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로 액면가로 대체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크로네도 함께 유통되었다.
2. 3. 나치 독일 점령기 세르비아 디나르 (1941–1944)
1941년 나치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해체되면서, 독일 점령하 세르비아에서는 세르비아 구국 정부에 의해 세르비아 디나르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두 번째 세르비아 디나르는 독일 제국 마르크에 250 디나르 = 1 제국 마르크의 비율로 고정되었다. 이 디나르는 1944년까지 통용되었고, 그 해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가 재도입되면서, 세르비아 디나르는 1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20 세르비아 디나르의 비율로 대체되었다.2. 4. 현대 세르비아 디나르 (2003–현재)
세르비아 디나르는 2003년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대체했는데,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 공화국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으로 전환되었다. 몬테네그로 공화국 (1992–2006)과 분쟁 지역인 코소보는 이미 독일 마르크를 채택했고, 2002년 마르크가 유로로 대체되면서 유로를 사용했다.[11][2][3][4][5] 코소보의 세르비아인은 북코소보와 그 안의 월경지에서 계속해서 디나르를 사용한다.[11][2][3][4][5]2003년과 2006년 사이에 세르비아 디나르는 ISO 4217 코드 ''CSD''를 사용했으며, CS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ISO 3166-1 국가 코드였다. 2006년 국가 연합이 해체되면서 디나르의 ISO 4217 코드는 현재의 ''RSD''로 변경되었다.
현재의 세르비아 디나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칭한 2003년에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를 대체하는 형태로 부활했다. 몬테네그로와 코소보의 분쟁 지역에서는 유로가 일방적으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세르비아 공화국 내에서만 유통되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해체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코소보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에서는 세르비아 디나르가 계속 사용되고 있었지만, 2024년 2월에 코소보의 알빈 쿠르티총리는 전국에서의 결제 통화를 유로로 통일할 것을 발표하여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22]。쿠르티 총리는 이 결정이 세르비아 디나르로의 결제 금지 및 처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며, 수개월의 전환 기간이 있을 것임을 명시했다[23]。
3. 주화
1868년,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3세 공의 초상이 새겨진 1, 5, 10 파라 청동 주화가 도입되었다. 1875년에는 50 파라, 1, 2 디나르 은화가, 1879년에는 5 디나르 은화가 도입되었다. 1879년에는 최초의 금화인 20 디나르 금화가 발행되었고, 1882년에는 10 디나르 금화가 발행되었다. 1882년 밀란 1세 대관식을 위해 발행된 금화는 milandorsr-Latn (Milan d'Or프랑스어)라고 불렸다. 1883년에는 구리-니켈 합금으로 만든 5, 10, 20 파라 주화가, 1904년에는 청동 2 파라 주화가 도입되었다.
1942년에는 50 파라, 1, 2 디나르 아연 주화가, 1943년에는 10 디나르 아연 주화가 발행되었다.
현재 유통되는 동전은 1, 2, 5, 10, 20 디나르이다. 모든 동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세르비아어로 동일한 문구가 새겨져 있다. 10, 20 디나르 동전은 같은 액면가의 지폐가 대신 사용되기에 유통이 드물며, 기념 주화로서의 성격이 강하다.[24]
액면 | 직경 | 재질 | 앞면 | 뒷면 | 발행일 |
---|---|---|---|---|---|
1 디나르 | 20mm | 양백 | 세르비아 국립 은행 건물 | 세르비아 국립 은행 로고 | 2003년 7월 2일 |
황동 | 세르비아의 국장[25] | 2005년 7월 2일 | |||
강철에 구리와 황동 도금 | 2009년 3월 20일 | ||||
2 디나르 | 22mm | 양백 | 그라차니차 수도원 | 세르비아 국립 은행 로고 | 2003년 7월 2일 |
황동 | 세르비아의 국장[25] | 2006년 12월 27일 | |||
강철에 구리와 황동 도금 | 2009년 3월 20일 | ||||
5 디나르 | 24mm | 양백 | 크루셰돌 수도원 | 세르비아 국립 은행 로고 | 2003년 7월 2일 |
황동 | 세르비아의 국장[25] | 2005년 7월 2일 | |||
강철에 구리와 황동 도금 | 2013년 7월 5일 | ||||
10 디나르 | 26mm | 양백 | 스투데니차 수도원 | 세르비아 국립 은행 로고 | 2003년 7월 2일 |
세르비아의 국장 | 2005년 7월 2일 | ||||
200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로고 | 2009년 6월 26일 | ||||
20 디나르 | 28mm | 성 사바 대성당 | 세르비아 국립 은행 로고 | 2003년 7월 2일 | |
니콜라 테슬라 | 세르비아의 국장[25] | 2006년 7월 30일 | |||
도сите이 오브라도비치 | 2007년 12월 10일 | ||||
밀루틴 밀란코비치 | 2009년 6월 26일 | ||||
조르제 바제르트 | 2010년 6월 16일 | ||||
이보 안드리치 | 2011년 5월 20일 | ||||
미하일로 푸핀 | 2012년 6월 8일 |
4. 지폐
1876년, 세르비아는 1, 5, 10, 50, 100 디나르 액면의 국가 지폐를 도입했다.[10] 1884년부터 공인 국립 은행이 지폐 발행을 이어받아 은으로 뒷받침된 10 디나르 지폐와 금으로 뒷받침된 50, 100 디나르 지폐를 발행했다. 1905년에는 20 디나르 금화 지폐와 100 디나르 은화 지폐가 도입되었으나, 금화 지폐는 대중의 신뢰 부족으로 유통되지 못했다. 은화 지폐는 좋은 반응을 얻어 전체 지폐 유통의 95%를 차지했다.[10]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금과 은으로의 지폐 전환이 일시 중단되었다.[10]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과 1916년에는 각각 50 및 5 디나르 은화 지폐가 도입되었다.
1941년 5월, 세르비아 국립 은행은 10, 20, 50, 100, 500, 1,000 디나르 지폐를 발행했다. 100 및 1,000 디나르 지폐는 오버프린트되었으며, 10 디나르 디자인은 이전 유고슬라비아 지폐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2003년, 재설립된 세르비아 국립 은행은 100, 1,000, 5,000 디나르 지폐를 도입했다. 이후 2004년에는 500 디나르, 2005년에는 50 디나르, 2006년에는 10, 20, 200 디나르, 2011년에는 2,000 디나르 지폐가 발행되었다.
현재 유통되는 지폐는 다음과 같다.
이미지 | 액면 | 크기 | 앞면 | 뒷면 | |
---|---|---|---|---|---|
앞면 | 뒷면 | ||||
10 din. | 131 x 62 mm | 부크 카라지치 | 카라지치의 초상 (1848년) | ||
20 din. | 135 x 64 mm |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슈/Petar II Petrović-Njegoš영어 | 페타르 2세의 조각상과 로브첸 산 | ||
50 din. | 139 x 66 mm | 스테판 모크라냐츠 | 모크라냐츠의 초상과 음표, 오선지 | ||
100 din. | 143 x 68 mm | 니콜라 테슬라 | 테슬라의 초상, 유도 전동기의 도해, 비둘기 모티프 | ||
200 din. | 147 x 70 mm | 나데지다 페트로비치, 그라차니차 수도원/Gračanica Monastery영어 | 페트로비치의 초상, 그라차니차 수도원 | ||
500 din. | 요반 츠비이치/Jovan Cvijić영어, 발칸반도의 지도 | 세르비아 전통 의상의 문양 | |||
1000 din. | 151 x 72 mm | 조르제 바이페르트/Đorđe Vajfert영어 | 바이페르트의 초상과 세르비아 국립 은행의 label=건물/National Bank Building, Belgrade영어 | ||
2000 din. | 155 x 74 mm | 밀루틴 밀란코비치 | 밀란코비치의 논문에 쓰인 일러스트 | ||
5000 din. | 159 x 76 mm | 슬로보단 요바노비치/Slobodan Jovanović영어 | 요바노비치의 초상과 국회의사당 | ||
이들 이미지의 스케일은 0.7px/mm이다. |
현재 유통되는 지폐 디자인은 2000년에 발행된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지폐를 계승하여 전체적인 구도와 색상은 동일하지만, 세부적인 모티프가 변경되었다.[25][26]
5. 환율
세르비아 디나르의 환율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동되므로, 정확한 정보는 외부 웹사이트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참조
[1]
서적
Travel Guide Serbia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Kosovo's bitter enemies look to heal old wounds
https://www.theguard[...]
2018-04-28
[3]
웹사이트
Points of dispute between Kosovo and Serbia
https://www.france24[...]
2021-11-26
[4]
웹사이트
Kosovo loses millions of euros from the use of the Serbian dinar
https://kosovapress.[...]
Kosova Press
2021-11-26
[5]
웹사이트
Foreign travel advice Kosovo
https://www.gov.uk/f[...]
UK Government
2021-11-26
[6]
웹사이트
New 2000 dinars and revised 1000 and 500 dinars banknotes in circulation
http://www.nbs.rs/in[...]
National Bank of Serbia
[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er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8]
서적
Contributions to the monetary history of Serbia, Montenegro and Yugoslavia
Spink & Son, Ltd
[9]
간행물
Dinar Exchange Rate in the Kingdom of Serbia 1882–1914
https://www.econstor[...]
2024-02-26
[10]
웹사이트
South-Eastern European monetary and economic statistics from the 19th century to World War II
https://nbs.rs/en/dr[...]
2024-02-26
[11]
서적
Travel Guide Serbia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Kosovo Says Dinar 'Not Banned' Amid New Row With Serbia
https://www.barrons.[...]
2024-02-08
[13]
뉴스
Kosovo accused of raising ethnic tensions by banning use of Serbian dinar
https://www.theguard[...]
2024-02-08
[14]
뉴스
Kosovo says dinar 'not banned' amid new row with Serbia
https://www.rfi.fr/e[...]
2024-02-07
[15]
웹사이트
http://www.nbs.rs/in[...]
National Bank of Serbia
[16]
웹사이트
http://www.nbs.rs/in[...]
National Bank of Serbia
[17]
웹사이트
Serbia new 5,000 dinar note confirmed
http://banknotenews.[...]
2011-12-23
[18]
URL
https://www.theguard[...]
[19]
서적
Bradt Travel Guide Serbia
https://books.google[...]
[2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erbia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21]
서적
Contributions to the monetary history of Serbia, Montenegro and Yugoslavia
Spink & Son, Ltd
[22]
뉴스
Kosovo accused of raising ethnic tensions by banning use of Serbian dinar
https://www.theguard[...]
2024-11-26
[23]
웹사이트
Kosovo says dinar 'not banned' amid new row with Serbia
https://www.rfi.fr/e[...]
2024-11-26
[24]
웹사이트
Annual Report on Activities and Results 2023
https://www.nbs.rs/e[...]
セルビア国立銀行
2024-12-08
[25]
문서
セルビアの国章は2010年11月に変更されており、2011年~2013年にかけて貨幣にも変更が反映された。
[26]
웹사이트
NBS {{!}} Novčanice van opticaja izdanja Narodne banke Jugoslavije
https://web.archive.[...]
2024-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