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의 총리는 세르비아의 행정부 수반이다. 세르비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부 수반 직함을 거쳤으며, 그 명칭과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1804년에서 1813년까지의 세르비아 혁명 시기에는 통치 평의회 의장이 존재했으며, 1815년부터 1882년까지 세르비아 공국 시기에는 공작 대리, 1861년부터 1882년까지는 장관 회의 의장이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 1882년부터 1918년까지 세르비아 왕국 시기에는 장관 회의 의장이 정부 수반이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군정 및 괴뢰 정부 시기에는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세르비아 구국 정부 주석이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과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총리 또는 행정위원회 위원장이 정부 수반 역할을 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기에는 총리가 있었으며, 2006년 세르비아 공화국 독립 이후 현재까지 총리직이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정치 - 대세르비아
    대세르비아주의는 세르비아가 주변 지역, 특히 인근 국가의 세르비아인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18세기 이후의 민족주의 이념으로, 영토 확장 구상, 영향력 확대 목표,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갈등 원인으로서의 역할을 거쳐 최근에는 "세르비아 세계"라는 개념으로 이어지고 있다.
  • 세르비아의 정치 - 국민의회 (세르비아)
    세르비아 국민의회는 4년마다 선거를 통해 구성되며, 헌법 수정, 국제 조약 비준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지는 세르비아의 단원제 입법부이다.
  • 세르비아의 총리 -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미르코 츠베트코비치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세르비아 총리를 역임했으며,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개선, 경제 및 사회적 책임 강화, 부패 척결 등을 주요 정책 목표로 추진했다.
  • 세르비아의 총리 - 아나 브르나비치
    아나 브르나비치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으로, 2017년부터 총리를 역임하고 2024년 국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친유럽주의와 기술관료주의를 표방하며 현대화, 교육 개혁, 디지털화를 추진했고, 세르비아 최초의 여성 동성애자 총리이기도 하다.
세르비아의 총리
정부 수반
직책정부통령
소속 국가세르비아
휘장
세르비아 국장
국장
세르비아 국기
국기
정보
현직밀로시 부체비치
현직 임명일2024년 5월 2일
부서정부
경칭각하
직책 유형정부 수반
정부 소속정부
집무실정부 건물, 11 네만지나, 베오그라드
지명자대통령
임명자국회
임기임기 제한 없음
설립1805년 8월 27일
첫 번째마티야 네나도비치
비공식 명칭총리
부통령제1 부총리
급여월 148,772 세르비아 디나르 /
웹사이트srbija.gov.rs
정치
대통령알렉산다르 부치치
선거
대통령 선거2017년, 2022년
국회의원 선거2023년, 다음
지방 선거2020년, 2023년
지역 선거2023년, 2024년
기타
관련 포털세르비아

2. 세르비아 혁명 시기 (1804년 ~ 1813년)

세르비아 혁명 시기 세르비아 정부의 최고 행정 수반은 '통치 평의회 의장'이었다. 처음에는 평의회에 장관 없이 위원만 있었으나, 1811년에 현대적인 부처가 설립되었다. 1813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실패하면서 정부는 일시 해산되었으나, 이후 러시아 제국 호틴에서 망명 정부 형태로 존속했다.[4][5][6][7]

2. 1. 통치 평의회 의장

세르비아 혁명 시기 최고 행정 장관 직함은 '''통치 평의회 의장'''()이었다.[4][5][6][7] 1813년 10월 3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붕괴되면서 정부는 해산되었으나, 이후 러시아 제국 호틴에서 망명 정부로 존속했다.

통치 평의회 의장 (1805–1814)
#초상화이름임기내각국가 원수
취임퇴임
1
마티야 네나도비치
마티야 네나도비치1805년 8월 27일1807년 4월М. Nenadović카라조르제
[2][8][9]
2
믈라덴 밀로바노비치
믈라덴 밀로바노비치1807년 4월1810년 12월 31일Milovanović[9][10]
3
야코브 네나도비치
야코브 네나도비치1810년 12월 31일1811년 1월 11일Ј. Nenadović[10][11]
4--카라조르제1811년 1월 11일1813년 10월 3일Petrović[10][12][13]


3. 세르비아 공국 시기 (1815년 ~ 1882년)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이후 세르비아에 정부가 복원되었다. 이 때 정부 수반의 직함은 '공작 대리'였다. 1835년 헌법 정부가 수립된 후에도 1861년까지 이 직함은 공식적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 직책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세 공작의 의지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실질적인 중요성이나 영향력은 거의 없었다.

1861년부터 정부 수반의 직함은 '장관 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3. 1. 공작 대리 (1815년 ~ 1861년)

6
예브렘 오브레노비치1821년1826년무소속밀로시 오브레노비치 공작의 동생7
밀로예 토도로비치1826년1826년무소속8
디미트리예 다비도비치1826년1829년무소속9--코차 마르코비치1835년 2월 15일1836년 3월 28일무소속
텐카 스테파노비치1836년 3월 28일1839년 2월 26일무소속권한대행10
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1839년 2월 26일1840년 4월 7일무소속첫 번째 임기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파운 얀코비치1840년 4월 7일1840년 5월 15일무소속권한대행11--조르제 프로티치1840년 5월 15일1842년 9월 7일무소속(10)--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1842년 9월 7일1843년 10월 6일무소속두 번째 임기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12
알렉사 시미치1843년 10월 6일1844년 10월 11일무소속첫 번째 임기(10)--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1844년 10월 11일1852년 4월 22일무소속세 번째 임기. 콘스탄티노플에서 오스만 제국 방문 중 사망.13
일리야 가라샤닌1852년 4월 22일1853년 3월 26일무소속첫 번째 임기(12)--알렉사 시미치1853년 3월 26일1855년 12월 28일무소속두 번째 임기14--알렉사 얀코비치1855년 12월 28일1856년 6월 10일무소속
스테판 마르코비치1856년 6월 10일1856년 9월 28일무소속권한대행(12)--알렉사 시미치1856년 9월 28일1857년 7월 1일무소속세 번째 임기15스테판 마르코비치1857년 7월 1일1858년 6월 12일무소속16
스테반 마가지노비치1858년 6월 12일1859년 4월 18일무소속rowspan="2"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7
츠베트코 라요비치1859년 4월 18일1860년 11월 8일무소속rowspan="2"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18
필립 크리스티치1860년 11월 8일1861년 10월 21일무소속


3. 2. 장관 회의 의장 (1861년 ~ 1882년)

4. 세르비아 왕국 시기 (1882년 ~ 1918년)

1903년부터 1918년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성립될 때까지 정부 수반의 직함은 '''장관 평의회 의장'''(Председник Министарског савета / ''Predsednik Ministarskog saveta'')이었다.[4]

4. 1. 장관 회의 의장 (1882년 ~ 1918년)

1861년부터 1903년까지 세르비아 정부 수반의 직함은 '''장관 회의 의장''' (Председник министарства / ''Predsednik ministarstva'')이었다.[4][5][6][7]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밀란 피로차나츠1882년1883년
니콜라 크리스티치1883년1884년
밀루틴 가라샤닌1884년1887년
요반 리스티치1887년1887년
사바 그루이치1888년1888년
니콜라 크리스티치1888년1889년
코스타 프로티치1889년1889년군 장교(장군)
사바 그루이치1889년1891년
니콜라 파시치1891년1892년1918년 유고슬라비아 총리 직무대행
요반 아바쿠모비치1892년1893년
라자르 도키치1893년1893년자연사
사바 그루이치1893년1894년
조르제 시미치1894년1894년
스베토미르 니콜라예비치1894년1894년
니콜라 크리스티치1894년1895년
스토얀 노바코비치1895년1896년
조르제 시미치1896년1897년
블라단 조르제비치1897년1900년
알렉사 요바노비치1900년1901년
미하일로 부이치1901년1902년
페타르 벨리미로비치1902년1902년
디미트리예 칭카르-마르코비치1902년1903년군 장교(장군), 5월 쿠데타 중 암살
요반 아바쿠모비치1903년1903년
사바 그루이치1903년1904년
니콜라 파시치1904년1905년
류보미르 스토야노비치1905년1906년
사바 그루이치1906년1906년
니콜라 파시치1906년1908년
페타르 벨리미로비치1908년1909년
스토얀 노바코비치1909년1909년
니콜라 파시치1909년1911년
밀로반 밀로바노비치1911년1912년자연사
마르코 트리프코비치1912년1912년
니콜라 파시치1912년1918년


5. 나치 군정 및 괴뢰 정부 시기 (1941년 ~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 점령 하에 세르비아는 괴뢰 정부를 수립했다. 이 시기에는 밀란 아치모비치와 밀란 네디치 두 명의 지도자가 있었다. 아치모비치는 파시스트로 1941년 잠시 동안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1] 네디치는 세르비아 구국 정부 주석을 맡았다.

5. 1. 인민위원회 위원장 (1941년)

밀란 아치모비치는 1941년 4월 30일부터 1941년 8월 29일까지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파시스트였다.[1]

5. 2. 세르비아 구국 정부 주석 (1941년 ~ 1944년)

밀란 네디치는 1941년 8월 29일부터 1944년 10월 10일까지 세르비아 구국 정부의 주석을 역임한 파시스트이다.

6. 유고슬라비아 시기 (1945년 ~ 1991년)

1945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에서 세르비아는 자치 공화국으로 존재했으며, 정부 수반은 총리 또는 행정위원회 위원장으로 불렸다.[4][5][6][7] 1990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세르비아는 독립을 선언하고 총리직을 유지했다.

초기 정부 수반의 직함은 '최고 국가 해방 평의회 집행 평의회 의장'이었고, 1945년 3월 7일까지 유지되었다. 같은 날, 유고슬라비아 정부 내에 세르비아를 위한 부처가 설립되었고, '세르비아 장관'이 전후 세르비아의 첫 번째 일당 정부를 수립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이는 1945년 4월 9일에 이루어졌다.

1953년 2월 3일까지는 '정부 의장', 1991년 1월 15일까지는 '집행 평의회 의장', 그 이후로는 다시 '정부 의장' 직함이 사용되었다. 1991년 드라구틴 젤레노비치 정부 이후로는 '총리'라는 용어가 구어적으로 사용되었다.

6. 1.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 (1945년 ~ 1963년)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sr 시기(1945년 ~ 1963년) 세르비아의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세르비아 장관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일부)'''

'''총리'''

'''행정위원회 위원장'''

6. 2.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1963년 ~ 1991년)

이름취임퇴임정당
슬로보단 페네지치 크르춘1962년 6월 9일1964년 11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스테반 도로니스키 (대리)1964년 11월 6일1964년 11월 17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드라기 스타멘코비치1964년 11월 17일1967년 5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주리차 요이키치1967년 5월 6일1969년 5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밀렌코 보야니치1969년 5월 7일1974년 5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두샨 츠크레비치|Dušan Čkrebićsr1974년 5월 6일1978년 5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이반 스탐볼리치1978년 5월 6일1982년 5월 5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브라니슬라브 이코니치1982년 5월 5일1986년 5월 6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데시미르 예프티치1986년 5월 6일1989년 12월 5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스탄코 라드밀로비치1989년 12월 5일1991년 2월 11일세르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1990년까지) → 세르비아 사회당 (1990년부터)


7.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기 (1991년 ~ 2006년)

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드라구틴 젤레노비치1991년 2월 11일1991년 12월 23일세르비아 사회당
라도만 보조비치1991년 12월 23일1993년 2월 10일세르비아 사회당
니콜라 샤이노비치1993년 2월 10일1994년 3월 18일세르비아 사회당
미르코 마르야노비치1994년 3월 18일2000년 10월 24일세르비아 사회당
밀로미르 미니치2000년 10월 24일2001년 1월 25일세르비아 사회당
조란 진지치2001년 1월 25일2003년 3월 12일민주당
네보이샤 초비치 (권한 대행)2003년 3월 12일2003년 3월 17일민주 대안
자르코 코라츠 (권한 대행)2003년 3월 17일2003년 3월 18일세르비아 사회민주당
조란 지브코비치2003년 3월 18일2004년 3월 3일민주당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2004년 3월 3일2006년 6월 5일세르비아 민주당



조란 진지치는 2003년 3월 12일에 암살되었다.[4]

8. 세르비아 공화국 (2006년 ~ 현재)

순번이름초상화취임일퇴임일정당비고
1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2006년 6월 5일2008년 7월 7일세르비아 민주당
2미르코 츠베트코비치2008년 7월 7일2012년 7월 27일무소속
3이비차 다치치2012년 7월 27일2014년 4월 27일세르비아 사회당
4알렉산다르 부치치2014년 4월 27일2017년 5월 31일세르비아 진보당
-이비차 다치치2017년 5월 31일2017년 6월 29일세르비아 사회당총리 권한 대행
5아나 브르나비치2017년 6월 29일2024년 3월 20일세르비아 진보당
-이비차 다치치2024년 3월 20일2024년 5월 2일세르비아 사회당총리 권한 대행
6밀로스 부체비치2024년 5월 2일현재세르비아 진보당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www.parlament[...] 2022-10-30
[2] 뉴스 Istorija srpskih vlada https://www.politika[...] 2022-10-30
[3] 웹사이트 Izglasana nova Vlada Srbije https://n1info.rs/ve[...] 2024-05-04
[4] 웹사이트 Praviteljstvujušči sovjet serbski: vlada, skupština ili nešto treće? https://talas.rs/202[...] 2022-10-30
[5] 논문 Trgovina soli između Srbije i Vlaške u vreme Prvog srpskog ustanka https://books.google[...] Istorijski institut Beograd 2022-10-30
[6] 웹사이트 Sovjet, razmotrilište, centralno pravlenije, izvršno veće, vlada https://www.vreme.co[...] 2022-10-30
[7]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Serbia (1844-1867) : Ilija Garašanin's Načertanije = La politique étrangère de la Serbie (1844-1867) : Načertanije d'Ilija Garašanin https://www.worldcat[...] 2022-10-30
[8] 서적 The Great Cauldron: A History of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10-30
[9] 서적 The Memoirs of Prota Mateja Nenadović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22-10-30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Serbia, 1804-1918 https://www.worldcat[...] Harcourt Brace Jovanovich
[11] 서적 Lokalna uprava i razvoj moderne srpske države : od knežinske do opštinske samouprave https://www.worldcat[...] 2022-10-30
[12] 서적 The Balkans : nationalism, war, and the Great Powers, 1804-1999 https://www.worldcat[...] Viking 2022-10-30
[13] 서적 Narodna enciklopedija srpsko-hrvatsko-slovenac̆ka https://books.google[...] Bibilografski zavod
[14] 웹사이트 PM Brnabic joins Vucic's ruling Serbian Progressive Party https://web.archive.[...] 2019-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