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의 총리는 세르비아의 행정부 수반이다. 세르비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부 수반 직함을 거쳤으며, 그 명칭과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1804년에서 1813년까지의 세르비아 혁명 시기에는 통치 평의회 의장이 존재했으며, 1815년부터 1882년까지 세르비아 공국 시기에는 공작 대리, 1861년부터 1882년까지는 장관 회의 의장이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 1882년부터 1918년까지 세르비아 왕국 시기에는 장관 회의 의장이 정부 수반이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나치 군정 및 괴뢰 정부 시기에는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세르비아 구국 정부 주석이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과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총리 또는 행정위원회 위원장이 정부 수반 역할을 했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기에는 총리가 있었으며, 2006년 세르비아 공화국 독립 이후 현재까지 총리직이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정치 - 대세르비아
대세르비아주의는 세르비아가 주변 지역, 특히 인근 국가의 세르비아인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18세기 이후의 민족주의 이념으로, 영토 확장 구상, 영향력 확대 목표,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갈등 원인으로서의 역할을 거쳐 최근에는 "세르비아 세계"라는 개념으로 이어지고 있다. - 세르비아의 정치 - 국민의회 (세르비아)
세르비아 국민의회는 4년마다 선거를 통해 구성되며, 헌법 수정, 국제 조약 비준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지는 세르비아의 단원제 입법부이다. - 세르비아의 총리 - 미르코 츠베트코비치
미르코 츠베트코비치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세르비아 총리를 역임했으며,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개선, 경제 및 사회적 책임 강화, 부패 척결 등을 주요 정책 목표로 추진했다. - 세르비아의 총리 - 아나 브르나비치
아나 브르나비치는 세르비아의 정치인으로, 2017년부터 총리를 역임하고 2024년 국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친유럽주의와 기술관료주의를 표방하며 현대화, 교육 개혁, 디지털화를 추진했고, 세르비아 최초의 여성 동성애자 총리이기도 하다.
세르비아의 총리 | |
---|---|
정부 수반 | |
직책 | 정부통령 |
소속 국가 | 세르비아 |
휘장 | |
![]() | |
![]() | |
정보 | |
현직 | 밀로시 부체비치 |
현직 임명일 | 2024년 5월 2일 |
부서 | 정부 |
경칭 | 각하 |
직책 유형 | 정부 수반 |
정부 소속 | 정부 |
집무실 | 정부 건물, 11 네만지나, 베오그라드 |
지명자 | 대통령 |
임명자 | 국회 |
임기 | 임기 제한 없음 |
설립 | 1805년 8월 27일 |
첫 번째 | 마티야 네나도비치 |
비공식 명칭 | 총리 |
부통령 | 제1 부총리 |
급여 | 월 148,772 세르비아 디나르 / |
웹사이트 | srbija.gov.rs |
정치 | |
대통령 | 알렉산다르 부치치 |
선거 | |
대통령 선거 | 2017년, 2022년 |
국회의원 선거 | 2023년, 다음 |
지방 선거 | 2020년, 2023년 |
지역 선거 | 2023년, 2024년 |
기타 | |
관련 포털 | 세르비아 |
2. 세르비아 혁명 시기 (1804년 ~ 1813년)
세르비아 혁명 시기 세르비아 정부의 최고 행정 수반은 '통치 평의회 의장'이었다. 처음에는 평의회에 장관 없이 위원만 있었으나, 1811년에 현대적인 부처가 설립되었다. 1813년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실패하면서 정부는 일시 해산되었으나, 이후 러시아 제국 호틴에서 망명 정부 형태로 존속했다.[4][5][6][7]
2. 1. 통치 평의회 의장
세르비아 혁명 시기 최고 행정 장관 직함은 '''통치 평의회 의장'''()이었다.[4][5][6][7] 1813년 10월 3일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붕괴되면서 정부는 해산되었으나, 이후 러시아 제국 호틴에서 망명 정부로 존속했다.# | 초상화 | 이름 | 임기 | 내각 | 국가 원수 | ||
---|---|---|---|---|---|---|---|
취임 | 퇴임 | ||||||
1 | ![]() | 마티야 네나도비치 | 1805년 8월 27일 | 1807년 4월 | М. Nenadović | 카라조르제![]() | [2][8][9] |
2 | ![]() | 믈라덴 밀로바노비치 | 1807년 4월 | 1810년 12월 31일 | Milovanović | [9][10] | |
3 | ![]() | 야코브 네나도비치 | 1810년 12월 31일 | 1811년 1월 11일 | Ј. Nenadović | [10][11] | |
4 | -- | 카라조르제 | 1811년 1월 11일 | 1813년 10월 3일 | Petrović | [10][12][13] |
1815년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이후 세르비아에 정부가 복원되었다. 이 때 정부 수반의 직함은 '공작 대리'였다. 1835년 헌법 정부가 수립된 후에도 1861년까지 이 직함은 공식적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이 직책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세 공작의 의지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실질적인 중요성이나 영향력은 거의 없었다.
3. 세르비아 공국 시기 (1815년 ~ 1882년)
1861년부터 정부 수반의 직함은 '장관 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3. 1. 공작 대리 (1815년 ~ 1861년)
6 예브렘 오브레노비치 1821년 1826년 무소속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공작의 동생 7 밀로예 토도로비치 1826년 1826년 무소속 8 디미트리예 다비도비치 1826년 1829년 무소속 9 -- 코차 마르코비치 1835년 2월 15일 1836년 3월 28일 무소속 텐카 스테파노비치 1836년 3월 28일 1839년 2월 26일 무소속 권한대행 10 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 1839년 2월 26일 1840년 4월 7일 무소속 첫 번째 임기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 파운 얀코비치 1840년 4월 7일 1840년 5월 15일 무소속 권한대행 11 -- 조르제 프로티치 1840년 5월 15일 1842년 9월 7일 무소속 (10) -- 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 1842년 9월 7일 1843년 10월 6일 무소속 두 번째 임기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12 알렉사 시미치 1843년 10월 6일 1844년 10월 11일 무소속 첫 번째 임기 (10) -- 아브람 페트로니예비치 1844년 10월 11일 1852년 4월 22일 무소속 세 번째 임기. 콘스탄티노플에서 오스만 제국 방문 중 사망. 13 일리야 가라샤닌 1852년 4월 22일 1853년 3월 26일 무소속 첫 번째 임기 (12) -- 알렉사 시미치 1853년 3월 26일 1855년 12월 28일 무소속 두 번째 임기 14 -- 알렉사 얀코비치 1855년 12월 28일 1856년 6월 10일 무소속 스테판 마르코비치 1856년 6월 10일 1856년 9월 28일 무소속 권한대행 (12) -- 알렉사 시미치 1856년 9월 28일 1857년 7월 1일 무소속 세 번째 임기 15 스테판 마르코비치 1857년 7월 1일 1858년 6월 12일 무소속 16 스테반 마가지노비치 1858년 6월 12일 1859년 4월 18일 무소속 rowspan="2" |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7 츠베트코 라요비치 1859년 4월 18일 1860년 11월 8일 무소속 rowspan="2"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18 필립 크리스티치 1860년 11월 8일 1861년 10월 21일 무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