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메레디의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메레디의 정리는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 자연수의 부분 집합은 모든 양의 정수 k에 대해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유한 버전과 함수 rk(N)을 사용한 공식화와 동치이며, 이는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갖지 않는 집합 {1, 2, ..., N}의 가장 큰 부분 집합의 크기를 나타낸다. 세메레디 정리는 1927년 반 데르 바르덴 정리에서 시작되어 1975년 세메레디 엔드레에 의해 일반적인 경우에 증명되었다. 이 정리는 힐렐 퓌르스텐베르크와 티모시 가워스 등에 의해 새로운 증명이 제시되었으며, 정량적 경계와 확장 및 일반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론 정리 - 딜워스의 정리
딜워스의 정리는 부분 순서 집합의 너비와 사슬 분할의 최소 크기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유한한 너비를 갖는 부분 순서 집합은 너비와 같은 수의 사슬로 분할될 수 있다고 말한다. - 조합론 정리 - 포여 열거 정리
포여 열거 정리는 조합론에서 대칭성을 고려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의 개수를 세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정리로, 다중 지표, 무게 함수, 생성 함수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일반화된 공식을 제공하며 코시-프로베니우스 보조정리를 증명에 활용한다. - 램지 이론 - 램지의 정리
램지의 정리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램지 수가 존재한다는 정리로, 그래프 이론으로 해석되며, 특정 크기의 동색 클릭이 존재함을 보장하고, 램지 이론의 시초로 여겨진다. - 램지 이론 - 비둘기집 원리
비둘기집 원리는 n개의 비둘기집에 n+1마리 이상의 비둘기를 넣으면 적어도 하나의 비둘기집에는 두 마리 이상의 비둘기가 들어간다는 간단한 원리이며, 귀류법으로 증명되고, 소프트볼 팀 구성, 해시 테이블 충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수론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세메레디의 정리 | |
---|---|
기본 정보 | |
![]() | |
분야 | 정수론 |
업적 | 세메레디의 정리 |
인물 정보 | |
출생 | 1940년 8월 21일 |
출생지 | 헝가리 부다페스트 |
사망 | 2024년 1월 27일 (향년 83세) |
국적 | 헝가리 |
모교 | 부다페스트 대학교 |
지도 학생 | 앤드루 스톤 토마스 켈리 |
수상 | 외국인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회원 괴델 연구상 (1993년) 스틸 상 (2008년) 아벨 상 (2021년) |
2. 정의
세메레디 정리는 자연수의 부분 집합이 양의 상부 밀도를 가질 때, 그 집합이 임의의 길이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밀도, 유한 버전, 점근적 경계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2. 1. 밀도 정의
자연수의 부분 집합 ''A''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다고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