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메레디의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메레디의 정리는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 자연수의 부분 집합은 모든 양의 정수 k에 대해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유한 버전과 함수 rk(N)을 사용한 공식화와 동치이며, 이는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갖지 않는 집합 {1, 2, ..., N}의 가장 큰 부분 집합의 크기를 나타낸다. 세메레디 정리는 1927년 반 데르 바르덴 정리에서 시작되어 1975년 세메레디 엔드레에 의해 일반적인 경우에 증명되었다. 이 정리는 힐렐 퓌르스텐베르크와 티모시 가워스 등에 의해 새로운 증명이 제시되었으며, 정량적 경계와 확장 및 일반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론 정리 - 딜워스의 정리
    딜워스의 정리는 부분 순서 집합의 너비와 사슬 분할의 최소 크기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유한한 너비를 갖는 부분 순서 집합은 너비와 같은 수의 사슬로 분할될 수 있다고 말한다.
  • 조합론 정리 - 포여 열거 정리
    포여 열거 정리는 조합론에서 대칭성을 고려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의 개수를 세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정리로, 다중 지표, 무게 함수, 생성 함수 등의 개념을 활용하여 일반화된 공식을 제공하며 코시-프로베니우스 보조정리를 증명에 활용한다.
  • 램지 이론 - 램지의 정리
    램지의 정리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램지 수가 존재한다는 정리로, 그래프 이론으로 해석되며, 특정 크기의 동색 클릭이 존재함을 보장하고, 램지 이론의 시초로 여겨진다.
  • 램지 이론 - 비둘기집 원리
    비둘기집 원리는 n개의 비둘기집에 n+1마리 이상의 비둘기를 넣으면 적어도 하나의 비둘기집에는 두 마리 이상의 비둘기가 들어간다는 간단한 원리이며, 귀류법으로 증명되고, 소프트볼 팀 구성, 해시 테이블 충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수론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세메레디의 정리
기본 정보
피터르 스테번스 블레머르의 초상화
"피터르 스테번스 블레머르의 초상화, 테오도르 얀센 판 알멜로베엔의 소장품"
분야정수론
업적세메레디의 정리
인물 정보
출생1940년 8월 21일
출생지헝가리 부다페스트
사망2024년 1월 27일 (향년 83세)
국적헝가리
모교부다페스트 대학교
지도 학생앤드루 스톤
토마스 켈리
수상외국인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회원
괴델 연구상 (1993년)
스틸 상 (2008년)
아벨 상 (2021년)

2. 정의

세메레디 정리는 자연수의 부분 집합이 양의 상부 밀도를 가질 때, 그 집합이 임의의 길이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밀도, 유한 버전, 점근적 경계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2. 1. 밀도 정의

자연수의 부분 집합 ''A''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다고 정의한다.

:\limsup_{n \to \infty}\frac

{n} > 0.

세메레디 정리는 양의 상부 밀도를 갖는 자연수의 부분 집합은 모든 양의 정수 ''k''에 대해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고 명시한다.

2. 2. 유한 버전

이 정리의 자주 사용되는 동치 유한 버전은 모든 양의 정수 ''k''와 실수 \delta \in (0, 1]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N = N(k,\delta)

가 존재하여, 크기가 \delta N 이상인 집합 {1, 2, ..., ''N''}의 모든 부분 집합은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2. 3. 점근적 경계

함수 ''r''''k''(''N'')은 길이 ''k''의 등차 수열을 갖지 않는 집합 {1, 2, ..., ''N''}의 가장 큰 부분 집합의 크기로 정의된다. 세메레디 정리는 다음과 같은 점근적 경계와 동치이다.

:r_k(N) = o(N).

이는 ''r''''k''(''N'')이 ''N''과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의미한다.

3. 역사

1927년 반 데르 바르덴 정리가 세메레디 정리의 전신으로 증명되었다. 1936년 에르되시 팔투란 팔이 가설을 세웠고, 1975년 세메레디 엔드레가 복잡한 조합론적 방법을 이용해 증명에 성공하였다.[5] 1977년 힐렐 퓌르스텐베르크는 에르고딕 이론의 문제로 치환하는 놀라운 발상에 착안해 색다른 증명을 만들었다.[7][8]

''k'' = 3인 경우는 1953년 클라우스 로스[2]가 하디-리틀우드 원법을 변형하여 증명했다. 세메레디[3]는 조합론을 통해 ''k'' = 4의 경우를 증명했다. 로스[4]1972년에 ''k'' = 3의 경우에 사용했던 접근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k'' = 4에 대한 두 번째 증명을 제시했다.

일반적인 경우는 1975년에 세메레디[5]가 해결했는데, 그는 이전에 ''k'' = 4에 대해 사용했던 조합론적 논증을 독창적이고 복잡하게 확장했다. 이는 에르되시[6]에 의해 "조합적 추론의 걸작"이라고 불렸다. 현재 몇 가지 다른 증명들이 알려져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1977년 힐렐 퍼스텐버그[7][8]2001년 푸리에 해석과 조합론을 모두 사용하면서 현재 거워스 노름이라고 불리는 것을 도입한 티모시 가워스[9]에 의한 증명이다. 테렌스 타오는 세메레디의 정리의 다양한 증명을 서로 다른 수학 분야를 연결하는 "로제타석"이라고 불렀다.[10]

4. 정량적 경계

''r''''k''(''N'')의 정확한 성장률을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미해결 문제이다. 현재 알려진 일반적인 경계는 다음과 같다.

:CN\exp\left(-n2^{(n - 1)/2}\sqrt[n]{\log N} + \frac{1}{2n}\log \log N\right) \leq r_k(N) \leq \frac{N}{(\log \log N)^{2^{-2^{k + 9}}}},

여기서 n = \lceil \log k\rceil이다. 하한은 베렌트,[12] 랭킨,[13] 및 엘킨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O'Bryant에 의해 제시되었다.[14][15] 상한은 가워스에 의해 제시되었다.[9]

작은 ''k''의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좁은 경계가 존재한다. ''k'' = 3일 때, 부르갱,[16][17] 히스-브라운,[18] 세메레디,[19] 샌더스,[20] 및 블룸[21]은 점진적으로 더 작은 상한을 설정했으며, 블룸과 시삭은 "로그 장벽"을 깬 최초의 경계를 증명했다.[22] 현재 최상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N 2^{-\sqrt{8\log N}} \leq r_3(N) \leq N e^{-c(\log N)^{1/9}} , 어떤 상수 c>0 에 대해,

각각 O'Bryant,[11]와 블룸과 시삭에 의해 제시되었다.[23]

''k'' = 4의 경우, 그린과 타오[25][26]는 다음을 증명했다.

:r_4(N) \leq C\frac{N}{(\log N)^c}

2023년 ''k''=5 및 2024년 ''k''≥5의 경우 Leng, Sah 및 Sawhney는 다음을 증명했다.[27][28][29]

:r_k(N) \leq CN\exp(-(\log\log N)^c)

5. 확장 및 일반화

힐렐 퍼스텐버그와 이츠하크 카츠넬슨은 에르고딕 이론을 사용하여 세메레디 정리의 다차원 일반화를 증명하였다.[30] 이후 티모시 가워스,[31] 보이테흐 뢰들과 요제프 스코칸,[32][33] 브렌든 네이글, 뢰들, 마티아스 샤흐트,[34] 테렌스 타오[35]는 조합론적 증명을 제시했다.

알렉산더 라이브만과 비탈리 베르겔슨은 세메레디 정리를 다항식 진행으로 일반화하였다.[36] 이는 A \subset \mathbb{N}이 양의 상한 밀도를 가진 집합이고 p_1(n),p_2(n),\dotsc,p_k(n)p_i(0) = 0인 정수 값 다항식이면, 모든 1 \leq i \leq k에 대해 u + p_i(n) \in A인 무한히 많은 u, n \in \mathbb{Z}가 존재한다는 내용이다. 라이브만과 베르겔슨의 결과는 다차원 설정에서도 적용된다.

세메레디 정리의 유한 버전은 유한체 위의 벡터 공간을 포함한 유한 가산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37] 유한체 유사체는 자연수에서의 정리를 이해하는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38]

그린-타오 정리는 소수가 임의로 긴 등차 수열을 포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수는 자연수에서 밀도가 0이므로, 이는 세메레디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도출되지 않는다.

에르되시 산술 진행에 대한 추측은 세메레디 정리와 그린-타오 정리를 모두 일반화하는 더 강력한 추측이다.

5. 1. 캡 집합 문제

\mathbb{F}_3^n에서 세메레디 정리의 k=3인 경우의 경계를 얻는 문제는 캡 집합 문제로 알려져 있다.[37]

5. 2. 상대적 세메레디 정리

벤 그린과 테렌스 타오는 증명의 일부로, 특정 유사랜덤성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의 부분 집합(밀도가 0인 경우 포함)에 적용되는 "상대적" 세메레디 정리를 도입했다.[39] 데이비드 콘론, 제이콥 폭스, 유페이 자오는 더 일반적인 상대적 세메레디 정리를 제시했다.[40]

참조

[1] 논문 On some sequences of integers http://www.renyi.hu/[...]
[2] 논문 On certain sets of integers
[3] 논문 On sets of integers containing no four elements in arithmetic progression
[4] 논문 Irregularities of sequences relative to arithmetic progressions, IV
[5] 논문 On sets of integers containing no ''k'' elements in arithmetic progression http://matwbn.icm.ed[...]
[6] 서적 Springer
[7] 논문 Ergodic behavior of diagonal measures and a theorem of Szemerédi on arithmetic progressions
[8] 논문 The ergodic theoretical proof of Szemerédi's theorem
[9] 논문 A new proof of Szemerédi's theorem http://www.dpmms.cam[...]
[10]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Madrid, August 22–30, 2006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11] 논문 Sets of integers that do not contain long arithmetic progressions http://www.combinato[...]
[12] 논문 On the sets of integers which contain no three terms in arithmetic progression
[13] 논문 Sets of integers containing not more than a given number of terms in arithmetical progression
[14] 논문 An improved construction of progression-free sets
[15] 서적 Additive Number Theory Springer
[16] 논문 On triples in arithmetic progression
[17] 논문 Roth's theorem on progressions revisited
[18] 논문 Integer sets containing no arithmetic progressions
[19] 논문 Integer sets containing no arithmetic progressions
[20] 논문 On Roth's theorem on progressions
[21] 논문 A quantitative improvement for Roth's theorem on arithmetic progressions
[22] 간행물 Breaking the logarithmic barrier in Roth's theorem on arithmetic progressions
[23] 간행물 An improvement to the Kelley-Meka bounds on three-term arithmetic progressions
[24] 간행물 Strong Bounds for 3-Progressions
[25] 서적 New bounds for Szemeredi's theorem, II: A new bound for r_4(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논문 New bounds for Szemerédi's theorem, III: A polylogarithmic bound for r4(N)
[27] 간행물 Improved Bounds for Szemerédi's Theorem 2024
[28] 간행물 Improved bounds for five-term arithmetic progressions 2023
[29] 웹사이트 Grad Students Find Inevitable Patterns in Big Sets of Numbers https://www.quantama[...] 2024-08-05
[30] 논문 An ergodic Szemerédi theorem for commuting transformations
[31] 논문 Hypergraph regularity and the multidimensional Szemerédi theorem
[32] 논문 Regularity lemma for k-uniform hypergraphs
[33] 논문 Applications of the regularity lemma for uniform hypergraphs http://www.math.emor[...]
[34] 논문 The counting lemma for regular k-uniform hypergraphs
[35] 논문 A variant of the hypergraph removal lemma
[36] 논문 Polynomial extensions of van der Waerden's and Szemerédi's theorems
[37] 논문 A density version of the Hales–Jewett theorem
[38] 논문 Finite field models in arithmetic combinatorics—ten years on
[39] 논문 A relative Szemerédi theorem
[40] 논문 An arithmetic transference proof of a relative Szemerédi theor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