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이브 (스포츠 용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브는 스포츠 용어로, 아이스하키와 축구에서 골키퍼가 득점을 막는 행위를 의미한다. 아이스하키에서는 골텐더가 레그 패드, 글러브, 블로커, 스틱, 체스트 프로텍터 등을 사용하여 퍽을 막으며, 패드 세이브, 글러브 세이브, 블로커 세이브, 스틱 세이브 등의 유형이 있다. 축구에서는 골키퍼가 골키퍼 장갑을 착용하고 공을 막으며, 골을 허용하지 않으면 클린 시트를 기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스하키 용어 - 골 (스포츠)
    골은 일부 스포츠에서 득점의 유일한 방법이거나 여러 득점 방법 중 하나이며,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스포츠 종목에 따라 골대 구조, 득점 방식, 골 셀레브레이션 등이 존재한다.
  • 아이스하키 용어 - 엠티 넷 골
    엠티 넷 골은 아이스하키, 축구, 핸드볼 등에서 골키퍼가 없는 빈 골대에 득점하는 것으로, 주로 경기 막판 득점이 필요한 팀이 골키퍼를 빼고 공격수를 투입하는 전략으로 인해 발생하며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극적인 상황을 연출한다.
  • 축구 용어 - 승부차기
    승부차기는 축구 경기에서 정규 시간 이후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승리 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 팀이 5명의 키커를 정해 페널티킥을 시도하며, 5번의 시도 내 승부가 나지 않으면 서든데스 방식으로 진행된다.
  • 축구 용어 - 오프사이드
    오프사이드란 축구 경기에서 공격팀 선수가 특정 위치에서 플레이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때 선언되는 반칙으로, 상대팀에게 간접 프리킥이 주어지며, 골키퍼 뒤에서 공을 받아 득점하는 것을 제한하여 경기의 균형을 유지하고 전술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는 규칙이다.
세이브 (스포츠 용어)
스포츠 정보
종목아이스하키
기술 종류방어 기술
주요 목적득점 방지
수행 선수골키퍼
관련 기술글러브 세이브
패드 세이브
스틱 세이브
블로커 세이브
셔츠 세이브
헬멧 세이브
넉클 세이브
엉덩이 세이브
다이브 세이브
롤 세이브
스택 더 패드
버터플라이 스타일
세부 정보
정의골키퍼가 득점을 막는 행위
성공 요건공이 골라인을 넘지 않도록 막음
중요성실점을 막아 팀 승리에 기여
관련 용어세이브율
완봉승

2. 아이스하키

아이스 하키에서 세이브골텐더가 퍽이 골대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골텐더는 레그 패드, 글러브, 블로커, 마스크, 체스트 프로텍터, 스틱 등 다양한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신체의 모든 부분을 활용하여 퍽을 막아낸다.[1] 세이브는 사용하는 장비나 신체 부위에 따라 패드 세이브[2][3], 글러브 세이브[4], 블로커 세이브[5], 스틱 세이브[6], 바디 세이브[7] 등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골텐더는 경기 상황에 맞춰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활용한다.

2. 1. 세이브 유형

아이스 하키 골텐더는 신체의 모든 부분과 골텐딩 장비를 사용하여 세이브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골텐더는 레그 패드, 블로커, 글러브, 체스트 프로텍터, 헬멧(마스크) 등 다양한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퍽을 막아낸다.[1]

세이브는 사용하는 장비나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요 세이브 방식으로는 다리에 착용한 패드를 이용하는 패드 세이브[2][3], 손에 착용한 글러브로 퍽을 잡는 글러브 세이브[4], 팔뚝에 착용한 블로커를 이용하는 블로커 세이브[5], 그리고 골텐딩 스틱을 사용하는 스틱 세이브[6]가 있다. 이 외에도 몸, 특히 체스트 프로텍터 등으로 퍽을 막아 플레이를 멈추는 방식(바디 세이브)도 사용된다.[7] 각 세이브 방식은 퍽의 궤적, 속도, 골텐더의 위치와 자세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춰 활용된다.

2. 1. 1. 패드 세이브

패드 세이브는 아이스 하키 골텐더가 다리에 착용한 레그 패드를 사용하여 발로 차내는 동작으로 퍽이 골대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레그 패드는 골텐더의 발부터 허벅지까지 보호하며, 특히 골텐더가 버터플라이 스타일을 사용할 때 낮은 슛을 막는 데 효과적이다. 다만, 패드 세이브는 종종 리바운드를 발생시켜 상대 팀 선수에게 다시 퍽을 소유할 기회를 줄 수 있다. 패드 세이브는 버터플라이 스타일이 보편화되기 전까지 가장 일반적인 세이브 방식 중 하나였다.[2][3]

2. 1. 2. 글러브 세이브

글러브 세이브는 아이스 하키 골텐더가 글러브를 사용하여 날아오는 퍽을 잡아내는 방식의 세이브를 의미한다. 골텐더가 착용하는 글러브는 보통 야구 글러브와 유사하게, 개인이 주로 사용하지 않는 '약한' 손에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골텐더는 이 글러브를 이용해 공중으로 날아오는 퍽을 직접 잡아낸다. 때로는 글러브 세이브가 퍽이 골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간주되기도 한다.[4]

2. 1. 3. 블로커 세이브

골텐더가 주로 사용하는 손(강한 손)의 팔뚝에 착용하는 딱딱한 직사각형 모양의 '블로커'를 이용하는 세이브이다. 블로커는 골텐딩 스틱을 잡는 팔에 착용한다. 골텐더는 이 블로커의 단단한 표면을 이용하여 날아오는 퍽을 골대 밖으로 쳐낸다. 이는 글러브 세이브와 함께 골텐더가 구사하는 높은 수준의 기술 중 하나이다.[5]

2. 1. 4. 스틱 세이브

스틱 세이브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이스 하키 골텐더가 사용하는 스틱으로 퍽을 막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골텐더가 다른 신체 부위나 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운 급박한 상황에서 시도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운이 따라야 성공하기도 한다. 골텐더는 일반적으로 다른 방법을 선호하지만, 스틱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골텐더가 자세를 잃었을 때 필사적으로 스틱을 뻗어 퍽을 쳐내는 과정에서 스틱 세이브가 나오기도 한다.[6]

2. 1. 5. 기타 세이브

아이스 하키 골텐더는 신체의 모든 부분과 골텐딩 장비를 사용하여 세이브를 할 수 있다. 골텐더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레그 패드, 블로커, 글러브, 체스트 프로텍터, 헬멧(마스크), 그리고 기타 아이스 하키 장비를 착용하여 퍽을 막는 데 도움을 받는다.[1]

  • 킥 세이브 (패드 세이브): 골텐더가 다리에 착용한 레그 패드를 이용하여 퍽을 차내 막는 방식이다. 이 패드는 골텐더의 발부터 허벅지까지 덮는다. 이 세이브는 특히 골텐더가 버터플라이 스타일을 사용할 때 낮은 슛을 막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패드 세이브는 리바운드를 발생시켜 다른 선수가 퍽을 다시 컨트롤할 기회를 줄 수 있다. 버터플라이 스타일이 개발되기 전에는 가장 흔한 유형의 세이브였다.[2][3]

  • 글러브 세이브: 골텐더가 글러브로 퍽을 잡아서 막는 방식이다. 골텐딩 글러브는 보통 야구 글러브처럼 개인이 주로 사용하지 않는 '약한' 손에 착용한다. 골텐더는 이 글러브를 사용하여 공중으로 날아오는 슛을 잡아낸다. 때때로 글러브 세이브는 퍽이 골대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한다.[4]

  • 블로커 세이브: 골텐더가 주로 사용하는 '강한' 손의 팔뚝에 착용하는 단단한 직사각형 모양의 '블로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블로커는 골텐딩 스틱을 잡는 팔에 착용한다. 골텐더는 이 단단한 표면을 이용해 슛을 골대 밖으로 쳐낸다. 글러브 세이브와 함께 골텐더가 구사하는 고도의 기술 중 하나이다.[5]

  • 스틱 세이브: 이름 그대로 골텐딩 스틱을 사용하여 세이브하는 방식이다. 스틱 세이브는 대개 매우 절박한 상황이나 운에 의해 이루어진다. 골텐더는 보통 신체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여 퍽을 막는 것을 선호하지만, 때때로 스틱을 사용하기도 한다. 스틱 세이브는 골텐더가 넘어진 후 필사적으로 자세를 바로잡으며 골대에서 퍽을 쳐내려 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6]

  • 바디 세이브: 골텐더가 슛을 몸, 특히 체스트 프로텍터 등으로 막아내고 퍽을 품 안에 가두어 플레이를 멈추게 하는 방식이다. 이 세이브에 대한 공식적인 명칭은 없지만, "바디 컨테인먼트 세이브(Body Containment Save)"라고 불리기도 한다.[7]

3. 축구

축구에서 골키퍼는 골키퍼 장갑을 착용하여 다른 선수들과 구별된다. 이 장갑은 공을 다루고 상대 팀의 슛을 막아내는 세이브를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골키퍼는 경기장 내에서 유일하게 손으로 공을 다룰 수 있는 선수이며, 이는 골대 주변의 페널티 구역 안에서만 허용된다.[8]

3. 1. 클린 시트

축구에서 골키퍼가 경기 중에 상대 팀에게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는 경우를 클린 시트(Clean Sheet)라고 한다.[8] 골키퍼는 페널티 구역 안에서 손으로 공을 다룰 수 있는 유일한 선수이며, 실점하지 않고 경기를 마치는 것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클린 시트를 기록한 골키퍼는 성공적인 경기를 치렀다고 평가받는다. 프리미어리그 골든 글러브와 같이 특정 리그나 대회에서는 한 시즌 또는 토너먼트 동안 가장 많은 클린 시트를 기록한 골키퍼에게 상을 수여하기도 한다.[9]

참조

[1]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09-01-01
[2]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18-01-01
[3] 서적 Ice Hockey: Start Right and Play Well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990-01-01
[4]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18-01-01
[5]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18-01-01
[6]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18-01-01
[7] 서적 Hockey Goaltending Human Kinetics 2018-01-01
[8] 서적 Understanding Football Coachwise 2006-01-01
[9] 웹사이트 Premier League Golden Glove winners: Goalkeepers with most clean sheets per season as David de Gea wins for 2022/23 https://www.sporting[...] 2023-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