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종대왕릉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대왕릉역은 경강선에 있는 전철역이다. 2016년 4월 29일 영릉역으로 고시되었으나, 지역 시민 단체의 역명 변경 요구와 국토교통부의 검토를 거쳐 같은 해 9월 26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주변에는 능서초등학교, 세종대왕면 행정복지센터 등이 있으며, 세종대왕릉은 수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주시의 전철역 - 여주역
    여주역은 경기도 여주시 하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으로, 2016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운영되며 여주시청, 버스터미널, 이마트 등 주요 시설과 여주대학교와 인접해 여주시의 중심 교통 hub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부발역
    부발역은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2016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천역과 세종대왕릉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이매역
    이매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환승역으로, 야탑역과 서현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 추가 건설되었으며 지하 구간에 역이 신설된 한국 최초의 사례이고 성남아트센터 등 주변 지역 시설과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 2016년 개업한 철도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2016년 개업한 철도역 - 부발역
    부발역은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2016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천역과 세종대왕릉역 사이에 위치한다.
세종대왕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건물
역 건물
주소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수도권 전철 경강선
승강장2
선로2
구조지상
개업일2016년 9월 24일
역 번호K419
인접역system1: 수도권 전철
line1: 경강선
left1: 부발역
right1: 여주역
한국어 역명
로마자 표기Sejongdaewangneung-yeok
한글 표기세종대왕릉역
한자 표기世宗大王陵驛
간이역 명칭세종대왕릉
노선 정보
소속 노선경강선(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전 역부발역
다음 역여주역
역간 거리이전 역: 8.3km
다음 역: 5.4km
위치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양화로 877 (신지리 275)
역 번호K419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KORAIL)
기점으로부터의 거리50.6km
기점 역판교
역 구조고가역
승강장2면 2선
개업 년월일2016년 9월 24일
위치 정보

2. 연혁

2. 1. 역명 변경 과정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경강선 거리 고시에서 '''영릉역'''(英陵驛)으로 역명을 표기했다.[9][3] 그러나 같은 해 7월, 지역 시민 단체가 세종대왕릉(世宗大王陵)으로 역명 채택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4]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경강선 전철이 무료로 임시 운행되었으며,[10][11][7]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8월 28일, 국토교통부는 보도자료에서 본 역을 "세종대왕릉(世宗大王陵)"으로 표기하였으나,[5] 역명 제정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6] 이후 9월 26일 '''세종대왕릉역'''으로 역명이 공식 변경되었고, 판교 기점 거리가 49.4km에서 51.1km로 변경되었다.[12] 9월 20일 국토부 고시를 통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8]

2. 2. 경강선 개통 및 운영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경강선 거리 고시에서 '''영릉역'''(英陵驛)으로 역명을 표기했다.[9][3] 그러나 7월, 지역 시민 단체는 세종대왕릉(世宗大王陵) 역명 채택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4] 8월 28일, 국토교통부는 보도자료에서 '''세종대왕릉역'''(世宗大王陵)으로 표기했지만, 역명 제정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5][6]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경강선 전철은 무료 임시 운행을 실시했다.[10][11][7] 9월 20일, 국토부 고시에서 '''세종대왕릉역'''으로 공식 확정되었다.[8]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행이 시작되었다.[12] 9월 26일, '''세종대왕릉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판교역 기점 49.4km에서 51.1km로 변경되었다.[12]

3. 역 구조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상대식 승강장, 왼쪽 문이 열림

상대식 승강장, 왼쪽 문이 열림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1층에는 대합실,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이 있다.

1부발이천경기광주이매판교 방면
2여주 방면


3. 1. 승강장

1부발이천경기광주이매판교 방면
2여주 방면


4. 역 주변

능서초등학교, 세종대왕면 행정복지센터, 능서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능서점, 양화천이 있다. 중부내륙고속도로 서여주IC, 서여주SA가 근처에 있다.

역 이름의 유래가 된 영녕릉(세종대왕릉/영릉·녕릉)은 수 킬로미터 떨어져 있어 버스로 이동해야 한다.

5. 이용객 변동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강선승차374292284315238270335369[13]
하차414302294321239273340379


6. 사진



7. 인접한 역

wikitable

경강본선
부발 (K418)판교 방면
여주 (K420)여주 방면



;한국철도공사

:경강선(수도권 전철 경강선)

::오포역 (K418) - '''세종대왕릉역 (K419)''' - 여주역 (K420)

8. 버스

가장 가까운 버스 정류장은 '''《신지1리입구》'''(역전에 신설)[1]와 '''《능서》'''이다.[1]

왕복으로 일부 경로가 다른 노선도 있다.

구분노선정류장주요 구간
일반좌석버스111[2]능서오백리 - 신원리 - 이천시종합운동장 - 부발 - 이천터미널
번두리 - 하동 - 여주시청 - 여주종합터미널 - 교동 - 여주대학교
시내버스904신지1리입구신지1리입구 - 세종대왕릉
952, 952-2매유2리 - (복로, 세종대왕릉) - 시청·시민회관·여주종합터미널
953, 953-1, 953-2마래리 - 시청·시민회관·여주종합터미널
955-1광대2리입구 - 시청·시민회관·여주종합터미널


참조

[1] 웹사이트 신지1리입구 http://www.gbis.go.k[...]
[2] 웹사이트 111번 버스 정보 http://www.gbis.go.k[...]
[3] 간행물 국토교통부에 의한 노선거리 고시(제2016-224호)관보 제18750호 2016년 4월 29일(금) http://gwanbo.moi.go[...] 국토교통부 2016-04-29
[4] 뉴스 세종대왕역 명칭·강천역 신설 놓고 여주시-국토부 갈등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5] 뉴스 여주시, 성남↔여주 복선전철 능서구간 역명 변경 설문조사 http://www.news114.k[...] 남한강신문
[6] 웹사이트 수도권 동남부 “성남~여주 복선전철” 9.24일 개통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6-09-24 #추정 날짜. 개통일로 설정
[7] 뉴스 성남~여주 복선전철 추석에 무료 임시 운행 http://www.ytn.co.kr[...] YTN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6-04-29
[10] 웹사이트 추석연휴기간 경강선(판교~여주) 전동열차 무료 임시운행 알림 http://info.korail.c[...] 2016-09-12
[11] 뉴스 코레일, 추석연휴 기간 경강선(판교∼여주) 무료 임시운행 http://news.korail.c[...] 2016-09-12
[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 http://gwanbo.mois.g[...] 국토교통부 2016-09-26
[13]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5
[14]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