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발역은 경강선과 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판교-여주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K418의 역 번호를 사용한다. 부발역은 이천역과 세종대왕릉역 사이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SK하이닉스, 현대엘리베이터, 아미초등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천시의 전철역 - 신둔도예촌역
신둔도예촌역은 경강선에 있는 전철역으로, 2016년 9월 24일에 개통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경기광주, 이천 방면으로 운행한다. - 이천시의 전철역 - 이천역
이천역은 경기도 이천시 증포동에 위치한 경강선 전철역으로, 2016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고, 역 주변에는 이천시청과 이천종합버스터미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세종대왕릉역
세종대왕릉역은 경기도 여주 능서면에 위치한 경강선 전철역으로, 시민단체의 요구로 영릉역에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능서초등학교와 세종대왕면 행정복지센터 등의 시설이 있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역 - 이매역
이매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환승역으로, 야탑역과 서현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 추가 건설되었으며 지하 구간에 역이 신설된 한국 최초의 사례이고 성남아트센터 등 주변 지역 시설과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 중부내륙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중부내륙선 - 문경역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문경역은 196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여객 및 화물 영업이 중단된 후, 레일바이크 개업으로 활기를 되찾아 2024년 여객 취급 재개와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한 중부내륙선의 철도역이다.
부발역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중부내륙선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2016년 9월 24일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정보 | |
역 번호 | K418 |
이전 역 | 이천 |
다음 역 | 세종대왕릉역 |
중부내륙선 정보 | |
이전 역 | 판교 |
다음 역 | 가남 |
이용 정보 | |
2022년 승차 인원 | 2,130명 |
기타 | |
부발차량사업소 연결 노선 | 부발기지선 |
2. 연혁
- 2016년 4월 29일: 철도거리표 고시[5]
- 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 추석 연휴기간 동안 수도권 전철 경강선 무료 임시운행[6][7]
-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판교 - 여주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6년 9월 26일: 판교 기점 42.0km에서 42.8km로 변경[8]
- 2021년 11월 17일: 중부내륙선에 철도거리표 고시[9]
- 2021년 12월 31일: 중부내륙선 KTX 부발 - 충주 구간 개통
- 2023년 12월 28일: 판교역 ~ 중부내륙선 충주역 방향 KTX 개통[10]
3. 역 구조
부발역은 2면 4선 구조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층수 | 구분 | 내용 |
---|---|---|
L2 | 승강장 | 측면 승강장, 왼쪽 문이 열림 |
L1 | 대합실 | 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G | 지상 | 출구 |
3. 1. 승강장
부발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역이다.
3. 2. 배선도
4. 역 주변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아미리현대7차아파트
- 신일해피트리트리빌1단지아파트
- 신일해피트리트리빌2단지아파트
- 현대성우오스타1단지아파트
- 현대성우오스타2단지아파트
- 신하리청구아파트
- 진우아파트
- 신하리신한토탈아파트
- 거평아파트
- 유승아파트
- 삼익아파트
역 앞 정류장의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 목적지 |
---|---|
10 | 이천 버스 공영차고지 - 이천역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태평시외버스터미널 |
28-1, 28-17, 28-2 | (신둔 홈터미널)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경기도교육연수원 - (장호원 터미널) |
28-21 | 이천 버스 공영차고지 - 이천역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양평리 |
28-41 | 이천 버스 공영차고지 - 이천역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대월농협 |
28-90, 28-91 | 이천 버스 공영차고지 - 이천역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상활리 |
29-1 | 미란다호텔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삼진아파트 |
29-11 | 증일동 - 미란다호텔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삼진아파트 |
29-12 | 관고동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아미리 - 현대7차아파트 |
29-13 | 이천 버스 공영차고지 - 이천역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아미리 - 현대7차아파트 |
29-2 | 신개리 - 미란다호텔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삼진아파트 |
29-21 | 신개리 - 미란다호텔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현대5.6차아파트 |
29-3 | 어산리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삼진아파트 |
29-30 | 관고동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아미초등학교 |
29-31 | 어산리 - 이천 버스터미널 - 신하3리 - 현대5.6차아파트 |
29-32 | 신일아파트 - 이천고등학교 - 이천 버스터미널 - 미란다호텔 - 신하3리 - 훼석삼거리 |
5. 이용객 변동
경강선한국어 부발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2016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6년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1]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강선 | 승차 | 1,472 | 1,628 | 1,766 | 1,903 | 1,470 | 1,628 | 2,130 | 2,240 | [11] |
하차 | 1,275 | 1,505 | 1,657 | 1,797 | 1,423 | 1,628 | 2,071 | 2,178 |
6. 인접한 역
중부내륙선
가남
이천 (K417)
세종대왕릉 (K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