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얼게비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줄얼게비늘은 몸길이 약 14cm의 물고기로, 수컷과 암컷의 외형적 구분이 어렵고, 몸에 4~5개의 갈색 선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부화 후 3년이면 성체가 되며, 수컷이 알을 입으로 품어 부화시키는 구강부화를 한다. 수컷은 알을 품는 동안 다른 먹이를 먹기 어려워 알집의 일부를 섭취하기도 하며, 짝짓기 철에는 입이 커지고 아래턱이 처지는 변화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갈돔과 - 줄도화돔
줄도화돔은 태평양 북서부의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은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야행성 육식 어종으로 낚시로 잡을 수 있으며 수족관 사육도 가능하다. - 1901년 기재된 물고기 - 호박돔
호박돔은 농어목 놀래기과의 어류로, 몸길이 약 40~45cm에 붉은 갈색 또는 암적색을 띠며 흑갈색과 흰색 사선 띠가 있고 남일본, 타이완,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며 연안 암초 지역에 서식하는 육식성 어종으로,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맛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 1901년 기재된 물고기 - 파랑돔
파랑돔은 인도-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며 최대 9cm까지 성장하고 몸 전체가 밝은 푸른색을 띠는 어류로, 얕은 해역의 산호초나 석호에서 살며 동물성 플랑크톤과 저서 조류를 먹고 5~9월에 산란한다. -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명명한 분류군 - 목탁가오리과
목탁가오리과는 부채가오리속과 플라티리노이디스속을 포함하는 가오리목 연골어류 과로, 독특한 형태와 생태적 특징을 지니며 화석 종도 포함한다. - 데이비드 스타 조던이 명명한 분류군 - 흉상어과
흉상어과는 흉상어목에 속하며, 날카롭거나 울퉁불퉁함을 뜻하는 학명을 가지며, 12개 속, 약 60종으로 분류되고, 빠르고 효과적인 사냥꾼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뱀상어아과, 아구상어아과, 흉상어아과 등으로 나뉜다.
세줄얼게비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Ostorhinchus doederleini |
명명자 | Jordan & Snyder, 1901 |
이전 학명 | Apogon doederleini Jordan & Snyder, 1901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쿠르투스목 |
과 | 동갈돔과 |
속 | 동갈돔속 |
종 | 세줄얼게비늘 |
2. 형태
세줄얼게비늘의 몸길이는 약 14cm이며, 수컷과 암컷의 외형은 거의 비슷하여 구분이 어렵다. 몸은 불그스름한 빛을 띠며, 머리에서 꼬리까지 4-5개의 갈색 선이 뻗어 있다. 꼬리 밑부분에는 검은 반점이 있다.[11] 아래위 턱에는 작은 이빨이 있지만 송곳니는 없다.[12] 이름은 세줄얼게비늘이지만, 실제 몸에 나 있는 줄무늬는 대개 5개이다.[13]
세줄얼게비늘은 부화한 지 3년이 되면 다 자라고 7년 정도 산다.[14] 해저에 탁자처럼 놓인 암반 근처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이다.[14]
다른 동갈돔과의 물고기와 같이 세줄얼게비늘도 수컷이 수정된 알을 입에 넣고 부화를 기다리는 부계 구강부화를 한다.[14] 암컷이 산란하고 수정을 마치면 수컷은 알집을 입에 넣는다.[14]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떠나고 수컷이 혼자 새끼를 품는다.[15] 길이 2-3 cm인 알 집 하나에는 약 1만개의 알이 들어있고 수온에 따라 다르지만 5 - 17일 사이에 부화한다.[16]
3. 생태
평소에는 홀로 생활하다가 산란기에 무리를 짓는다. 짝짓기 기간은 짧아 몇 일 정도로 암컷이 수컷의 주위를 돌다가 코로 옆을 쿡 찌르는 구애행동을 한다. 짝짓기 철에는 줄무늬가 옅어지고 몸의 색도 변한다.
4. 번식
세줄얼게비늘은 품고 있던 알이 부화하면 다시 암컷과 짝짓기를 하여 산란기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한다. 수컷은 몸집이 클 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알을 품을 수 있고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하며 여러 암컷의 알집을 한 번 품는다.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은 입이 더 커지고 아래턱이 처져서 알집을 품기 알맞은 모양이 된다.
수컷은 종종 품고있던 알을 먹어버리기도 한다. 수컷이 361개의 알집을 품고 있다가 그중 47개를 먹어버린 사례도 관찰되었다. 품고 있던 알집의 12 - 18 % 정도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기간 동안 다른 먹이를 먹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알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17] 너무 많은 알집을 물고 있으면 호흡이 곤란하기 때문이란 설명도 있다. 알집 가운데 비교적 작은 것을 먼저 먹어버리는데 알집이 작은 것은 암컷의 몸집도 작기 때문에 이 결과 몸집이 큰 암컷이 낳은 알을 몸집이 큰 수컷이 품어 부화시키는 비율이 늘어난다.[18]
4. 1. 짝짓기 행동
세줄얼게비늘은 다른 동갈돔과의 물고기와 같이 수컷이 수정된 알을 입에 넣고 부화를 기다리는 부계 구강부화를 한다.[14] 암컷이 산란하고 수정을 마치면 수컷은 알집을 입에 넣는다.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떠나고 수컷이 혼자 새끼를 품는다.[15] 길이 2-3 cm인 알 집 하나에는 약 1만개의 알이 들어있고 수온에 따라 다르지만 5 - 17일 사이에 부화한다.[16]
세줄얼게비늘은 품고 있던 알이 부화하면 다시 암컷과 짝짓기를 하여 산란기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한다. 수컷은 몸집이 클 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알을 품을 수 있고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하며 여러 암컷의 알집을 한 번에 품는다.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은 입이 더 커지고 아래턱이 처져서 알집을 품기 알맞은 모양이 된다.
수컷은 종종 품고있던 알을 먹어버리기도 한다. 수컷이 361개의 알집을 품고 있다가 그중 47개를 먹어버린 사례도 관찰되었다. 품고 있던 알집의 12 - 18 % 정도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기간 동안 다른 먹이를 먹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알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17] 너무 많은 알집을 물고 있으면 호흡이 곤란하기 때문이란 설명도 있다. 알집 가운데 비교적 작은 것을 먼저 먹어버리는데 알집이 작은 것은 암컷의 몸집도 작기 때문에 이 결과 몸집이 큰 암컷이 낳은 알을 몸집이 큰 수컷이 품어 부화시키는 비율이 늘어난다.[18]
4. 2. 구강부화
세줄얼게비늘은 다른 동갈돔과의 물고기와 같이 수컷이 수정된 알을 입에 넣고 부화를 기다리는 부계 구강부화를 한다.[14]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떠나고 수컷이 혼자 새끼를 품는다.[15] 길이 2-3 cm인 알 집 하나에는 약 1만개의 알이 들어있고 수온에 따라 다르지만 5 - 17일 사이에 부화한다.[16]
세줄얼게비늘은 품고 있던 알이 부화하면 다시 암컷과 짝짓기를 하여 산란기 동안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한다. 수컷은 몸집이 클 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알을 품을 수 있고 여러 차례 짝짓기를 하며 여러 암컷의 알집을 한 번에 품는다. 짝짓기철이 되면 수컷은 입이 더 커지고 아래턱이 처져서 알집을 품기 알맞은 모양이 된다.
수컷은 종종 품고 있던 알을 먹어버리기도 하는데, 361개의 알집을 품고 있다가 그중 47개를 먹어버린 사례도 관찰되었다. 품고 있던 알집의 12 - 18 % 정도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기간 동안 다른 먹이를 먹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알을 먹는 것으로 보이며, 너무 많은 알집을 물고 있으면 호흡이 곤란하기 때문이란 설명도 있다. 알집 가운데 비교적 작은 것을 먼저 먹어버리는데 알집이 작은 것은 암컷의 몸집도 작기 때문에 이 결과 몸집이 큰 암컷이 낳은 알을 몸집이 큰 수컷이 품어 부화시키는 비율이 늘어난다.[18]
4. 3. 수컷의 알 섭취
세줄얼게비늘 수컷은 종종 품고 있던 알을 먹기도 한다. 수컷이 알을 먹는 이유는 영양 보충과 호흡 곤란 해소, 그리고 더 우수한 형질의 새끼를 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17] 수컷이 361개의 알집을 품고 있다가 그중 47개를 먹어버린 사례도 관찰되었으며, 품고 있던 알집의 12 - 18% 정도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수컷은 알을 품고 있는 기간 동안 다른 먹이를 먹기 어렵기 때문에 알을 먹는 것으로 보이며,[17] 너무 많은 알집을 물고 있으면 호흡이 곤란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알집을 먼저 먹어버림으로써 몸집이 큰 암컷이 낳은 알을 몸집이 큰 수컷이 품어 부화시키는 비율을 늘린다.[18]
참조
[1]
논문
Revision of the systematics of the cardinalfishes (Percomorpha: Apogonidae) based on molecular analyses and comparative re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http://www.mapress.c[...]
Zootaxa
2014
[2]
논문
Sexual difference in buccal morphology of the paternal mouthbrooding cardinalfish Apogon doederleini.
http://www.bioone.or[...]
Zoological Science
2002
[3]
논문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r of three mouthbrooding cardinalfishes, Apogon doederleini, A. niger and A. notatus.
https://link.springe[...]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985
[4]
논문
Filial cannibalism by mouthbrooding males of the cardinal fish Apogon doederleini, in relation to their physical condition.
https://link.springe[...]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996
[5]
논문
Age-specific filial cannibalism in a paternal mouthbrooding fish.
ftp://psyftp.mcmaste[...]
Behav Ecol Sociobiol
1997
[6]
논문
Seasonal pattern of filial cannibalism by Apogon doederleini mouthbrooding males.
http://onlinelibrary[...]
Journal of Fish Biology
2002
[7]
논문
Filial cannibalism in a paternal mouthbrooding fish in relation to mate availability.
http://www.ecology.k[...]
Anim. Behav.
1996
[8]
웹사이트
Apogon doederleini Jordan & Snyder, 1901.
http://www.marinespe[...]
Froese, R. and D. Pauly, Eds. FishBas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3
[9]
웹사이트
Order KURTIFORMES (Nurseryfishes and Cardinalfishes)
http://www.etyfish.o[...]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18-09-21
[10]
웹사이트
세줄얼게비늘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관
[11]
논문
Sexual difference in buccal morphology of the paternal mouthbrooding cardinalfish Apogon doederleini.
http://www.bioone.or[...]
Zoological Science
2002
[12]
웹사이트
세줄얼게비늘
https://species.nibr[...]
국립생물자원
[13]
웹사이트
세줄얼게비늘
https://www.gooddive[...]
GOOD DIVER
[14]
논문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r of three mouthbrooding cardinalfishes, Apogon doederleini, A. niger and A. notatus.
https://link.springe[...]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985
[15]
논문
Filial cannibalism by mouthbrooding males of the cardinal fish Apogon doederleini, in relation to their physical condition.
https://link.springe[...]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996
[16]
논문
Age-specific filial cannibalism in a paternal mouthbrooding fish.
ftp://psyftp.mcmaste[...]
Behav Ecol Sociobiol
1997
[17]
논문
Seasonal pattern of filial cannibalism by Apogon doederleini mouthbrooding males.
http://onlinelibrary[...]
Journal of Fish Biology
2002
[18]
논문
Filial cannibalism in a paternal mouthbrooding fish in relation to mate availability.
http://www.ecology.k[...]
Anim. Behav.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