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이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이민은 중화민국 출신의 바둑 기사로, 1989년 먀오리에서 태어났다. 2002년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고, 2004년 14세 4개월의 나이로 입단하여 당시 최연소 여자 프로 기사 기록을 세웠다. 여류 기사 타이틀 획득 수 1위로, 여류 본인방, 여류 명인, 여류 기성 등 주요 타이틀을 획득했다. 일본기원 기원상 여류상을 9회 수상했으며, 힙합 댄스를 즐기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바둑 기사 - 장쉬
대만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는 바둑 기사 장쉬는 린하이펑의 내제자로, 본인방전, 명인전, 기성전 등 주요 기전에서 우승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고 사상 최초 5관왕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사활 능력과 과감한 결단력을 보여주는 기사이다. - 대만의 바둑 기사 - 왕밍완
왕밍완은 타이베이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혼인보를 두 차례 획득하고 왕좌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독창적인 바둑 이론을 개발하고 바둑 AI 개발에도 참여한 바둑 기사이다. - 일본에 거주한 대만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일본에 거주한 대만인 - 장즈자
장즈자는 일본과 대만에서 활동한 야구 선수였으며, 승부 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퇴출된 후 2024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대만계 일본인 - 안도 모모후쿠
안도 모모후쿠는 세계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닛신 치킨라면'과 컵라면을 개발하여 인스턴트 라면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일본의 기업인이다. - 대만계 일본인 - 이가라시 히로미
이가라시 히로미는 1986년생 일본 여성 성우로, 마우스 프로모션 소속이며, 소녀 및 소년 역할을 주로 연기하며 애니메이션, 게임, 라디오, 드라마 CD 등에서 활동한다.
셰이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셰이민 |
원어 이름 | 謝依旻 |
로마자 표기 | Xiè Yīmín |
출생일 | 1989년 11월 16일 |
출생지 | 먀오리 현먀오리 시 |
거주지 | 도쿄도(일본) |
국적 | 타이완 |
바둑 기사 정보 | |
사범 | 커우 머우세이 |
입단 | 2004년 |
단 | 7단 |
소속 | 일본기원 도쿄 본원 |
명예 칭호 | 명예 여류 본인방 명예 여류 명인 명예 여류 기성 |
타이틀 합계 | 27회 |
타이틀 내역 | 여류 본인방 8기 여류 명인 9기 여류 기성 7기 여류 최강위 1기 센코컵 1기 아이즈배 (다치아오이배) 1기 |
일본어 이름 | 謝依旻 (しゃ いみん) |
중국어 병음 | Xiè Yīmín |
2. 약력
1989년 11월 16일 중화민국 먀오리 시에서 태어났다. 5세 때 오빠가 다니던 바둑 교실에서 바둑을 배우기 시작했다. 7세에는 대한민국에서 열린 어린이 바둑 단체전에 타이베이 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여 3전 전승을 거두었다. 8세 때 하이펑배 전국 어린이 바둑대회에서 우승한 것을 계기로, 훗날 스승이 되는 고무세이를 소개받았다. 2002년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다.
2004년 4월, 14세 4개월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하며 당시 일본 여성 프로기사 최연소 입단 기록을 세웠다.[7] 여성 기사 특별 채용이 아닌 일반 채용 시험을 통과하여 입단한 4번째 여성 기사이기도 하다.
2006년, 30세 이하 5단 이하 기사가 참가하는 와카고이컵에서 우승하며 일본기원 역사상 최초로 혼성 기전에서 우승한 여성 기사가 되었다.[8] 같은 해 여류최강전에서도 우승하여 생애 첫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17세 1개월의 나이로 최연소 여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웠다.[1] 이 활약으로 기원상 여류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NHK배 TV 바둑 토너먼트에 처음 출전하여 1회전에서 승리했으나 2회전에서 왕리청에게 패했다. 여류본인방전에서는 야시로 구미코를 꺾고 우승하며 17세 11개월의 나이로 사상 최연소 여류 본인방이 되었다.[9][1] 또한 여류명인전 도전자격을 얻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쳐 2년 연속 기원상 여류상을 수상했다.
2008년, 고노 린과 조를 이루어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에서 준우승했다. 여류명인전에서 우승하며 고바야시 이즈미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여류 본인방과 여류 명인 타이틀을 동시에 보유하게 되었다. 여류본인방 타이틀 방어에도 성공했으며(스즈키 아유미 상대 3:1), 다이와 증권배 넷 바둑 레이디스에서도 우승했다. 3년 연속 기원상 여류상과 함께 기원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상금 랭킹에서도 처음으로 전체 기사 중 10위권에 진입했다.
2009년에는 여류명인전(지넨 가오리 상대)과 여류본인방전(아오키 기쿠요 상대 3:1) 타이틀을 모두 방어했고, 다이와 증권배 넷 바둑 레이디스 2연패를 달성했다. 제57회 NHK배에서는 3회전(16강)까지 진출했다. 4년 연속 기원상 여류상을 수상했다.
2010년 1월, 여류기성전에서 우메자와 유카리를 2-0으로 꺾고 우승하며 일본 바둑 역사상 최초로 여류 3대 타이틀(여류본인방전, 여류명인전, 여류기성전)을 동시에 석권하는 위업을 달성했다.[10][11] 무카이 치아키의 도전을 물리치고 여류 본인방과 여류 명인 타이틀도 방어했다. 상금 랭킹에 따라 5단으로 승단했으며, 대만 대표로 출전한 광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해 여류 기사 최초로 기원상 우수 기사상을 수상했으며, 5년 연속 기원상 여류상도 받았다.
2011년, 왕밍완과 조를 이루어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에서 우승했다. 여류기성전과 여류명인전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으며, 특히 여류명인전에서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제2국이 중단되는 우여곡절 끝에 타이틀을 지켜내며 통산 타이틀 획득 횟수를 11회로 늘려 역대 여류 기사 단독 1위 기록을 세웠다. 10월 24일, 여류본인방전에서 무카이 치아키를 3-1로 꺾고 5연패를 달성하여 '''명예 여류 본인방''' 칭호를 획득했다. 제59회 NHK배에서는 여성 기사 최초로 8강에 진출했다. 기원상 특별상, 우수 기사상, 6년 연속 여류상을 수상했다.
2012년, 왕밍완과 함께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 2연패를 달성했다. 하지만 여류기성전에서는 아오키 기쿠요에게 1-2로 패해 타이틀을 내주며 2년간 유지했던 여류 3관왕 자리에서 내려왔다. 반면, 여류명인전에서는 무카이 치아키를 3년 연속 꺾고 5연패를 달성하여 '''명예 여류 명인''' 칭호를 획득했다.[13][14] 여류본인방전에서는 오쿠다 아야를 3-0으로 꺾고 6연패를 달성했다. 같은 해 동료 기사 세토 다이키, 다카나시 세이켄과 함께 음악 유닛 'MONOTONE'을 결성하여 싱글 앨범 'i★GO'를 발표하기도 했다.
2013년, 여류기성전에서 아오키 기쿠요에게 도전하여 2-0으로 승리, 타이틀을 되찾으며 다시 여류 3관왕에 올랐다. 고바야시 사토루와 새로 조를 이뤄 출전한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에서도 우승하며 대회 3연패를 기록했다. 여류명인전에서는 오쿠다 아야를 2-0으로 꺾고 6연패에 성공했다. 그러나 여류본인방전에서는 무카이 치아키에게 2-3으로 패해 타이틀을 내주었다. 이 해 6단으로 승단했다.
2014년, 여류기성전(vs 아오키 기쿠요 2-0)과 여류명인전(vs 가토 게이코 2-1) 타이틀을 방어하며 각각 2연패와 7연패를 기록했다.
2015년, 여류기성전(vs 고니시 카즈코 2-0) 3연패, 여류명인전(vs 스즈키 아유미 2-0) 8연패를 달성했다. 11월에는 여류본인방전에서 후지사와 리나를 3-2로 꺾고 3년 만에 타이틀을 탈환하며, 2011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한번 일본 여류 타이틀 전관왕(당시 3대 타이틀)에 올랐다.[1] 이 해 상금 랭킹 5위를 기록하며 개인 최고 순위를 경신했고, 기원상 여류상을 수상했다.
2016년 3월, 헤이안 여학원 대학 객원 교수로 위촉되었다.[2][15] 여류기성전(vs 요시하라 유카리 2-0) 4연패, 여류명인전(vs 아오키 기쿠요 2-1) 9연패를 달성했다.[2] 6월에는 아이즈중앙병원배 여류바둑토너먼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7월에는 신설된 센코배 여류최강전 초대 우승자가 되었다. 이로써 당시 존재하던 여류 타이틀 5개를 모두 보유하는 '''여류 5관왕 독점'''의 위업을 달성했다. 하지만 10월, 여류본인방전에서 후지사와 리나에게 1-3으로 패해 타이틀을 내주었다. 2년 연속 상금 랭킹 5위를 기록했으며, 기원상 여류상을 수상했다.
2017년 2월, 여류기성전에서 우시 에이코를 2-1로 꺾고 5연패를 달성하며, 사상 최초로 '''명예 여류 기성''' 칭호를 획득했다.[16] 이로써 일본 바둑 사상 처음으로 3대 여류 기전(여류본인방, 여류명인, 여류기성)의 명예 칭호를 모두 갖게 되었다. 그러나 3월 여류명인전(vs 후지사와 리나 0-2), 6월 아이즈중앙병원배(vs 후지사와 리나 1-2), 7월 센코배(vs 후지사와 리나 패배)에서 연달아 타이틀을 잃거나 준우승에 그치며 여류기성 1관왕으로 밀려났다.[3][4] 11월, 여류본인방전에서 후지사와 리나에게 도전하여 3-2로 승리, 타이틀을 탈환하며 자존심을 지켰다.[17]
2018년 1월, 5연패 중이던 여류기성전에서 도전자 우에노 아사미에게 0-2로 패하며 타이틀을 내주었다.[18] 6월 아이즈중앙병원배 결승과 12월 여류본인방전 결승에서도 후지사와 리나에게 연달아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로써 2007년 10월 여류본인방 획득 이후 11년 1개월 만에 모든 타이틀을 잃고 무관이 되었다.[19]
2019년, 여류명인전 리그에서 우승하여 후지사와 리나 여류 명인에게 도전했으나 1-2로 패배했다.[20] 제4회 센코배에서도 결승에 올랐지만 후지사와 리나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21] 12월 23일, 제39기 여류본인방전 예선 결승에서 지넨 가오리 6단에게 승리하며 통산 400승(278패)을 달성했다.[22] 이는 일본기원 소속 여성 기사 중 최단 기간(입단 후 15년 8개월), 최연소(30세 1개월) 400승 달성 기록이다.[22]
2020년, 센코배에서 2년 연속 결승에 진출했으나 우에노 아사미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2021년, 7단으로 승단했다. 제47기 명인전 최종 예선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이타 아쓰시에게 패배하여 여성 기사 최초의 3대 기전 리그 진출에는 실패했다.
2022년, 제4회 센코컵 월드바둑여류최강전에서 4위를 기록했다.
'''연도별 성적'''
- 아래 표에서 타이틀전의 대전 상대 이름 중, 획득(탈취 또는 방어)은 '''굵은 글씨''', 도전 실패 또는 실격(타이틀 상실)은 ''기울임 글씨''로 표시한다.
- 기원상은 최우수: 최우수 기사상, 우수: 우수 기사상, 특별: 특별상, 승률: 승률 1위상, 승리: 최다 승리상, 대국: 최다 대국상, 연승: 연승상, 국제: 국제상, 신인: 신인상, 여류: 여류상, 슈사이상이다.
- 상금&대국료는 연도별 1월 - 12월 집계이며 단위는 만 엔이다. 전체 기사 중 1위는 '''굵은 글씨''', 여류 기사 1위는 ''기울임 글씨''로 표시한다.
연도 | 여류 기성 (1-2월) | 여류 명인 (3월) | 여류 입초배 (6-7월) | 선흥배 (7월) | 여류 본인방 (10-11월) | 기타 기전 (비공식전 포함) | 기원상 | 상금 대국료 (만 엔) | 비고 | |
---|---|---|---|---|---|---|---|---|---|---|
2005년 | (불참) | |||||||||
2006년 | 와카고이전 우승 여류최강전 우승 | 여류 | ||||||||
2007년 | 야시로 구미코 3-0 | 여류 | 1091 (14위) | |||||||
2008년 | 가토 게이코 2-0 | 스즈키 아유미 3-1 | 다이와 증권배 우승 | 신인, 여류 | 1582 (10위) | |||||
2009년 | 지넨카오리 2-1 | 아오키 기쿠요 3-1 | 다이와 증권배 우승 | 여류 | 1502 (9위) | |||||
2010년 | 우메자와 유카리 2-0 | 무카이 치아키 2-0 | 무카이 치아키 3-0 | 우수, 여류 | 1882 (8위) | 여류 3관 | ||||
2011년 | 우메자와 유카리 2-0 | 무카이 치아키 2-1 | 무카이 치아키 3-1 | 페어 바둑 우승 | 우수, 여류, 특별 | 2027 (6위) | 여류 3관, 명예 여류 본인방 | |||
2012년 | 아오키 기쿠요 1-2 | 무카이 치아키 2-0 | 오쿠다 아야 3-0 | 페어 바둑 우승 | 여류 | 1569 (7위) | 명예 여류 명인 | |||
2013년 | 아오키 기쿠요 2-0 | 오쿠다 아야 2-0 | 무카이 치아키 2-3 | 페어 바둑 우승 | 1458 (6위) | 여류 3관 | ||||
2014년 | 아오키 기쿠요 2-0 | 가토 게이코 2-1 | 1293 (9위) | |||||||
2015년 | 고니시 카즈코 2-0 | 스즈키 아유미 2-0 | 왕징이 패배 | 후지사와 리나 3-2 | 여류 | 2109 (5위) | 여류 3관 | |||
2016년 | 요시하라 유카리 2-0 | 아오키 기쿠요 2-1 | 아오키 기쿠요 승리 | 무카이 치아키 승리 | 후지사와 리나 1-3 | 여류 | 2976 (5위) | 여류 5관 | ||
2017년 | 우시 에이코 2-1 | 후지사와 리나 0-2 | 후지사와 리나 1-2 | 후지사와 리나 패배 | 후지사와 리나 3-2 | 2047 (8위) | 여류 4관, 명예 여류 기성 | |||
2018년 | 우에노 아사미 0-2 | [26] | 후지사와 리나 1-2 | 후지사와 리나 1-3 | 무관 | |||||
2019년 | 후지사와 리나 1-2 | 후지사와 리나 패배 | ||||||||
2020년 | (휴지) | 우에노 아사미 패배 | [27] | |||||||
2021년 | 리그 3위 | 후마키라배 우승[28] | 7단 승단 | |||||||
2022년 | 리그 3위 | 4위 | ||||||||
2023년 | 리그 5위 |
셰이민은 2004년 14세 4개월의 나이로 프로에 입단하며 당시 일본기원 최연소 여성 프로 기사 기록을 세웠다. 이는 여성 전용 리그가 아닌 일반 리그를 통해 프로가 된 네 번째 여성 기사이기도 했다.
3. 주요 업적
2006년에는 만 30세 이하, 5단 이하 기사들이 참가하는 와카고이전에서 우승하며 일본기원 역사상 최초로 여성 기사가 남녀 혼합 기전에서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여류 최강전에서도 우승하며 17세 1개월의 나이로 최연소 여성 타이틀 보유자 기록을 경신했다.[1] 이듬해인 2007년에는 여류 본인방전에서 우승하며 17세 11개월의 나이로 최연소 여류 본인방 기록도 세웠다.[1]
2010년 1월, 여류 기성전에서 우승하며 여류 본인방전, 여류 명인전과 함께 당시 일본 여류 3대 타이틀을 동시에 석권한 최초의 기사가 되었다.[10][11] 이후 압도적인 성적으로 일본 여류 바둑계를 이끌었다. 특히 여류 명인전에서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연패라는 대기록을 세웠고, 여류 본인방전 6연패, 여류 기성전 5연패를 달성하며 세 기전 모두에서 '''명예 칭호''' 자격을 획득하는 사상 최초의 업적을 이루었다. 2016년에는 여류 타치아오이배와 센코배 여류 최강전까지 우승하며 한때 여류 5관왕을 달성하기도 했다.
국제 대회에서는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중화 타이베이 대표로 출전하여 여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9년 12월에는 통산 400승(278패)을 달성했는데, 이는 입단 후 15년 8개월, 만 30세 1개월 만의 기록으로 모두 일본기원 여류 기사 중 최단 기간 및 최연소 400승 달성 기록이다.[22]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일본기원 상금 랭킹에서도 여러 차례 상위권에 올랐다. 2008년 여류 기사 최초로 전체 상금 랭킹 10위 안에 진입했고, 2011년에는 여류 기사 최초로 연간 상금 2027만엔을 돌파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 후지사와 리나, 우에노 아사미 등 신예 기사들의 도전에 직면하며 타이틀을 잃기 시작했고, 2018년 12월 여류 본인방전 타이틀을 내주면서 2007년 10월 이후 11년 1개월 만에 무관이 되었다.[19] 이후 타이틀 획득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2021년에는 7단으로 승단했다.
3. 1. 타이틀 획득
셰이민은 2006년 여류 최강전에서 우승하며 생애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당시 17세 1개월로 여류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웠다.[1][8] 이듬해인 2007년에는 여류 본인방전에서도 우승하며 17세 11개월의 나이로 최연소 여류 본인방 기록을 경신했다.[9]
2008년에는 여류 명인전 타이틀을 추가했고, 2010년 1월 여류 기성전마저 제패하며 일본 바둑 역사상 최초로 여류 3대 타이틀(여류 본인방, 여류 명인, 여류 기성)을 동시에 석권하는 위업을 달성했다.[10][11]
이후 셰이민은 압도적인 기량으로 일본 여류 바둑계를 이끌었다.
이로써 셰이민은 일본 바둑 사상 최초로 3대 여류 기전의 명예 칭호를 모두 획득한 기사가 되었다.
2016년에는 여류 타치아오이배(당시 아이즈 중앙 병원배)와 신설된 센코배 여류 최강전에서도 우승하며 한때 여류 5관왕을 달성하기도 했다.
통산 타이틀 획득 횟수는 27회로, 이는 후지사와 리나, 우에노 아사미 등과 함께 일본 여류 바둑계 역대 최다 기록에 해당한다.[23]
타이틀 | 획득 횟수 | 연도 | 비고 (연패 기록, 명예 칭호 등) |
---|---|---|---|
여류 본인방전 | 8회 | 2007-2012, 2015, 2017 | 역대 1위 타이, 6연패 (역대 1위), 명예 여류 본인방 |
여류 명인전 | 9회 | 2008-2016 | 역대 1위, 9연패 (역대 1위), 명예 여류 명인 |
여류 기성전 | 7회 | 2010-2011, 2013-2017 | 역대 1위, 5연패 (역대 1위), 명예 여류 기성 |
여류 타치아오이배 (구 아이즈 중앙 병원배) | 1회 | 2016 | |
센코배 여류 최강전 | 1회 | 2016 | |
여류 최강전 | 1회 | 2006 | 첫 타이틀 (17세 1개월, 당시 최연소) |
합계 | 27회 | 역대 1위[23] |
3. 2. 명예 칭호
셰이민은 일본 바둑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여러 명예 칭호를 획득했다. 주요 3대 여류 기전(여류본인방전, 여류명인전, 여류기성전)에서 모두 5연패 이상을 달성하여 해당 기전의 명예 칭호를 얻는 위업을 달성했다.- 명예 여류 본인방 (名誉女流本因坊|메이요 조류 혼인보일본어): 2011년 제30기 여류본인방전에서 무카이 치아키를 3-1로 꺾고 우승하며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이 업적으로 사상 최초로 명예 여류 본인방 자격을 얻었다.[17]
- 명예 여류 명인 (名誉女流名人|메이요 조류 메이진일본어): 2012년 제24기 여류명인전에서 무카이 치아키를 2-0으로 꺾고 우승하며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이 승리로 사상 최초의 명예 여류 명인 칭호를 얻을 자격을 갖추게 되었다.[13][14]
- 명예 여류 기성 (名誉女流棋聖|메이요 조류 기세이일본어): 2017년 제20기 여류기성전에서 뉴 에이코를 2승 1패로 꺾고 우승하며 대회 5연패를 달성했다. 이로써 사상 최초로 명예 여류 기성 자격을 획득했으며[16], 일본 바둑 역사상 3대 여류 기전의 명예 칭호를 모두 달성하는 위업을 이루었다.
명예 칭호 | 획득 조건 | 획득 연도 |
---|---|---|
명예 여류 본인방 (名誉女流本因坊|메이요 조류 혼인보일본어) | 여류 본인방전 5연패 | 2011년 |
명예 여류 명인 (名誉女流名人|메이요 조류 메이진일본어) | 여류 명인전 5연패 | 2012년 |
명예 여류 기성 (名誉女流棋聖|메이요 조류 기세이일본어) | 여류 기성전 5연패 | 2017년 |
3. 3. 비공식 기전
기전명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비고 |
---|---|---|---|
와카고이전 | 1회 | 제1회 (2006년) | 일본기원 사상 최초로 여류 기사가 남녀 혼합 기전에서 우승[8] |
다이와 증권배 넷 바둑 레이디스 | 2회 | 제2회 (2008년), 제3회 (2009년) | |
페어 바둑 선수권전 | 3회 | 2011년, 2012년, 2013년 | 2011-2012년: 왕밍완과 페어 2013년: 고바야시 사토루와 페어 |
후마킬러 여류 바둑 브레인즈 매치 | 1회 | 제1회 (2021년) |
3. 4. 기타 주요 성적
- 2006년: 와카고이전 초대 우승 (일본기원 사상 최초 남녀 혼성 기전 여류 기사 우승)[8], 제3회 나카노배 U20 선수권 준우승 (상대 이야마 유타)
- 2008년: 제10기 여류 최강전 준우승 (상대 가토 게이코),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 준우승 (페어: 고노 린),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바둑 남녀 페어전 은메달 (페어: 저우쥔쉰, 중화 타이베이 대표)
- 2009년: 리코배 페어 바둑 선수권전 준우승 (페어: 이야마 유타), 제4회 와카고이전 3위 (비공식전), 제4회 다이와 증권배 넷 오픈 본선 진출 (비공식전)
-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여자 단체전 동메달 (중화 타이베이 대표, 멤버: 헤이자자, 장정핑, 왕징이)
- 2011년: 페어 바둑 선수권전 우승 (페어: 왕밍완)
- 2012년: 페어 바둑 선수권전 우승 (페어: 왕밍완), 제8회 다이와 증권배 넷 오픈 본선 진출 (공식전)
- 2013년: 페어 바둑 선수권전 우승 (페어: 고바야시 사토루)
- 2017년: 제4회 아이즈 중앙 병원배 준우승 (상대 후지사와 리나)[4], 제2회 센코배 준우승 (상대 후지사와 리나)
- 2018년: 제5회 아이즈 중앙 병원배 준우승 (상대 후지사와 리나)
- 2019년: 제4회 센코배 준우승 (상대 후지사와 리나)[21]
- 2020년: 제5회 센코배 준우승 (상대 우에노 아사미)
- 2022년: 제4회 센코컵 월드바둑여류최강전 4위
'''상금 랭킹'''
연도 | 전체 순위 | 여류 순위 | 상금 | 비고 |
---|---|---|---|---|
2006 | 23위 | 3위 | - | - |
2007 | 14위 | 1위 | 1091만엔 | - |
2008 | 10위 | 1위 | 1582만엔 | 여류 기사 최초 전체 Top 10 진입 |
2009 | 9위 | 1위 | 1502만엔 | - |
2010 | 8위 | 1위 | 1882만엔 | - |
2011 | 6위 | 1위 | 2027만엔 | 여류 기사 최초 상금 2천만 엔 돌파 |
2012 | 7위 | 1위 | 1569만엔 | - |
2013 | 6위 | 1위 | 1458만엔 | 7년 연속 여류 1위 |
2014 | 9위 | 2위 | 1293만엔 | - |
2015 | 5위 | 1위 | 2109만엔 | - |
2016 | 5위 | 1위 | 2976만엔 | - |
2017 | 8위 | 2위 | 2047만엔 | 10년 연속 전체 Top 10 진입 |
4. 수상
- 2006년: 기원상 여류상
- 2007년: 기원상 여류상
- 2008년: 기원상 여류상, 기원상 신인상
- 2009년: 기원상 여류상
- 2010년: 기원상 우수 기사상 (여류 기사 최초 수상), 기원상 여류상
- 2011년: 기원상 특별상, 기원상 우수 기사상 (2년 연속 수상), 기원상 여류상
- 2012년: 기원상 여류상 (7년 연속 수상)
- 2015년: 기원상 여류상
- 2016년: 기원상 여류상
5. 승단
wikitext
단 | 연도 | 비고 |
---|---|---|
초단 | 2004년 | 입단 |
2단 | 2005년 | 상금 랭킹에 따라 승단 |
3단 | 2006년 | 상금 랭킹에 따라 승단 |
4단 | 2008년 | 상금 랭킹에 따라 승단 |
5단 | 2010년 | 상금 랭킹에 따라 승단 |
6단 | 2012년 | 상금 랭킹에 따라 승단 |
7단 | 2021년 | 승수 규정 (6단으로 120승 달성)[5] |
6. 기타 활동
참조
[1]
웹사이트
Go News - Go to Everyone!
http://igokisen.web.[...]
2016-11-04
[2]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1): Iyama closing in on Grand Slam in Judan challenge; Xie defends Women's Meijin; Cho U wins NHK Cup
http://www.usgo.org/[...]
2016-04-04
[3]
웹사이트
第29期 女流名人戦
http://www.nihonkiin[...]
2017-05-04
[4]
웹사이트
第4回 会津中央病院・女流立葵杯
http://www.nihonkiin[...]
2017-06-24
[5]
웹사이트
【昇段】謝 依旻七段に昇段
https://www.nihonkii[...]
2021-08-20
[6]
문서
日本棋院における登録名。台湾語の音写としては、シェ・イミンないしシェ・イーミンの方が近い。
[7]
문서
男性棋士では、趙治勲の11歳9ヵ月があった。2010年に女流特別採用で藤沢里菜が11歳6ヵ月の入段を果たしており、さらに2019年には英才特別採用推薦で仲邑菫が10歳0か月で入段を果たしたが、一般採用試験による女流棋士の最年少記録は今も謝によるものである。
[8]
문서
なお、この時代の若鯉戦は非公式戦の扱いであり、後に公式戦となった。そのため、「男女混合の公式戦での女流棋士が初優勝」は、2020年の第15期若鯉戦の優勝の藤沢里菜が達成をした。
[9]
뉴스
17歳11カ月 謝が女流本因坊を奪取
http://sankei.jp.msn[...]
2022-09-22
[10]
웹사이트
20歳の謝依旻、史上初の女流三冠独占 囲碁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20-10-01
[11]
문서
小林泉美が、女流タイトル数が五冠時代に、JAL女流早碁戦・女流名人・女流本因坊の三冠を達成しているが、タイトル数三冠となってから、また女流三大タイトルの三冠は謝が初となる。
[12]
뉴스
謝・女流棋聖が防衛
http://sankei.jp.msn[...]
2022-09-22
[13]
뉴스
謝依旻女流名人が5連覇
http://sankei.jp.msn[...]
2022-09-22
[14]
뉴스
謝依旻女流名人、名誉資格獲得! 第2局棋譜再現
http://sankei.jp.msn[...]
2022-09-22
[15]
뉴스
【ニュースリリース】謝依旻女流3冠 平安女学院大学の客員教授に
http://www.nihonkiin[...]
[16]
웹사이트
台湾出身の謝依旻女流棋聖、5連覇達成 トロフィーを手に笑顔
https://japan.focust[...]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7-03-17
[17]
웹사이트
台湾出身の謝依旻が女流本因坊を奪還
http://japan.cna.com[...]
中央社フォーカス台湾
2017-12-09
[18]
웹사이트
第21期 ドコモ杯 女流棋聖戦
http://www.nihonkiin[...]
2018-02-05
[19]
웹사이트
女流本因坊、藤沢里菜が返り咲き…謝依旻は11年ぶり無冠
https://www.sankei.c[...]
2019-04-21
[20]
웹사이트
第31期 女流名人戦
https://www.nihonkii[...]
2019-12-27
[21]
웹사이트
第4回 扇興杯女流最強戦
https://www.nihonkii[...]
2019-12-27
[22]
웹사이트
囲碁、謝が最年少・最速400勝 女性棋士で16人目
https://this.kiji.is[...]
2019-12-27
[23]
문서
東京精密杯女流プロ最強戦1期を含む。
[24]
웹사이트
第1回WMSG「ペア碁競技」
http://www.pairgo.or[...]
日本ペア碁協会
2011-10-25
[25]
웹사이트
【昇段】謝 依旻七段に昇段
https://www.nihonkii[...]
日本棋院
2023-03-12
[26]
문서
リーグ戦は休止となり、本戦トーナメントベスト8。
[27]
문서
博多・カマチ杯は、本戦トーナメントベスト8。
[28]
문서
正式名称は『フマキラー囲碁女流ブレーンズマッチ』(非公式戦)、仲邑菫二段に勝ち優勝
[29]
웹사이트
謝依旻女流本因坊のブログ / 囲碁かダンスか
http://blog.goo.ne.j[...]
201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