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우쥔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우쥔쉰은 타이완의 바둑 기사로, 2007년 LG배 세계 기왕전에서 우승하며 대만 기사 최초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90년대 대만에서 바둑 기사로 활동하며 명인전 16연패를 달성하는 등, 다수의 국내 기전에서 우승했다. 중국 갑조 리그에도 참가했으며,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오른쪽 얼굴에 큰 사마귀가 있어 '붉은 얼굴의 바둑 기사'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바둑 기사 - 장쉬
    대만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는 바둑 기사 장쉬는 린하이펑의 내제자로, 본인방전, 명인전, 기성전 등 주요 기전에서 우승하며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고 사상 최초 5관왕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사활 능력과 과감한 결단력을 보여주는 기사이다.
  • 대만의 바둑 기사 - 왕밍완
    왕밍완은 타이베이 출신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혼인보를 두 차례 획득하고 왕좌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독창적인 바둑 이론을 개발하고 바둑 AI 개발에도 참여한 바둑 기사이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2010년 아시안 게임 바둑 참가 선수 - 이야마 유타
    일본의 프로 바둑 기사 이야마 유타는 최연소 우승 및 다수의 타이틀 획득 기록을 세우고 7관왕을 달성하는 등 일본 바둑계 최고 기사로 인정받으며, 독창적인 기풍과 강력한 공격력으로 역대 최다 타이틀 획득 기록을 경신하였다.
  • 1980년 출생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 1980년 출생 - 저신다 아던
    저신다 아던은 뉴질랜드의 제39대 총리로, 노동당 당수로서 2017년 총선 승리로 총리에 취임하여 아동 빈곤 감소, 기후변화 대응, 코로나19 팬데믹 대처 등에 주력하고 다자주의 외교를 추진했으며 2023년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저우쥔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저우쥔쉰
본명저우쥔쉰
로마자 표기Zhou Junxun
출생일1980년 2월 23일
출생지타이베이, 타이완
거주지타이베이, 타이완
9단
소속타이완 기원

2. 경력

저우쥔쉰은 프로 데뷔 이후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타이완 바둑계의 간판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00년대 중후반은 그의 전성기였다.

2001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세돌, 목진석, 고노 린 등 세계적인 강자들을 연파하고 4강에 오르는 파란을 일으켰다.

연도대회결과상대비고
2003후지쯔배16강
20038회 LG배 세계기왕전24강
20035회 춘란배24강
20049회 LG배 세계기왕전24강
200417회 후지쯔배8강
20042회 도요타덴소배32강
20041회 중환배16강
2004타이완 천원전우승린즈한
20052회 중환배16강
2006타이완 천원전, 명인전, 동강배, 왕좌우승4관왕
200711회 LG배 세계기왕전우승후야오위2:1
2007제3기 타이완 왕좌전우승천스위엔3:2
2009기왕전준우승천스위엔0:3
2009명인전우승펑징화3:0
20121회 바이링배64강



2007년에는 LG배 세계 기왕전 결승에서 중국의 강자 후야오위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타이완 기원 소속 기사 최초의 세계 대회 우승이었다.

그러나 2008년, 타이완 기원의 기사 처우 제도에 불만을 품고 5년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09년 복귀했지만, 이전과 같은 압도적인 기량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중국 바둑 리그에도 참가하여 홍콩, 구이저우성 팀 등에서 활동했다. 2014년에는 천스위엔과의 대국에서 보기 드문 4겁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다.

2. 1. 초기 경력

저우쥔쉰은 타이페이 타이완에서 태어났다.[1] 1980년대와 1990년대 동안 타이완에서 프로 바둑은 아직 자리를 잡지 못했고 선수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지만, 경력을 쌓기 위해 일본으로 이주한 다른 많은 타이완 프로 선수들과 달리, 저우쥔쉰은 오직 타이완에서만 경쟁하기로 결심했다. 1993년에 프로가 되었다. 이후 1997년에 7단, 1998년에는 9단에 올랐다. 그는 타이완에서만 활동하며 9단에 오른 최초의 프로 기사였다.[2] 타이완 기원의 최고 기사로 널리 인정받고 있지만, 그의 나라에서 바둑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상대들에게 그의 지위가 도전받고 있다.[2]

그는 오른쪽 얼굴에 큰 사마귀가 있어 '붉은 얼굴의 바둑 기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서양에서는 그의 이름이 종종 "Chun-Hsun Chou"로 표기된다.

바둑을 좋아하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7세에 바둑을 배우고, 응창기 교육기금회의 "정영조"에 다녔다. 또한 다이자신에게 9개월, 린성시엔에게 6개월 동안 단기 내제자 생활을 했다. 1990년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소년조 준우승을 하였다. 1991년 10세 때 중국과의 소년 바둑 교류 대회에 참가했고, 그 후 3개월간 쓰촨성 청두에서 수행하며, 쑹쉐린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93년 중국 위기 협회 초단이 되었고, 1994년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같은 해, 대만의 중국 위기회 프로 기사로 9품(초단), 같은 해 8품(2단)이 되었고, 1995년 대만의 명인위를 획득했다. 그 후 중국 기전에 참가하는 등, 1997년에는 전국 위기 개인전에서 6위에 입상했고, 같은 해 대만의 4개 타이틀을 모두 석권했다. 1998년 승률 9할의 성적으로 3품에서 1품(9단)으로 초고속 승단하였다. 1999년 중국 신인왕전에서 베스트 4에 진출하였고, 같은 해부터 2년간 군 복무를 했다.

2. 2. 전성기

저우쥔쉰은 1993년에 프로가 된 이후, 1997년에 7단, 1998년에는 9단에 오르며 타이완에서만 활동하며 9단에 오른 최초의 프로 기사가 되었다.[2] 1990년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소년조 준우승을 차지했고, 1994년 세계 아마추어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 1995년에는 대만 명인위를 획득했으며, 1997년에는 전국 위기 개인전에서 6위에 입상하고 대만의 4개 타이틀을 모두 석권했다. 1998년에는 3품에서 1품(9단)으로 초고속 승단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0년대 들어서도 저우쥔쉰의 활약은 계속되었다. 2001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세돌, 목진석, 고노 린을 꺾고 4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연도대회결과상대비고
2003후지쯔배16강
20038회 LG배 세계기왕전24강
20035회 춘란배24강
20049회 LG배 세계기왕전24강
200417회 후지쯔배8강
20042회 도요타덴소배32강
20041회 중환배16강
2004타이완 천원전우승린즈한
20052회 중환배16강
2006타이완 천원전, 명인전, 동강배, 왕좌우승4관왕
200711회 LG배 세계기왕전우승후야오위2:1
2007제3기 타이완 왕좌전우승천스위엔3:2
20085년 출전정지타이완 기원 주최 기전
2009기왕전준우승천스위엔0:3
2009명인전우승펑징화3:0
20121회 바이링배64강



2007년에는 LG배 세계 기왕전 결승에서 후야오위를 2-1로 꺾고 대만 기사 최초로 세계 선수권 우승을 달성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2] 이는 현재까지 타이완 기원 소속 선수의 유일한 국제 타이틀이다.

2008년, 대만 기원의 기사 처우 제도에 동의하지 않아 5년간 기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3] 2009년 9월 개정된 동의서에 서명하고 복귀했다.

2. 3. 타이완 기원과의 갈등 및 복귀

2007년 왕밍완 9단, 정밍황 9단, 정밍치 7단의 여동생 정수칭과 결혼했다.[3] 2008년 3월, 저우쥔쉰은 타이완 기원의 기사 처우 제도에 동의하지 않아 5년간 기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2009년 9월 개정된 동의서에 서명하고 복귀했다.

2. 4. 후기 경력

2003년 제16회 후지쯔배 16강, 8회 LG배 세계기왕전 24강, 제5회 춘란배 24강에 진출했다.[1] 2004년에는 9회 LG배 세계기왕전 24강, 제3기 타이완 천원전 우승(대 린즈한), 제17회 후지쯔배 8강, 제2회 도요타덴소배 32강, 제1회 중환배 16강에 올랐다.[1] 2005년에는 제2회 중환배 16강에 진출했다.[1]

2006년 타이완 천원전, 명인전, 동강배, 왕좌 우승으로 4관왕을 차지했다.[1] 2007년 11회 LG배 세계기왕전에서 후야오위를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제3기 타이완 왕좌전에서도 천스위엔을 3:2로 꺾고 우승했다.[1]

2008년 타이완 기원 주최 기전 5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1] 2009년 기왕전 준우승(대 천스위엔 0:3), 명인전 우승(대 펑징화 3:0)을 기록했다.[1] 2012년 3월 12일 제1회 바이링배 본선 64강에 진출했다.[1]

2007년 LG배에서 후야오위를 2:1로 꺾고 첫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다.[2] 2022년까지 국제 타이틀을 획득한 유일한 타이완 기원 소속 선수이다. (쉬하오훙은 2023년에 두 번째 타이완 국제 우승자가 되었다.)[2]

2007년 왕밍완 9단, 정밍황 9단, 정밍치 7단의 여동생 정수칭과 결혼했다.[3] 2008년 3월, 타이완 기원의 기사 처우 제도에 동의하지 않아 5년간 기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2009년 9월 개정된 동의서에 서명하고 복귀했다.[3] 2015년 기왕전에서 우승했다.[3]

중국 위기 리그에서는 2001년부터 을급 리그에서 홍콩 팀 소속으로, 2003-04년은 갑급에서 구이저우성 위시, 2005년은 갑급에서 홍콩 소속으로 활동했다.[3] 2010년부터는 타이완 기원 팀으로 출전했으며, 2015년 전국 단체 선수권에서는 하이펑 기원 팀 감독을 맡았다.[3] 2014년 국수전 리그에서 천스위엔과의 대국 중 4겁 무승부를 기록했다.[3]

3. 국제 기전 성적

대회연도결과상대비고
후지쯔배2001년4위
후지쯔배2002년8강
후지쯔배2003년16강
LG배2003년24강
춘란배2003년24강
LG배2004년24강
후지쯔배2004년8강
도요타덴소배2004년32강
중환배2004년16강
중환배2005년16강
LG배2007년우승후야오위2:1
바이링배2012년64강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2008년준우승셰이민남녀 페어전
아시안 게임2010년4위위빈남녀 페어전
아시안 게임2010년4위남자 단체전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2011년4위위빈남녀 페어전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2013년동메달남자 단체전
CSK배 아시아 바둑 대항전2002년1승 1패사오웨이강 (○), 유창혁 (×)
CSK배 아시아 바둑 대항전2004년1승 2패송태곤 (×), 왕시 (×), 이다 노리모토 (○)
CSK배 아시아 바둑 대항전2005년3패박영훈 (×), 쿵제 (×), 다카오 신지 (×)
아예배 양안 교류전2005년3패저우허양 (×), 위빈 (×), 왕시 (×)
첸덩배 해협 양안 도시 바둑 대항전2009년천야오예 (×)


4. 타이틀

저우쥔쉰은 여러 기전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07년 LG배 세계 기왕전에서 우승하며 국제 기전 타이틀을 획득했다.

저우쥔쉰의 타이틀 기록
구분타이틀횟수보유 연도
현직천원전(대만)52002–2006
왕가배22005, 2006
명인전(대만)131994–2006
동강배12006
국제LG배12007
폐지대만 기원배22004, 2005
대만 최고위전31995–1997
폐지된 기전 패배21996, 1997 ( 대만 중환배)


4. 1. 국제 기전



저우쥔쉰의 국제 기전 성적
대회보유 연도
LG배2007


4. 2. 국내 기전


  • 2003년 제16회 후지쯔배 16강, 8회 LG배 세계기왕전 24강, 제5회 춘란배 24강에 진출했다.
  • 2004년 9회 LG배 세계기왕전 24강, 제3기 타이완 천원전 우승(대 린즈한), 제17회 후지쯔배 8강, 제2회 도요타덴소배 32강, 제1회 중환배 16강에 진출했다.
  • 2005년 제2회 중환배 16강에 진출했다.
  • 2006년 타이완 천원전, 명인전, 동강배, 왕좌 우승으로 4관왕을 달성했다.
  • 2007년 제3기 타이완 왕좌전에서 천스위엔을 3:2로 이기고 우승했다.
  • 2008년 타이완 기원 주최 기전 5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 2009년 기왕전 준우승(대 천스위엔 0:3), 명인전 우승(대 펑징화 3:0)을 기록했다.
  • 2012년 3월 12일 제1회 바이링배 본선 64강에 진출했다.
  • 명인전 1995년부터 2009년까지 16연패를 달성했다.
  • 국수전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우승했다.
  • 영대배 바둑전 1996년, 1998년에 우승했다.
  • 중환배 바둑 오픈전 1996년, 1999년, 2000년, 2004년에 우승했다.
  • 롄뎬 천년배전 2000년에 우승했다.
  • 동강배 프로 바둑전 2001년, 2006년, 2010년, 2011년에 우승했다.
  • CMC배 텔레비전 쾌기전 2002년에 우승했다.
  • 천원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승했다.
  • 대만기원배전 2004년, 2005년에 우승했다.
  • 아예배전 2003년에 우승했다.
  • 마계배 프로 바둑전 2005년에 우승했다.
  • 왕좌전 2006년(제1회), 2006년(제2회), 2007년에 우승했다.
  • 십단전・유사배 십단전 2007년, 2011년, 2012년에 우승했다.
  • 애심배 프로 바둑전 2007년에 우승했다.
  • 기왕전 2008년, 2015년에 우승했다.
  • 사원배 프로 바둑전 2012년에 우승했다.


타이틀보유 연도
현직8
천원전(대만)2002–2006
왕가배2005, 2006
명인전(대만)1994–2006
동강배2006
폐지9
대만 기원배2004, 2005
대만 최고위전1995–1997



타이틀패배 연도
폐지2
대만 중환배1996, 1997


5. 기타 활동

저우쥔쉰은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아시안 게임,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또한 CSK배 아시아 바둑 대항전, 아예배 양안 교류전, 첸덩배 해협 양안 도시 바둑 대항전 등에도 참가하여 교류 활동을 펼쳤다.

5. 1. 중국 갑조 리그 참가

연도소속팀성적
2003년구이저우 위성 텔레비전
2004년구이저우 위성 텔레비전11승 9패
2005년홍콩 신세계1승 7패
2008년베이징 샹궈 양리더3승 4패 (을조)
2010년타이완 기원4승 3패 (병조)
2012년타이완 중환4승 3패 (병조)
2013년타이완 중환3승 4패 (을조)


5. 2. 국제 교류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4위 (2001년), 8강 (2002년, 2004년)
  •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남녀 페어전 준우승 (2008년, 셰이민과 페어)
  • 아시안 게임 2010년 남녀 페어전 4위 (위빈과 페어), 남자 단체전 4위
  •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스 2011년 남녀 페어전 4위 (위빈과 페어), 2013년 남자 단체전 동메달
  • CSK배 아시아 바둑 대항전

연도성적상세 결과
2002년1-1사오웨이강, ×유창혁
2004년1-2×송태곤, ×왕시, ○이다 노리모토
2005년0-3×박영훈, ×쿵제, ×다카오 신지


  • 아예배 양안 교류전 2005년 0-3 (×저우허양, ×위빈, ×왕시)
  • 첸덩배 해협 양안 도시 바둑 대항전 2009년 ×천야오예

6. 개인사

저우쥔쉰은 타이페이 타이완에서 태어났다.[1] 1980년대와 1990년대 동안 타이완에서 프로 바둑은 아직 자리를 잡지 못했고 선수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지만, 경력을 쌓기 위해 일본으로 이주한 다른 많은 타이완 프로 선수들과 달리, 저우쥔쉰은 오직 타이완에서만 경쟁하기로 결심했다. 1993년에 프로가 되었고, 이후 1997년에 7단, 1998년에는 9단에 올랐다. 타이완에서만 활동하며 9단에 오른 최초의 프로 기사였다.[2] 타이완 기원의 최고 기사로 널리 인정받고 있지만, 타이완에서 바둑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상대들에게 그의 지위가 도전받고 있다.[2] 2007년에 LG배에서 후야오위를 2 대 1로 꺾고 첫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2년 현재까지 국제 타이틀을 획득한 타이완 기원 소속의 유일한 선수이다. (쉬하오훙은 2023년에 두 번째 타이완 국제 우승자가 되었다.)

오른쪽 얼굴에 큰 사마귀가 있어 '붉은 얼굴의 바둑 기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서양에서는 그의 이름이 종종 "Chun-Hsun Chou"로 표기된다.

참조

[1] 뉴스 Youngsters dominate Ing Cup via [[Lexis-Nexis]] Xinhua News Agency 2004-04-22
[2] 간행물 An interview with Chou Junxun, 9-dan http://gogame.info/s[...] Goama – International Go Newsletter 2008-05-21
[3] 뉴스 http://news.ltn.com.[...] 自由時報 2007-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