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주는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으로, 19세기 말 에티오피아에 편입되었다. 오가덴 전쟁, 오가덴 반란 등 분리 독립 운동의 역사를 겪었으며, 현재도 소말리아의 불안정한 정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 소말리주는 11개의 행정 구역과 6개의 특별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주지사가 행정부를 이끌고 있다. 주민은 소말리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소말리어와 이슬람교가 주를 이룬다. 주요 산업은 목축이며, 가뭄 및 기근, 낮은 보건 및 생활 수준 등의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주 - 오가덴
오가덴은 에티오피아 동부 소말리 지역 대부분을 포괄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술탄국의 일부였으며 에티오피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소말리아 민족주의 운동과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 소말리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 소말리어권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소말리어권 - 소말리아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하며, 이슬람교가 국교이고, 1960년 독립 후 내전과 과도 정부를 거쳐 2012년 연방 공화국으로 출범했으며, 가축, 송금업체, 통신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기아와 사회적 문제도 겪고 있다. - 에티오피아의 주 - 셰와
셰와는 에티오피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이슬람 국가로 건국되었으나 고고학적 유적은 이전 이파트 술탄국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메리다즈마치와 네구스는 셰와의 중요한 통치 직책이었다. - 에티오피아의 주 - 오로미아주
오로미아주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큰 주로서 오로모족의 고향이며 에티오피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소말리주와의 경계 분쟁과 오로모 해방군의 활동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소말리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소말리어) | Deegaanka Soomaalida 데에간카 소말릴다 |
공식 명칭 (암하라어) | ሱማሌ ክልል 수말레 킬릴 |
기타 명칭 | 소말리 갈베드 (Soomaali Galbeed) 서부 소말리아 (Western Somalia) |
별칭 | DDS |
![]() | |
![]() | |
![]() | |
![]() | |
지리 | |
위치 | 에티오피아 동부 |
면적 | 328,068 제곱킬로미터 |
토지 면적 | 328,068 제곱킬로미터 |
수역 면적 | 9,842 제곱킬로미터 |
수역 비율 | 3% |
행정 | |
국가 | 에티오피아 |
설립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통계 | |
인구 (2017년) | 5,748,998명 |
인구 (2023년 추정) | 6,657,000명 |
인구 밀도 | 35.81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순위 | 3위 |
인구 통계 | 소말리족 |
정부 및 정치 | |
정부 형태 | 해당 정보 없음 |
집권 정당 | 해당 정보 없음 |
행정 수반 직책 | 행정위원회 의장 |
행정 수반 | 무스타파 무훔메드 오메르 |
행정 부수반 직책 | 행정위원회 부의장 |
행정 부수반 | 이브라힘 오스만 |
시간대 | |
UTC 오프셋 | +3 |
기타 정보 | |
HDI (2019년) | 0.433 (낮음, 10/11) |
ISO 3166-2 | ET-SO |
지역 전화 코드 | +251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소말리주는 19세기 말 메넬리크 2세의 정복으로 에티오피아에 편입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하라르지, 발레주, 시다모주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주로 소말리족이 거주하여 대(大)소말리아 통합 시도가 있었다.
1977년 7월 13일, 대소말리아주의를 내세운 소말리아의 시아드 바레 대통령이 소말리주를 침공하여 오가덴 전쟁이 발생했으나, 소련과 쿠바의 군사 개입으로 소말리아는 패배했다.
1988년에는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가 정전에 합의했다.
1994년에는 Insurgency in Ogaden|오가덴 반란영어이 발생했다.
현재도 인접한 소말리아의 국가 붕괴의 영향을 받아 반정부 운동이 활발하여 정세가 안정되지 않고 있다.
2. 1. 에티오피아 편입
메넬리크 2세의 정복으로 19세기 말 에티오피아에 편입되었다.1995년 이전에는 하라르지, 발레주, 시다모주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 지역은 인구의 대부분이 소말리족으로 구성되어 대(大)소말리아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77년 소말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오가덴 전쟁을 일으켰으나, 소련과 동맹국인 쿠바의 군사 개입으로 인해 패배했다. 이러한 패배에도 불구하고, 지역 단체들은 여전히 소말리아의 일부가 되거나 독립하려 했다.
2007년 아볼 유전 습격 사건으로 중국인과 에티오피아 유전 노동자 72명이 사망하면서, 반군 단체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에 대한 일련의 군사적 보복이 이루어졌다.
2004년 2월 최초의 구(區) 선거가 치러지기 전까지, 구역 및 워레다 행정관과 촌락 촌장은 지방 정부가 임명했다. 지방 수준의 고위 정치인들은 자신의 측근을 지방 정부 직책에 임명했다. 2004년 지방 선거에서 각 워레다는 대변인, 부대변인, 행정관, 부행정관을 포함한 의회를 선출했다. 이 의회는 각 구역 내 예산 및 개발 활동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2. 2. 오가덴 전쟁
1977년 7월 13일, 대소말리아주의를 내세운 소말리아의 시아드 바레 대통령이 소말리주를 침공하여 오가덴 전쟁이 발발했다.[1] 오가덴 전쟁은 소련과 쿠바의 군사 개입으로 소말리아가 패배했다.[1]1988년,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는 정전에 합의했다.[1]
2. 3. 분리 독립 운동
19세기 말 메넬리크 2세의 정복 이후 현재 소말리주는 하라르지, 발레주, 시다모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주로 소말리족이 거주하며, 대(大)소말리아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77년 소말리아는 오가덴 전쟁을 일으켜 에티오피아를 침공했지만, 소련과 쿠바의 군사 개입으로 인해 패배했다. 이러한 패배에도 불구하고, 지역 단체들은 여전히 소말리아와의 통합 또는 독립을 추구했다.1994년에는 Insurgency in Ogaden|오가덴 반란영어이 발생했다.
2007년에는 아볼 유전 습격 사건이 발생하여 중국인과 에티오피아 유전 노동자 72명이 사망했고, 이는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ONLF)에 대한 군사적 보복으로 이어졌다.
현재도 인접한 소말리아의 국가 붕괴의 영향을 받아 반정부 운동이 활발하여 정세가 안정되지 않고 있다.
2. 4. 최근 정세
1994년부터 Insurgency in Ogaden|오가덴 반란영어이 발생했다.[4] 인접한 소말리아의 국가 붕괴의 영향으로, 반정부 운동이 활발하여 정세가 안정되지 않고 있다.[4]3. 행정 구역
소말리주는 11개의 행정 구역과 6개의 특별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32] 각 구역은 다시 구역으로 세분된다.
행정 구역 |
---|
아프데르 구역 |
돌로 구역 (구 워더) |
에레르 구역 |
파판 구역 (구 지지가) |
자라르 구역 (구 데게하부르) |
코라헤 구역 |
리벤 구역 |
다와 구역 |
노고브 구역 (구 피크) |
샤벨레 구역 (구 고데) |
시티 구역 (구 시닐레) |
특별 행정 구역 |
---|
데게하부르 특별 구역 |
고데 특별 구역 |
하라오 특별 구역 |
케브리 베야 특별 구역 |
토그 와잘레 특별 구역 |
4. 정치
소말리주의 정치는 삼권 분립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부는 주지사가 이끌며, 현재 주지사는 2018년에 선출된 무스타파 무함메드 오마르(Cagjar)이다.[23] 부주지사는 아담 파라 이브라힘이다.[24]
사법부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각 워레다에는 최하위 법원인 일반 소송 법원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단계는 4개의 항소 법원으로 구성된 지방 법원 시스템이다. 소말리 최고 법원은 최종 상소 법원이며, 7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된다. 현재 소말리 최고 법원장은 압둘라히 사이드 오마르이다.
입법부는 26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주 의회이다.[31]
소말리주는 연방 하원(상원)에 6명, 인민 대표원(하원)에 24명의 대표를 통해 연방 의회에 참여한다.
4. 1. 행정부
소말리 지역 행정부는 소말리 지역 주지사가 이끌고 있다. 현재 주지사는 2018년 8월 22일에 선출된 무스타파 무함메드 오마르(Cagjar)이다.[23] 소말리 지역 부주지사는 주지사의 유고 시 그 직무를 승계하며, 주지사가 지정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현재 부주지사는 아담 파라 이브라힘이다. 행정부 내각의 다른 직책으로는 지역 보건국, 교육국, 그리고 18명의 다른 관리가 있다.[24]4. 2. 역대 주지사 목록
번호 | 사진 | 주지사 | 재임 기간 | 정당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1 | 압둘라히 모하메드 사디 | 1993년 1월 23일 | 1993년 11월 | 10개월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 동맹 (ESDL)[25] | |
2 | 하산 지레 칼린레 | 1993년 | 1994년 4월 | 1년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 동맹 (ESDL) | |
3 | 압디라만 우가스 모후메드 카니 | 1994년 4월 | 1995년 | 1년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 동맹 (ESDL) | |
4 | 아흐메드 마카헬 후세인 | 1995년 | 1995년 6월 | 4개월, 15일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 동맹 (ESDL) | |
5 | 이드 다히르 파라 | 1995년 6월 | 1997년 10월 | 2년, 4개월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당 (ESDP)[26] | |
6 | rowspan="2" | | 카데르 말렌 알리 | 1997년 10월 | 2000년 10월 | 3년 | style="background:RED" | | 에티오피아 소말리 민주 동맹 (ESDL)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7 | 압둘라시드 둘라네 | 2000년 10월 | 2003년 7월 21일 | 2년, 10개월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8 | 압디 지브릴 알리 | 2003년 7월 21일 | 2005년 10월 | 2년, 3개월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9 | 압둘라히 하산 모하메드 룩부르 | 2005년 10월 | 2008년 11월 | 3년, 1개월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10 | 다우드 모하메드 알리 다우드 악마르 | 2008년 11월 | 2010년 7월 12일 | 1년, 9개월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11 | 압디 모하무드 오마르 (아브디 일라이) | 2010년 7월 12일 | 2018년 8월 8일 | 8년, 1개월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12 | 아흐메드 압디 셰이크 모하메드 (일카세) | 2018년 8월 8일 | 2018년 8월 22일 | 14일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
13 | rowspan="3" | | 무스타파 무함메드 오메르 (카그자르) | 2018년 8월 22일 | 현재 | rowspan="3" | | style="background:Yellow" | | 에티오피아 소말리 인민 민주당 (ESPDP) |
style="background:CornflowerBlue" | | 소말리 민주당 (SDP)[27][28] | ||||||
style="background:Yellow" | | 번영당[29] |
4. 3. 사법부
소말리 지역 사법부는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최하위 단계는 일반 소송 법원이다. 각 워레다는 헌법상 의무에 따라 자체적인 일반 소송 법원을 유지하며, 이 법원은 모든 소송 가능한 문제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다. 중간 단계의 법원 시스템은 지방 법원 시스템이다. 4개의 항소 법원이 있으며, 각 법원은 행정 구역 내의 일반 소송, 시, 카운티 법원에서 제기된 항소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한다. 이 시스템에서 심리되는 사건은 3명의 판사로 구성된 재판부에 의해 결정되며, 각 판사는 선출된다.소말리 최고 법원은 소말리의 "최종 상소 법원"이다. 7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된 이 법원은 자체 재량으로 항소 법원의 항소를 심리하며, 제한된 문제에 대한 최초 관할권을 유지한다. 수석 판사는 소말리 최고 법원장 압둘라히 사이드 오마르이다.
4. 4. 입법부
주 의회는 26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31]4. 5. 연방 정치
소말리아는 연방 하원(상원)에 6명, 인민 대표원(하원)에 24명의 대표로 연방 의회에 대표된다.5. 인구
소말리 지역에는 8개의 난민 캠프와 1개의 임시 수용소가 있으며, 소말리아에서 온 212,967명의 난민이 수용되어 있다.[5]
2004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38.98%가 안전한 식수에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 중 21.32%는 농촌 거주자, 77.21%는 도시 거주자였다.[12] 2005년 기준, 소말리족의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다른 일반적인 지표는 다음과 같다. 주민의 71.8%가 최저 소득 5분위에 속하며, 남성의 문맹률은 22%, 여성은 9.8%이다. 이 지역의 영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57명으로 전국 평균 77명보다 낮으며, 이 사망의 최소 절반은 생후 첫 달에 발생했다.[13]
5. 1. 인구 통계
에티오피아의 중앙 통계청(CSA)이 2007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소말리 주의 총 인구는 4,439,147명으로, 남성 2,468,784명, 여성 1,970,363명이었다.[9] 도시 거주자는 621,210명(14%), 농촌 거주자는 3,817,937명(86%)이었다.[9] 추정 면적 327,068 km²를 기준으로 계산한 인구 밀도는 20.9km2이다. 가구당 평균 인구는 6.8명이며, 도시 가구는 평균 6명, 농촌 가구는 6.5명이다.1994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가 3,383,165명이었으며, 이 중 소말리족이 3,236,667명이었다. 남성은 1,846,417명, 여성은 1,537,748명이었다.[10] 도시 거주자는 492,710가구로, 가구당 평균 6.6명이었으며,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120명으로 높게 나타났다.[10]
연도 | 에티오피아 인구 | 소말리 지역 인구 | 에티오피아 대비 % |
---|---|---|---|
2007 | 73,918,505 | 4,439,147 | 6.0% |
2012 | 84,320,987 | 5,148,989 | 6.51% |
2013 | 86,613,986 | 5,527,000 | 6.99% |
소말리 주에는 주요 소말리 씨족 대부분이 거주한다.
- 디르의 하위 씨족: 이사, 가다부르시, 자르소 - 주로 북부 시티 구역, 아와르, 구르섬, 파판 구역에 거주.[16][14][15]
- 이사크 씨족의 하위 씨족: 하브 아왈, 가르하지스, 아랍, 하브 젤로 - 소말릴란드와 접경하는 지역 북부에 거주.
- 아랍 - 주로 파판 구역, 하르신 워레다(다수), 구르섬 워레다(상당수), 다가힐레와 란카이르 등지에 거주.
- 가르하지스와 하브 젤로 - 아와레와 미스라크 가샤모 자라르 구역의 워레다(다수), 다노트 워레다(상당수).[16]
- 하위예의 하위 씨족 - 서부 및 남부 지역에 거주.
- 데고디아 - 리벤(다수), 일부 지역(상당수).
- 카란레와 셰칼 - 오로미아 지역과 접경하는 서부 지역.
- 하와들레와 하바르 기디르 - 샤벨레 구역.
- 가르레 - 리벤 구역과 다와 구역(다수).[16]
- 다로드 씨족의 다양한 하위 씨족 - 중부 및 동부 지역.
- 오가덴과 지드와크 - 지지가, 고데, 케브리다하르 등 주요 마을과 내륙 지역.
- 하르티와 레엘카세 - 돌로 구역(다수).
- 마레한 - 실라보 워레다와 리벤 구역.[16]
연도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 1994년 10월 11일: 3,152,704명
- 2007년 5월 28일: 4,445,219명
- 2015년 7월 1일: 5,453,000명[36]
- 2023년 7월: 6,657,000명[34]
5. 2. 민족 구성
1997년 기준으로 소말리 주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1]민족 | 비율 |
---|---|
소말리족 | 95.67% |
암하라족 | 0.70% |
오로모족 | 2.25% |
기타 민족 | 1.38% |
주요 소말리 씨족은 다음과 같다.[16][14][15]
씨족 계통 | 주요 씨족 |
---|---|
디르계 | 이사, 가다부르시, 자르소 |
이사크계 | 하브 아왈, 가르하지스, 아랍, 하브 젤로 |
하위예계 | 데고디아, 카란레, 셰칼, 하와들레, 하바르 기디르, 가르레 |
다로드계 | 오가덴, 지드와크, 하르티, 레엘카세, 마레한 |
5. 3. 언어
소말리어는 주민의 95.89%가 사용하는 주요 언어이다. 기타 언어는 모두 합쳐 4.11%이다.[17][18]5. 4. 종교
이슬람교는 소말리주의 주요 종교이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8.74%가 무슬림이며, 다른 모든 종교는 합쳐서 1.26%를 차지한다.[19][20][21] 다른 자료에서도 이슬람교는 98.4%, 기타 종교는 1.6%를 차지한다고 나타난다.6. 경제
소말리주는 건조 지대로 목축이 주 산업이다.[1] 2005년 에티오피아 중앙통계청(CSA)의 추정에 따르면 소말리주의 가축 수는 다음과 같다.[1]
가축 | 수 |
---|---|
소 | 1,459,720마리 |
양 | 1,463,000마리 |
염소 | 1,650,970마리 |
낙타 | 5,316,526마리 |
7. 교통
소말리주에는 육상 교통과 항공 교통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육상 교통으로는 아디스아바바에서 아와시를 거쳐 하라르, 지지가를 지나 데게하부르까지 이어지는 572km 도로가 있다. 항공 교통으로는 지지가 공항, 고데 공항, 카브리 다르 공항 등 국제공항 3곳과 돌로 공항, 실라보 공항 등 상업 공항 2곳이 있다.
7. 1. 육상 교통
아디스아바바에서 아와시를 경유하여 하라르, 지지가를 거쳐 데게하부르까지 572km의 도로가 건설되었다.7. 2. 항공 교통
소말리주에는 국제공항 3곳과 상업 공항 2곳이 있다. 국제공항으로는 지지가 공항, 고데 공항, 카브리 다르 공항이 있으며, 상업 공항으로는 돌로 공항, 실라보 공항이 있다.8. 사회 문제
소말리주는 가뭄 및 기근 등 심각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다.
8. 1. 가뭄 및 기근
소말리주 저지대에서는 긴 우기 동안 비가 내리지 않아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 2022년 3월 중순까지 긴급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인구는 68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며, 가뭄 지역에서 탈출하려는 사람들도 많다.[1] 또한, 소말리주 가뭄 피해 지역에서는 약 22만 5,000명의 영양 불량 아동과 10만 명 이상의 임산부 및 수유 중인 여성들이 긴급 영양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1]참조
[1]
서적
Population Projection of Ethiopia for All Regions At Wereda Level from 2014 – 2017
http://www.csa.gov.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Central Statistical Agency
2018-06-04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Itoobiya oo laga xusay guushi Karamardha ee 1977-kii
https://www.bbc.com/[...]
2020-03-06
[4]
웹사이트
Ethiopia Regions, Cities, and Population
https://www.ethiovis[...]
2021-05-09
[5]
웹사이트
Registered Somali Refugee Population
http://data.unhcr.or[...]
The UN Refugee Agency
2014-07-31
[6]
웹사이트
Monthly Situation Report - April 1994
https://www.africa.u[...]
2022-02-19
[7]
간행물
CIA, Talking Points on Soviet/Cuban Involvement in Ethiopia, March 17, 1978, Secret.
http://dx.doi.org/10[...]
2023-06-21
[8]
Webarchive
State and Politics in Ethiopia's Somali region since 1991
http://tobiashagmann[...]
2011-08-31
[9]
웹사이트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21-10-21
[10]
Webarchive
'The 199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Results for Somali Region'
http://www.csa.gov.e[...]
2008-12-07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sa.gov.e[...]
2009-03-23
[12]
Webarchive
Households by sources of drinking water, safe water sources
http://www.csa.gov.e[...]
2008-11-18
[13]
웹사이트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www.usaid.gov[...]
2022-02-19
[14]
웹사이트
Sociology Ethnology Bulletin
https://books.google[...]
2021-08-23
[15]
웹사이트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flict Rehabilitation in the Somali Region of Ethiopia |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 Refugee
https://www.scribd.c[...]
2021-07-02
[16]
웹사이트
Changing Pastoralism in Region 5
https://www.africa.u[...]
2021-04-22
[1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sa.gov.e[...]
2009-03-23
[18]
서적
Love and Liberation: Humanitarian Work in Ethiopia's Somali Region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sa.gov.e[...]
2009-03-23
[20]
Webarchive
FDRE States: Basic Information - Somalia
http://www.ethiopar.[...]
2005-05-22
[21]
Webarchive
" Census 2007 Tables: Somali Region"
http://www.csa.gov.e[...]
2012-03-10
[22]
Webarchive
"CSA 2005 National Statistics"
http://www.csa.gov.e[...]
2008-11-18
[23]
웹사이트
Ethiopia Administrative Divisions
http://www.worldstat[...]
2018-02-24
[24]
뉴스
Amhara Region Announces Appointment of 22 Cabinet Members
http://www.ena.gov.e[...]
2016-11-23
[25]
Webarchive
State and Politics in Ethiopia's Somali region since 1991
http://tobiashagmann[...]
2011-08-31
[26]
Webarchive
Federalism and ethnic conflict in Ethiopia: a comparative study of the Somali and Benishangul-Gumuz regions
http://hdl.handle.ne[...]
2022-02-19
[27]
웹사이트
Ahmed Shide named chairman of the Somali region ruling party
https://www.ethiopia[...]
2018-08-12
[28]
Webarchive
Dirir Mohamoud (Ethiopia)
http://www.afdevinfo[...]
2009-04-28
[29]
웹사이트
Exclusive: Third day EPRDF EC discussing "Prosperity Party" Regulation. Find the draft copy obtained by AS
https://addisstandar[...]
2020-05-26
[30]
웹사이트
MOU Signing ceremony With Federal and Regional Supreme Courts of Ethiopia to Facilitate Support for Clearance of Backlog Files
http://www.jfapfe.or[...]
2015-08-14
[31]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archive.org/[...]
CQ Press
[32]
웹사이트
Ethiopia: Somali Region Administrative map (as of 05 Jan 2015)
http://reliefweb.int[...]
OCHA
2015-01-05
[33]
웹사이트
Ethiopia: Administrative units
http://www.geohive.c[...]
GeoHive.com
2023-09-11
[34]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Zone and Wereda July 2023
http://www.statsethi[...]
エチオピア統計局
2023-09-11
[35]
웹사이트
エチオピア:深刻な干ばつにより壊滅的影響-3月には推定680万人に緊急人道支援が必要に|日本ユニセフ協会|プレスリリース
https://www.unicef.o[...]
2022-02-24
[36]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www.citypopul[...]
2016-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