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순은 북송 시대의 문인으로, '삼소'로 불리는 소식, 소철 형제의 아버지이다. 27세에 학문을 시작하여 육경과 제자백가에 통달했으며, 구양수의 추천으로 관직에 나아가 비서성 교서랑 등을 지냈다. 그의 글은 진솔하고 기골이 있으며 전국시대의 기풍이 있다고 평가받았고, 저서로는 《권서》, 《소로천전집》 등이 있다. 소순은 당송팔대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사상은 북송의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9년 출생 - 유수프 이븐 타슈핀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11세기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베르베르족 군주로서,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 왕국들을 통합하여 서구 이슬람 세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 1009년 출생 - 고스자쿠 천황
고스자쿠 천황은 1036년부터 1045년까지 재위했으며 장원 정리령 시도에 실패하고 어깨의 악성 종양으로 양위한 일본의 70대 천황이다. - 북송의 유학자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 북송의 유학자 - 장재
장재는 기(氣)를 우주의 근본 물질로 여기는 기일원론을 주장하고 성리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북송 시대의 유학자이다. - 1066년 사망 - 해럴드 2세
해럴드 2세는 1066년 짧게 잉글랜드를 다스린 왕으로, 참회왕 에드워드의 후계자였으나 노르망디 공 윌리엄의 침공으로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전사하며 잉글랜드 역사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 - 1066년 사망 - 하랄드 3세 하르드라디
하랄 3세 하르드라디는 '결단력 있는 자'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키예프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군사 경험을 쌓고 국내 반대 세력을 진압하며 왕국을 강화했으나, 1066년 잉글랜드 침공 중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에서 전사하여 바이킹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소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소순 |
자 | 명윤(明允) |
시호 | 문충(文忠) |
출생 | 대중상부 2년 4월 25일 (음력) (1009년 5월 22일) |
사망 | 치평 3년 4월 25일 (음력) (1066년 5월 21일) |
출신지 | 미주(眉州) 미산현(眉山縣) |
직업 | 문인 |
한자 정보 | |
간체자 | 苏洵 |
번체자 | 蘇洵 |
병음 | Sū Xún |
주음 | ㄙㄨ ㄒㄩㄣˊ |
일본어 정보 | |
화명 (일본어 이름) | 소 슌(そ じゅん) |
로마자 정보 | |
한국어 로마자 표기 | So Sun |
가족 | |
아들 | 소식(蘇軾) 소철(蘇轍) |
2. 생애
소순은 27세에 학문에 뜻을 두고 공부를 시작했으나, 여러 차례 과거에 낙방했다. 좌절하지 않고 자신이 이전에 썼던 글을 모두 불태운 뒤, 육경과 제자백가에 능통한 학자가 될 때까지 학업에 정진했다.[4][5] 1056년, 소순은 두 아들을 데리고 상경하여 학자들을 방문했는데, 그의 학식과 글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심지어 과거를 보러 온 사람들 중 일부는 과거를 포기하고 돌아가기도 했다.[5] 이듬해, 소순은 아들들에게 과거 응시를 권하고, 자신은 몇 년간 써 온 20여 편의 글을 다른 사람을 통해 구양수에게 전달했다.[6]
소순의 글은 유려하고 날카로우며 정돈된 특징을 지녔다. 소식, 소철 두 아들과 함께 '삼소'(三蘇)로 불렸으며, 특히 소순은 '노소'라고 불렸다. 저서로는 《권서》, 《소로천 전집》 등이 있다.
眉山(眉州) 眉山현(현재 쓰촨성 메이산시 둥포구) 출신으로, 당나라 초기에 眉州자사를 지낸 소미도(蘇味道)의 차남 소분(蘇份)의 후손이라고 자처했다. 그러나 소순이 직접 쓴 족보에는 소미도로부터 소순의 증조부까지의 기록이 없어, 이 주장의 진위는 불분명하다. 소순에게는 두 명의 형이 있었고, 이들은 모두 진사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소순은 사천성 메이산(眉山)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4] 그는 27세까지 학문에 뜻이 없다가, 뒤늦게 학문에 전념하기 시작했다.[4]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지만 낙방했다.[4] 이후 10년 이상 전국시대를 포함한 전(前)진 시대의 고전 문학과 철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심오한 철학적, 정치적 논쟁을 펼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1][2] 이 과정에는 공자와 맹자 경전도 포함되었다.[1] 그는 두 아들 소식과 소철에게 역사, 문학, 철학을 직접 가르쳤다.[3]2. 2. 관직 생활과 문학적 업적
1056년 47세에 두 아들과 함께 수도 개봉(당시 비경)으로 가서 한림학사 구양수에게 자신의 글을 바쳤다.[1] 구양수는 소순의 글을 높이 평가하여 고대 유학자 순자의 문체에 비유하며 그를 조정에 천거했고,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소순의 글을 읽었다.[2][3][5] 1057년 두 아들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1] 송 인종은 소순을 시험에 응시하도록 불렀지만,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사양했다.[1] 소순은 비서성 교서랑, 패주 문안현 주부 등을 지냈다.[5] 태상사의 명을 받아 진저우(陳州) 항성현 현령 요벽과 함께 예서를 편찬하다가 57세에 사망했다.[5]3. 사상과 문체
소순의 글은 진솔하고 기골이 있으며, 전국시대의 기풍이 있다고 칭송받아 한때 학자들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그의 저서 《변간론》은 훗날 신법·구법의 다툼에서 왕안석을 비판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했다.[1]
3. 1. 사상
경서를 논할 때 자신의 상식에서 출발하여 성인과 패자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다. 유가의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현실 문제를 비판했다. 「서론」에서 주(周)의 무왕이 성인이 아니었음을 논한 것은, 실용을 중시한 구양수나 왕안석도 미치지 못한 대담함이었다.[1]정치적으로는 북송이 거란(요(遼))에 세폐를 보내 평화를 유지하는 정책을 비판하고, 내정 개혁과 군사력 강화를 통해 국가의 안녕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그의 저서 《변간론》은 훗날 신법·구법의 다툼에서 왕안석을 비판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했다.[1]
4. 저서
- 權書|권서중국어
- 刑論|형론중국어
- 嘉祐集|가우집중국어 15권 (三蘇全集|삼소전집중국어본에서는 20권)
- 諡法|시법중국어 3권
- 蘇老泉全集|소로천전집중국어 20권
참조
[1]
웹사이트
"三苏"在文化史的地位:时名谁可嗣 父子尽贤良——中新网
https://www.chinanew[...]
2023-12-28
[2]
서적
History of Song (宋史 Song Shi)
https://chinesenotes[...]
[3]
서적
Su Shi Ping Zhuan 苏轼评传 [Su Shi, a Critical Biography]
Nanjing University Publishing House
[4]
서적
중국문명대시야3
김영사
[5]
서적
중국을 말한다11(문채와 슬픔의 교향곡)
신원문화사
[6]
서적
중국역사박물관6
범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