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주 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주 가씨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운 명나라 장수 가유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가유약은 명나라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와 왜군과 싸웠으며, 그의 후손들이 가유약의 출신지인 장쑤성 쑤저우를 본관으로 삼았다. 가침은 안동 권씨 권순의 딸과 혼인하여 울산에 정착했고, 후손들은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소주 가씨는 조선 시대에 무과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2000년에는 2,812가구, 9,025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주 가씨 - 가내영
    가내영은 동인천중학교와 제물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태평양 돌핀스에 입단하여 13시즌 동안 여러 팀에서 투수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고등학교 코치 및 감독을 거쳐 현재는 유소년 야구단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 소주 가씨 - 가득염
    가득염은 1992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010년 SK 와이번스에서 은퇴한 대한민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19시즌 동안 투수로 활약하며 671경기에 출전하여 36승 49패 11세이브 78홀드를 기록했고 은퇴 후 여러 구단에서 코치로 활동했으며 2024년에 두산 베어스 코치로 복귀 예정이다.
소주 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소주 가씨
한자 표기蘇州 賈氏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쑤저우시
시조가유약(賈維鑰)
관련 인물가솔현
가득희
웹사이트소주 가씨 종친회
주요 인물
통계
2015년 인구9,936명

2. 역사

쑤저우 가씨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운 명나라 장수 가유약(賈維鑰)을 시조로 한다. 가유약과 그의 아들 가상(賈祥)은 1600년 부산 포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1] 가유약의 손자 가침(賈琛)은 조선에 정착하여 안동 권씨 권순의 딸과 혼인하였다.

1647년(인조 24) 가침이 사망한 후, 그의 네 아들 가성(賈晟), 가호(賈昊), 가병(賈昺), 가수(賈遂)는 충청남도 태안군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1]

2. 1. 시조 가유약(賈維鑰)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가유약'''(賈維鑰)을 시조로 삼는다. 가유약은 명나라 병부상서 계요도찰사(薊遼都察使)로,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들어와 안주 등지에서 왜군과 싸워 공을 세웠다.[1] 정유재란 때는 유격장군(遊擊將軍)인 아들 가상(賈祥)과 병부종사관(兵部從事官)인 손자 가침(賈琛)을 데리고 다시 조선에 와 소사(素沙), 남원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1600년 부산 포구 전투에서 아들 가상과 함께 전사하였다고 전해진다.[1]

손자 가침은 이들의 시신을 거두어 울산 서생진(西生鎭) 도독동(都督洞)에 묻었다.[1] 이후 가침은 조선에서 안동 권씨 권순의 딸과 혼인하여 울산에 정착했다.[1] 후손들은 가유약의 출신지인 장쑤성 쑤저우(소주, 蘇州)를 본관으로 삼았다.[1]

2. 2. 조선 정착

가유약(賈維鑰)의 손자 가침(賈琛)은 조선에서 안동 권씨 권순의 딸과 혼인하여 울산에 정착했다.[3] 가침의 네 아들 가성(賈晟), 가호(賈昊), 가병(賈昺), 가수(賈遂)는 충청남도 태안군으로 이주하여 쑤저우 가씨 집성촌을 형성했다.[3]

2. 3. 숭의사(崇義祠)

1851년(철종 2) 쑤저우 가씨 3대의 충효를 기리는 숭의사(崇義祠)와 정문이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에 세워졌는데, 이들은 이후 태안을 중심으로 충효의 가통을 이어왔다.[3]

3. 본관

시조 가유약의 출신지인 장쑤성 쑤저우(소주)를 본관으로 삼았다.[1] 1647년(인조 24년) 가침이 죽은 뒤 아들 4형제가 충청도 태안으로 터를 옮겨 정착했다고 한다.[1] 1851년(철종 2년) 3대의 충효를 기리는 숭의사(崇義祠)와 정문이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에 세워졌는데, 가씨들은 이후 태안을 중심으로 충효의 가통을 이어왔다.[1]

4. 인물

조선시대 인물로는 가행건(賈行健)은 조선 헌종 때 충청도 안흥양진의 수군병마첨절제사를 지냈고, 그의 아들 가일영(賈日永)은 철종 때 울진현령에 올랐다. 가중영(賈中永)은 충량과에 장원급제하고 고종 때 가선대부를 역임했다. 가익건(賈翊健)은 프랑스 함대의 강화도 점령 때 의병을 일으켰고, 가정로(賈廷魯)는 구한말의 청백리로 알려졌다. 일제강점기 독립 운동가로는 가재창, 가재연이 있다.

4. 1. 조선시대

가행건(賈行健)은 조선 헌종 때 충청도 안흥양진의 수군병마첨절제사를 지냈고, 그의 아들 가일영(賈日永)은 철종 때 울진현령에 올랐다. 가중영(賈中永)은 충량과에 장원급제하고 고종 때 가선대부를 역임했다. 가익건(賈翊健)은 프랑스 함대의 강화도 점령 때 의병을 일으켰고, 가정로(賈廷魯)는 구한말의 청백리로 알려진 인물이다. 일제시대 독립 운동가로는 가재창, 가재연이 있다.

4. 2. 현대 인물

5. 과거 급제자

쑤저우 가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4][5][6]

이름출생년도급제년도 및 등위
가충렬(賈忠烈)1528년1560년 별시(別試) 을과(乙科) 2위[4]
가안책(賈安策)1559년1583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328위[5]
가언순(賈彦恂)1562년1599년 별시(別試) 병과(丙科) 30위[6]


6. 항렬표

15세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
口永|구영중국어병(秉)口魯|구로중국어
口燮|구섭중국어
재(在)
기(基)
口鉉|구현중국어
口鎭|구진중국어
순(淳)
한(漢)
口羲|구희중국어
口相|구상중국어
묵(默)
환(煥)
口圭|구규중국어
口吉|구길중국어
종(鍾)
호(鎬)
口求|구구중국어
口洋|구양중국어
권(權)
화(和)
口容|구용중국어
口炯|구형중국어
균(均)
철(喆)
口錫|구석중국어
口鎔|구용중국어
수(洙)
택(澤)
口柱|구주중국어
口東|구동중국어
口穆|구목중국어
희(熙)
엽(燁)
섭(烈)
口地|구지중국어
口店|구점중국어
口埈|구준중국어
용(鏞)
철(鐵)
옥(鈺)
口承|구승중국어
口澤|구택중국어
口海|구해중국어


7. 집성촌

8.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1,733가구7,623명
2000년2,812가구9,025명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가 賈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5
[3] 웹사이트 가씨(賈氏) 본관(本貫) 소주(蘇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4] 문서 경신문무과별시방목(庚申文武科別試榜目)
[5] 문서 만력11년계미9월초3일별시방목(萬曆十一年癸未九月初三日別試榜目)
[6] 문서 기해추별시방목(己亥秋別試榜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