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부인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인물로, 유비의 부인이었다. 209년 12월 유비와 결혼했으며, 손권의 뜻에 따른 정략결혼이었다. 유비가 익주를 침공한 후에는 오나라로 돌아갔으며, 그 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손인(孫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무예가 뛰어난 여장부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비와 직계가족 - 목황후
목황후는 후한 말 천류군 출신으로 유비의 부인이자 촉한의 황후이며, 유비 사후 황태후로 존경받다가 혜릉에 합장되었다. - 유비와 직계가족 - 미부인
미부인은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군주 유비의 부인으로, 유비가 어려움을 겪을 때 미축의 주선으로 혼인하여 유비의 첫 번째 부인이 되었으며, 장판파 전투에서 조조군에게 쫓기던 중 유선을 조운에게 맡기고 우물에 투신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동오의 황족 - 손흠
손흠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인물로 손권, 손량, 손휴, 손호 4대에 걸쳐 벼슬을 지냈으며, 280년 서진의 침공 당시 악향에서 방어전을 펼치다 패배하고 포로로 잡혀 서진 조정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 동오의 황족 - 강동이교
강동이교는 삼국 시대의 자매 대교와 소교를 지칭하며, 각각 손책과 주유와 혼인했고, 소설 《삼국지연의》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한다. - 손씨 일가와 주변 인물 - 손견
손견은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나라의 시조이며 손책과 손권의 아버지로, 황건적의 난 진압 등 공을 세웠고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하여 낙양 함락에 기여했으나, 향양 전투 중 전사했으며, 뛰어난 무력과 리더십으로 인정받는 동시에 과감한 성격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손씨 일가와 주변 인물 - 사일
사일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초 교주 지역에서 활동하며 정궁을 보좌하여 두각을 나타냈고 합포 태수를 역임했으나, 손권에게 귀순 후 사휘의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하며 격변기의 사씨 가문의 흥망성쇠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손부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손부인 (夫) |
가문 | 손 가문 |
아버지 | 손견 |
어머니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유비 |
출생일 | 182년과 191년 사이 |
사망일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별칭 (일반) | 손상향 (孫尚香) |
별칭 (소설 삼국지연의) | 손인 |
2. 생애
손부인은 손견의 딸이었으며, 어머니에 대한 기록은 없다. 오부인 소생의 손책, 손권, 손이, 손광 등 네 명의 형제가 있었다.[1]孫朗|손랑중국어은 사서에 따라 손견의 아들이라는 설과 조카라는 설이 있다.[2] 손이, 손광과의 출생 순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정사 《삼국지》 촉서에 언급되었지만, 유비의 아내로서 열전은 없다. 오나라 인물이지만 오서에도 기술이 없다. 손권의 뜻에 따라 유비에게 시집을 갔으며, 이 때문에 유비는 경구에 가서 손권과 회견하여 우호 관계를 맺었다.[16]
2. 1. 유비와의 결혼
209년 12월, 유비는 손권과의 동맹을 더욱 튼튼히 하기 위해 손권의 누이동생 손부인과 결혼했다.[3] 이 결혼은 형주의 주도였던 공안현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4][5] 손부인은 재능 있고 총명하며, 대담하고 격렬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칼을 든 100명 이상의 여자 하인들을 거느리고 자신의 방 밖에 경비를 서게 했다.[6] 유비는 손부인을 의심하고 두려워했으며, 제갈량은 유비가 손부인 때문에 집에서조차 불안에 떨었다고 언급했다.[7]《삼국지》 촉서 법정전에는 제갈량의 말이 기록되어 있는데, 유비는 손부인이 곁에서 변고를 일으킬까 두려워했다고 한다. 손부인의 시녀 백 명이 모두 무장하고 있어, 유비는 손부인의 침소에 들어갈 때마다 항상 두려워했다고 한다.[7]
211년경,[11] 유비가 익주의 군벌 유장을 공격하기 위해 형주를 떠났을 때, 손부인은 형주에 남았다. 손권은 유비가 익주로 갔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를 데려가기 위해 배를 보냈다. 손부인은 유비의 아들 유선을 손권의 영토로 데려가려 했으나, 조운과 장비가 그들을 가로막고 유선을 되찾았다.[12][13]
《한진춘추》에 따르면, 손부인은 유선을 데리고 오나라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제갈량은 조운에게 명해 장강을 봉쇄해 유선을 구출했다. 이 때문에 유비와 손부인의 사이는 더욱더 험악하게 되어, 손부인은 공안에 새로운 거성을 쌓도록 함으로써, 별거 상태가 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손부인과 유비는 사실상 이혼한 상태가 되었다.
손부인은 스스로 강력한 군벌의 누이라고 여겼고, 거만하고 방자하게 행동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호원과 개인 수행원들이 형주에서 무법하게 행동하도록 내버려 두었다. 이런 이유로 유비는 조운을 특별히 임명하여 형주 내정을 감독하고 법과 질서를 유지하도록 했다.[10]
건안 17년(212년), 유비가 익주를 침공했을 때, 손권은 큰 배로 여동생을 맞이하여 양주로 귀향했다. 손부인은 유선을 데려가려 했기 때문에, 제갈량은 조운에게 명하여 장강을 봉쇄하고 유선을 탈환했다. 유비는 성도에 입성한 후, 오씨를 새로운 부인으로 맞이했다.[17] 오나라로 귀국 후의 손부인의 행방은 불명확하며, 일설에는 다른 곳으로 재가를 갔다고도 한다.
2. 2. 결혼 생활의 파탄
209년 12월, 자치통감에 따르면 손부인은 유비와 결혼했다.[3] 이 결혼은 형주의 주도였던 공안현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4][5] 《삼국지》에는 손부인에 대한 기록이 매우 적다. 촉서 법정전에는 제갈량이 "주공[유비]께서 공안에 계실 때 북쪽으로 조조의 강성함을 두려워하시고, 동쪽으로 손권의 핍박함을 꺼렸으며, 가까이에 손부인이 이 곁에서 변고를 일으킬까 겁내시었으니..."라고 말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7] 손부인은 재능 있고 총명했지만, 대담하고 격렬한 성격을 지녀 오빠 손씨 형제들을 연상시켰다.[6] 그녀는 칼을 든 100명 이상의 여자 하인들을 거느리고 방 밖에 경비를 세웠다.[6] 유비는 손부인을 의심하고 두려워했으며, 그녀의 침소에 들어갈 때마다 항상 두려워했다고 한다.211년경,[11] 유비가 익주의 군벌 유장을 공격하기 위해 형주를 떠났을 때, 손부인은 형주에 남았다. 손권은 유비가 익주로 갔다는 소식을 듣고 배를 보내 손부인을 데려오게 했다. 손부인은 유비의 아들 유선 (유비의 다른 아내인 감부인 소생)을 손권의 영토로 데려가려 했다. 그러나 유비의 장군 조운과 장비가 그들을 가로막고 유선을 되찾았다.[12][13]
《삼국지》 촉서 목황후전에 따르면,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뒤 손부인은 오나라로 돌아갔다. 한진춘추에는 손부인이 유선을 데리고 오나라로 돌아가려 했지만, 제갈량이 조운에게 명해 장강을 봉쇄하고 유선을 구출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문에 유비와 손부인의 사이는 더욱 험악해졌고, 손부인은 공안에 새로운 거성을 쌓아 별거 상태가 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손부인과 유비는 사실상 이혼한 상태가 되었다. 오나라로 귀국한 후 손부인의 행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일설에는 다른 곳으로 재가를 갔다고도 한다.
2. 3. 오나라로의 귀환
209년 12월, 유비와 결혼한 손부인은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뒤 오나라로 돌아갔다.[3] 《한진춘추》에 따르면, 손부인은 유선을 데리고 오나라로 돌아가려 했지만, 제갈량은 조운에게 명해 장강을 봉쇄하고 유선을 구출했다.[17] 이 때문에 유비와 손부인의 사이는 더욱 멀어졌고, 손부인은 공안에 새로운 거처를 마련하여 별거 상태가 되었다. 사실상 이혼한 상태였다.건안 17년(212년), 유비가 익주를 침공했을 때, 손권은 큰 배로 여동생을 맞이하여 양주로 귀향하게 했다.[17] 손부인은 유비의 아들 유선을 데려가려 했으나, 조운과 장비가 길을 막고 유선을 되찾았다.[12][13]
오나라로 귀환 후 손부인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17] 일설에는 이릉 전투 이후 유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장강에 몸을 던졌다고 전해지나,[18] 이는 명나라 후기부터 나온 잘못된 이야기라는 지적이 있다.[19]
3. 평가
법정전에는 손부인이 재기(才気)와 강용(剛勇) 면에서 오라비들의 면모를 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갈량은 "북쪽에는 조조, 남쪽에는 손권, 더 나아가 안으로는 손부인의 위협이 있어, 그 속에서 우리 임금이 뜻을 이룬 것은 오로지 법효직의 공적이다"라고 말했다.[20] 손부인은 결혼할 때 100명 이상의 시녀를 거느리고, 그 위에 병사를 받았다는 점에서 손권이 누이를 매우 아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손부인은 손권의 여동생이라는 점을 믿고 교만하고 자만하는 성격으로, 자신의 병사를 이끌고 유비 측의 법령을 지키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일이 많았다. 이 때문에 유비는 감시역으로 조운을 파견했다. 부부 관계는 불분명하지만, 손부인의 시녀들이 모두 무장한 채 곁에 서 있었기 때문에 유비는 안으로 들어갈 때 항상 두려워했다고 한다.[21]
청나라 시대의 『백미신영도전』에 따르면, 손부인은 중국 역대에서 가장 이름난 미인 백 명에 선정되었다.[22]
4.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삼국지연의》에서 손부인은 '''손인'''(孫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무예가 출중한 여장부로 묘사되어 오라비인 손권마저도 두려워했다. 동오로 온 유비를 시험하기도 하며, 손권에게서 도망쳐올 때 손인과 유비 부부를 추격해오는 정봉과 서성을 물리쳤다.
주유가 발안한 혼인 정책으로 유비를 불러들여 처음에는 죽이려고 했지만 실패했기 때문에, 대신 국내에 사실상 구류하여 무력화시키는 계략을 세웠다. 그러나 조운이 제갈량으로부터 받은 계략을 사용하여 유비는 손부인과 함께 형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한다. 남편이 될 유비와는 나이 차이가 30세 가까이 났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좋은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24]
그 후, 유비와 손권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손권은 어머니 오국태의 요청에 따라 장소와 노숙의 계략으로 손부인의 옛 신하인 주선을 파견하여 손부인에게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거짓 정보를 전하고, 아두(후의 유선)를 데리고 귀국시키려 한다. 그러나 이를 발견한 조운과 장비에 의해 주선은 참수되고, 아두를 빼앗기게 되어 그녀는 혼자서 모국으로 귀국하게 된다.[25]
손권이 손인을 다시 불러오기 위해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거짓 정보를 보내 소환했고, 손인은 이때 어린 유선을 데려가다 조운에게 빼앗기고 만다.[27] 이후, 익주로 들어간 유비를 따라 가길 원하는 손인을 손권이 놓아주지 않아 그대로 건업에 머무르게 되나, 이릉 전투에서 유비가 사망했다는 오보를 듣고 장강에 투신자살하였다고 전한다.[26]
4. 1. 이름 및 별칭
- '''손인'''(孫仁|쑨런중국어):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이름이다.[14]
- '''손상향'''(孫尚香|쑨샹샹중국어): 연극 및 대중문화에서 사용되는 이름이다.
- '''교희'''(梟姬|샤오지중국어, fierce lady): 대중문화에서 사용되는 별칭이다.
- '''궁요희'''(弓腰姬|궁야오지중국어, lady with a waist like a bow): 요시카와 에이지의 《삼국지》 일본어 번역본에서 사용되는 별칭이다.
5. 대중문화에서의 손부인
孫尚香|손상향중국어은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진 삼국무쌍 시리즈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며, 무쌍 오로치에도 출연한다. ''무쌍 오로치''는 ''진 삼국무쌍''과 전국무쌍의 크로스오버 작품이다. 시리즈의 첫 7개 작품에서는 "손상향"으로, 8번째 작품부터는 "손상향"으로 불린다. 코에이의 결전 2에서는 "손려"로 등장하며, 유비의 여러 연인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자오웨이는 2008년 오우삼 감독의 중국 시대극 전쟁 영화 ''적벽''에서 손상향 역을 맡았다. 1부에서 그녀와 여성 호위병들은 조조 군을 함정에 빠뜨리고, 2부에서는 조조의 진영에 잠입하여 적의 배치도를 그린다.
손부인은 2009년 대만 아이돌 드라마 시리즈 ''K.O.3국''에서 젠페이츠가 연기했는데, 이는 현대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삼국지연의''를 패러디한 작품이다. 드라마에서 손부인은 유비의 철 시공간에 해당하는 수의 연인으로 등장한다.
게임 ''토탈 워: 삼국''에서는 손인으로 등장한다. 손견의 캠페인에서 어린 아이로 처음 등장하며, 성인이 된 후에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가 된다.
2015년 후난위성텔레비전의 드라마 무신 조자룡에서는 강세정이 손부인 역을 맡았다.
NHK의 인형극 삼국지에서는 "정희(테이키)"로 이름 붙여졌으며, 유비의 전처인 숙령(스우린)과 똑같이 생겼다는 설정으로 등장하고 있다.
6. 가계도
- -|]]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50
[2]
서적
Zhi Li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46
[3]
서적
Zizhi Tongjian vol. 66
[4]
서적
Sanguozhi vol. 32
[5]
서적
Sanguozhi vol. 47
[6]
서적
Sanguozhi vol. 37
[7]
서적
Sanguozhi vol. 37
[8]
서적
Zizhi Tongjian vol. 66
[9]
서적
Huayang Guo Zhi vol. 6
[10]
서적
Yun Bie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11]
서적
Zizhi Tongjian vol. 66
[12]
서적
Yun Bie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13]
서적
Han Jin Chunqi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4
[14]
서적
Sanguo Yanyi ch. 7
[15]
서적
三国閑話
[16]
서적
『三国志』蜀書先主伝
[17]
wikisource
三國志/卷34
[18]
웹사이트
『資治通鑑補』(明)
https://ctext.org/li[...]
[19]
웹사이트
『訂訛類編 孫夫人無自尽事』
https://ctext.org/wi[...]
[20]
wikisource
三國志/卷37
[21]
wikisource
三國志/卷36
[22]
문서
大喬、小喬、甘皇后、潘夫人、鄧夫人(孫和の寵姫)、蔡文姫と共に三国時代 (中国)の美人として挙げられている。
[23]
wikisource
三國演義/第054回
[24]
wikisource
三國演義/第055回
[25]
wikisource
三國演義/第061回
[26]
서적
선주전
[27]
문서
나관중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가 죽은 다음날 음력 4월 25일이라 하지만, 이는 창작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