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호는 1644년부터 1648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고코묘 천황의 즉위에 맞춰 개원되었으며, 에도 막부의 의향이 반영되었다. 쇼호 연호는 발음과 한자 의미, 그리고 과거의 사건과 연관되어 불길하다는 평가를 받아 단기간에 게이안으로 개원되었다. 이 기간 동안 정성공의 구원병 요청 거절, 지도 제작, 주요 인물들의 사망 등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쇼호
개요
쇼호 연호 시기의 고묘 천황
쇼호 연호 시기의 고묘 천황
유형연호
지속 기간1644년 - 1648년
이전간에이
다음게이안
시작간에이 21년 12월 16일
종료게이안 원년 2월 15일
천황고코묘 천황
막부에도 막부
쇼군도쿠가와 이에미쓰
로마자 표기Shōhō
별칭쇼코

2. 연호 제정 및 변경

간에이 21년 12월 16일(1645년 1월 13일) 고코묘 천황 즉위에 맞춰 간에이에서 쇼호로 연호가 변경되었다.[3][5] 그러나 "쇼호"라는 연호는 발음이 "소보(焼亡, 불타 없어짐)"와 비슷하고, 글자 모양도 불길하다는 등의 이유로 평판이 좋지 않았다.[6] 결국 쇼호 5년 2월 15일(1648년 4월 7일) 게이안으로 다시 연호가 변경되었다.

2. 1. 연호 제정 (개원)

간에이 21년 12월 16일(1645년 1월 13일) 고코묘 천황 즉위에 맞춰 연호가 제정되었다.[3][5] 이는 하나의 연호가 세 명의 천황에 걸쳐 사용된 전례가 없었기 때문이며, 에도 막부의 의향이 반영되었다는 설이 있다.[6]

간에이 기근을 겪은 막부가 재건을 꾀하던 시기와 겹친다.[7] 섭정 니조 야스미치는 연호 제정 절차에 대해 막부의 제시와 판단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8]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는 "연호는 천하가 함께 사용하므로 무가(武家)에서 정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라며, 연호는 여러 가문의 의견을 종합하여 무가가 정한다고 하야시 라잔의 『개원 이야기』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쇼호"라는 연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평판이 좋지 않았다.

  • "쇼호(しょうほう)"는 "소보(しょうぼう, 焼亡)"와 발음이 비슷하다.
  • "정(正)" 자가 "하나로 멈춘다", "보(保)" 자가 "인구목(人口木)"으로 각각 읽힌다.
  • "쇼호 원년"이라고 적으면, 과거 대란이 있었던 연호 "호겐"보다 "정(まさ)히 호겐의 해"로 읽혀, 다시 대란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


이러한 비판이 교토에서 시작되어, 결국 좋지 않은 조짐을 가진 연호라는 여론이 높아져, 쇼호 5년 2월 15일 (1648년 4월 7일) 게이안으로 다시 연호가 바뀌게 되었다.

2. 2. 연호 변경

간에이 21년 12월 16일(1645년 1월 13일), 고코묘 천황 즉위에 맞춰 연호가 쇼호로 변경되었다.[3] 이전 연호인 간에이는 같은 날짜에 끝났다.[5] 개원은 하나의 연호가 세 명의 천황에 걸쳐 사용된 전례가 없었기 때문이며, 에도 막부의 의향이 배경에 있었다는 설이 있다.[6]

간에이 기근을 겪은 막부가 재건을 꾀하던 시기와 겹친다.[7] 섭정 니조 야스미치는 간문(勘文)이 다 갖춰지면 막부의 제시를 받아 그 판단을 받은 후 작업을 진행할 것을 주장했다.[8] 하야시 라잔의 『개원 이야기』에 따르면,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는 "연호는 천하가 함께 사용하므로 무가(武家)에서 정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라고 하며 연호는 여러 가문의 간문에서 무가가 정한다고 하였다.

쇼호 5년 2월 15일(1648년 4월 7일) 게이안으로 다시 연호가 변경되었다. "쇼호"라는 연호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평판이 좋지 않았다.

  • "쇼호(しょうほう)"는 "소보(しょうぼう, 焼亡)"와 발음이 비슷하다.
  • "정(正)" 자는 "하나로 멈춘다", "보(保)" 자는 "인구목(人口木)"으로 각각 읽힌다.
  • "쇼호 원년"이라고 적으면, 과거 대란이 있었던 연호 "호겐"보다 "정(まさ)히 호겐의 해"로 읽혀, 다시 대란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이 교토에서 시작되어, 결국 좋지 않은 조짐을 가진 연호가 아니냐는 여론이 높아져 단기간에 다시 연호가 변경되었다.

3. 주요 사건

쇼호 3년(1646년), 정성공에도 막부에 구원병을 요청했으나 막부는 이를 거절했다.[9]

3. 1. 사회/문화


  • 正保|쇼호일본어 원년(1644년): 도쿠가와 막부의 명령으로 세 번째 주요 일본 지도 제작이 시작되었다. 첫 번째 지도는 게이초 10년에 완성되었으며, 축척은 1:432,000이었다(1:21,600 축척으로 그려진 각 지방의 지도를 기반으로 함).[4]
  • 正保|쇼호일본어 2년 4월 23일(1645년 5월 18일): 쇼군이 중납언(中納言)의 조정 직위에 올랐다.[2]
  • 正保|쇼호일본어 2년 5월 19일(1645년 6월 13일): 미야모토 무사시 사망.
  • 正保|쇼호일본어 3년(1645년 12월): 선종 개혁 운동의 주요 인물 다쿠안 소호 사망.[3]
  • 正保|쇼호일본어 2년 12월 2일(1646년 1월 18일): 호소카와 타다오키 사망.
  • 正保|쇼호일본어 3년 3월 26일(1646년 5월 11일): 야규 무네노리 사망.
  • 正保|쇼호일본어 6년(1648년): 막부는 에도에서 평민들의 삶을 규정하는 법전을 발표했다.[3]
  • 正保|쇼호일본어 3년
  • 닛코 도쇼구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모시는 음력 4월의 예제에 고코묘 천황으로부터 봉폐가 파견되어, 후에 닛코 레이헤이시라고 불리게 된다.[9]
  • 정성공이 막부에 대해 원조 병력을 요청했으나, 막부는 이를 거절한다.

3. 2. 외교

정성공이 막부에 구원병을 요청했으나, 막부는 이를 거절했다.[9]

3. 3. 주요 인물 사망

4. 연표

쇼호 연표
쇼호원년2년3년4년5년
서력1644년1645년1646년1647년1648년
간지갑신을유병술정해무자


  • '''1644년''' (쇼호 원년): 도쿠가와 막부의 명령으로 세 번째 주요 일본 지도 제작이 시작되었다. 첫 번째 지도는 게이초 10년에 완성되었으며, 축척은 1:432,000이었다(1:21,600 축척으로 그려진 각 지방의 지도를 기반으로 함).[4]
  • '''1645년'''
  • 5월 18일 (쇼호 2년, 4월 23일): 쇼군이 중납언(中納言)의 조정 직위에 올랐다.[2]
  • 6월 13일 (쇼호 2년, 5월 19일): 미야모토 무사시 사망.
  • 12월 (쇼호 3년): 선종 개혁 운동의 주요 인물 다쿠안 소호 사망.[3]
  • '''1646년'''
  • 1월 18일 (쇼호 2년, 12월 2일): 호소카와 타다오키 사망.
  • 5월 11일 (쇼호 3년, 3월 26일): 야규 무네노리 사망.
  • '''1648년''' (쇼호 5년): 막부는 에도에서 평민들의 삶을 규정하는 법전을 발표했다.[3]

참조

[1] 서적 ''Shōhō'' in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4] 서적 The Tōkaidō (road) Road: Traveling and Representation in Edo and Meiji Japan 2004
[5] 문서 寛永から正保への改元 1645-01-13
[6] 문서 1998
[7] 간행물 家光の朝儀粛正と正保改元 1971
[8] 간행물 江戸幕府の朝廷支配 1989
[9] 웹사이트 日光例幣使道とは https://www.city.toc[...] 栃木市 2022-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