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은 1799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끈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의 프랑스에 대한 원정이다. 영국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시작되었으나,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간의 불신, 프로이센의 중립, 코르사코프의 패배 등으로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수보로프는 이탈리아에서 연승을 거두었지만, 스위스에서 코르사코프의 패배로 인해 원정이 실패로 돌아갔고, 러시아는 동맹에서 탈퇴했다. 이 원정은 나폴레옹의 부상과 러시아의 외교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보로프의 뛰어난 전술적 역량에도 불구하고 동맹의 불협화음과 전략 부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트레비아강 전투 (1799년)
    1799년 6월 17일부터 20일까지 이탈리아 북부 트레비아 강에서 벌어진 트레비아강 전투는 자크 맥도날드와 쟝 빅토르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군과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오스트리아-러시아 연합군 간의 3일간 격전으로, 프랑스군의 패배와 이탈리아 반도 후퇴로 이어졌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은 영국 지배에 대한 불만으로 아일랜드 통합단원회를 중심으로 가톨릭 해방과 의회 개혁을 요구하며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지원 실패와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아일랜드는 영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 명칭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
관련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이탈리아와 스위스에서 벌어진 수보로프의 원정 지도
기간1799년 3월 – 1799년 12월
장소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결과러시아-오스트리아 연합군의 이탈리아 승리
프랑스의 스위스 승리
교전 세력1프랑스 공화국
헬베티아 공화국
교전 세력2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스위스 반군
지휘관
프랑스 측 지휘관바르텔레미 주베르
장 모로
앙드레 마세나
장드디외 술트
에티엔 마크도날
바르텔레미 셰레르
클로드 르쿠르브
얀 동브로프스키
연합군 측 지휘관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코르사코프
안드레이 로젠베르크
미하엘 폰 멜라스
프리드리히 폰 호체
프란츠 아우펜베르크
파울 크라이
페르디난트 로베레아
병력 규모
프랑스 측 병력미상
연합군 측 병력러시아군 65,000명
피해 규모
프랑스 측 피해이탈리아에서 다수의 사상자 발생, 80,000명 포로, 3,000문 대포, 200,000정 총기
연합군 측 피해미상

2. 배경

이 원정은 주로 영국러시아 제국의 정치인들과 외교관들에 의해 계획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영국이 지원할 군대를 제공하고, 이들은 함께 오스트리아가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군 육상 병력의 약 4분의 3을 보유하고 있었다.[1] 또한 오스트리아의 전쟁 수행을 포함한 전역에 대한 영국과 러시아 제국의 전략적 통제를 유지하면서, 연합군 전체에 대한 보급뿐만 아니라 자체 군대에 대한 비용도 지불할 예정이었다.[2]

이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 지배 야욕에 대한 영국과 러시아 제국의 불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두 국가 모두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보 없이 오스트리아의 참전을 통해 프랑스 혁명 이전의 유럽의 질서를 회복하기를 바랐다.[3] 게다가, 영국 정부는 제1차 대프랑스 동맹 때 오스트리아 정부가 경제적으로 아직 회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4] 오스트리아가 영국에 대한 부채를 갚기 위한 차관 협약을 놓고 오스트리아 정부와 여전히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고, 그래서 오스트리아 군대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을 거부했다.[3] 영국과 러시아 제국은 이 전쟁을 통해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대립 관계를 종식시키고 프로이센도 다시 대프랑스 동맹에 참전하기를 희망했지만, 프로이센은 중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2. 1. 동맹의 형성

이 원정은 주로 영국과 러시아의 정치인과 외교관들에 의해 계획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영국이 지원할 군대를 제공하고, 오스트리아가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하도록 함께 장려하고자 했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육군 병력의 약 4분의 3을 보유하고 있었다.[1] 오스트리아는 자체 군대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뿐만 아니라 연합군 전체에 대한 보급을 책임져야 했으며, 오스트리아의 전쟁 노력을 포함한 작전에 대한 영국-러시아의 전략적 통제를 유지해야 했다.[2]

러시아와 특히 영국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 야심을 의심하여 오스트리아를 불신했다. 그들은 오스트리아가 자위 차원에서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여하고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장을 하지 않으면서 혁명 이전의 유럽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돕기를 희망했다.[3] 게다가 런던은 오스트리아가 영국에 진 빚을 변제하기 위한 차관 협정을 놓고 비엔나와 여전히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군대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거부했다.[3] 비록 오스트리아가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2–1797)에서 겨우 회복되었을 뿐이었지만,[4] 영국과 러시아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경쟁을 '의도적으로 조장하고 이용'하여 둘 다 제2차 동맹에 참여하도록 유도했다. 그러나 프로이센은 중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5]

2. 2. 전략적 목표

이 원정은 주로 영국과 러시아의 정치인과 외교관들에 의해 계획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영국이 보조금을 지원할 군대를 제공하고, 이들은 함께 오스트리아가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군 육상 병력의 약 4분의 3을 보유하고 있었다.[1] 오스트리아는 자체 군대에 대한 비용뿐만 아니라 연합군 전체에 대한 보급도 책임져야 했으며, 오스트리아의 전쟁 수행을 포함한 작전에 대한 영국-러시아의 전략적 통제는 유지되어야 했다.[2]

러시아와 특히 영국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 확장에 대한 야심을 의심하여 오스트리아를 불신했다. 그들은 오스트리아가 자위 차원에서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여하고,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장을 하지 않으면서 혁명 이전의 유럽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돕기를 희망했다.[3] 영국 정부는 오스트리아가 영국에 진 빚을 변제하기 위한 차관 협정을 놓고 오스트리아 정부와 여전히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군대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거부했다.[3] 영국과 러시아는 이 전쟁을 통해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대립 관계를 종식시키고 프로이센도 다시 대프랑스 동맹에 참전하기를 희망했지만, 프로이센은 중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4]

2. 3. 수보로프의 참전

예카테리나 2세와 친분을 유지하고 있었던 수보로프는 파벨 1세와는 황태자 시절부터 사이가 좋지 않았다. 1784년 황태자 파벨이 프로이센 육군의 제복을 입은 병사들을 육성시키자 이를 강하게 반대했던 수보로프는 예카테리나 2세에게 프로이센식 제복을 모두 없애달라고 건의했고, 예카테리나 2세는 이를 받아들였다.[1] 파벨 1세가 황위에 올랐을 때 그는 다시 구식 제복을 병사들에게 입혔다.[2] 파벨 1세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에게 러시아군을 프로이센군처럼 훈련시키라고 명령했지만, 그 훈련이 쓸모없고 가혹하다고 판단한 수보로프는 파벨 1세의 명령을 거부했다.[2] 결국 명령을 거부한 수보로프에게 분노한 파벨 1세는 수보로프의 직책을 모두 박탈하고 수보로프를 영지 콘찬스코예수보롭스코예로 귀양보냈다.

1799년 당시 러시아 제국의 황제였던 파벨 1세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프랑스 혁명군이 연이어 거두는 승리에 불안을 느꼈으며, 다른 대프랑스 동맹군 역시 러시아 제국의 참전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1] 둘째 대프랑스 동맹 전쟁 결성과 전략 분석도 참고할 수 있다.

이 원정은 주로 영국과 러시아의 정치인과 외교관들에 의해 계획되었다. 러시아는 영국이 보조금을 지급할 병력을 제공하고, 함께 오스트리아가 대부분의 전투를 수행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오스트리아는 제2차 동맹의 육군력의 약 4분의 3을 보유했었다[3]). 오스트리아는 자신의 군대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뿐만 아니라 연합군 전체에 대한 보급을 책임져야 했으며, 오스트리아의 전쟁 노력을 포함한 작전에 대한 영-러시아의 전략적 통제를 유지해야 했다.[4] 러시아와 특히 영국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 야심을 의심하여 오스트리아를 불신했다. 그들은 오스트리아가 자위 차원에서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여하고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장을 하지 않으면서 혁명 이전의 유럽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돕기를 희망했다.[5] 게다가 런던은 오스트리아가 영국에 진 빚을 변제하기 위한 차관 협정을 놓고 비엔나와 여전히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군대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거부했다.[5] 비록 합스부르크 왕가가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1792–1797)에서 겨우 회복되었을 뿐이었지만[6] 폴 W. 슈로더(1987)에 따르면, 영국과 러시아는 또한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경쟁을 '의도적으로 조장하고 이용'하여 둘 다 제2차 동맹에 참여하도록 유도했다. 베를린은 결국 중립을 유지하게 되었다.[7]

1799년경 수보로프는 70세에 가까웠지만, 당대 가장 유능하고 경험이 풍부한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그는 그의 긴 군 경력 동안 63번 이상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예카테리나 대제 치세에 원수로 임명되었지만, 파벨 1세 황제에 의해 해임되었다. 그는 오스트리아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와 싸울 연합 오스트리아-러시아 군대를 지휘하도록 특별히 요청한 후에야 소환되었다.

3. 전투 서열

1799년 3월 도나우강 근처 오스트라흐에서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의 충돌


=== 연합군 ===

러시아 제국군은 총 65,000명으로 3개의 군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1]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총 병력은 1799년 8월 기준으로 148,633명이었다.[12]

=== 프랑스군 ===

프랑스군은 다뉴브군, 나폴리군, 이탈리아군, 알프스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3][4] 1799년 3월에는 조르당 장군이 이끄는 25,000명의 다뉴브군이 있었다.[3] 샹피오네 장군이 지휘한 알프스군은 1799년 7월 27일 25,000명의 병력으로 창설되었다가, 1799년 8월 29일 이탈리아군에 통합되었다.[4]

1799년 9월 23일 기준 이탈리아군의 병력은 53,581명(수비 병력 포함 63,657명)이었다.[4]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 군단도 프랑스군에 합류했다.

이탈리아군과 나폴리군의 지휘관은 다음과 같았다.

기간지휘관비고
1799년 3월 12일 – 4월 26일셰레 장군나폴리군 전체 지휘
1799년 4월 27일 – 8월 4일모로 장군나폴리군 전체 지휘
1799년 8월 5일 – 8월 15일주베르 장군이탈리아군과 알프스군 사령관, 노비 전투에서 전사
1799년 8월 15일 – 9월 20일모로 장군
1799년 9월 21일 – 12월 30일샹피오네 장군


3. 1. 연합군

러시아 제국군은 총 65,000명으로 3개의 군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1] 각 군단은 다음과 같다.

군단지휘관출발지경유지목적지비고
제1군단알렉산드르 코르사코프브레스트오폴레, 모라비아 관문, 프라하, 레겐스부르크 서쪽 도나우강취리히영국 지원 예정이었으나, 최종 병력 26,000명(또는 24,000명)[2]
제2군단알렉산드르 수보로프브레스트크라쿠프, 크렘스 안 데어 도나우, , 브레너 고개, 브레시아밀라노알렉산드르 수보로프 합류 후 지휘, 모스크바에서 1,650km 이동[2]
제3군단안드레이 로젠베르크카미야네치포딜스키렘베르크, 카르파티아산맥, 부다페스트베로나 (토리노 방향)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총 병력은 1799년 8월 기준으로 148,633명이었다.[12]

3. 2. 프랑스군

프랑스군은 다뉴브군, 나폴리군, 이탈리아군, 알프스군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3][4] 1799년 3월에는 조르당 장군이 이끄는 25,000명의 다뉴브군이 있었다.[3] 샹피오네 장군이 지휘한 알프스군은 1799년 7월 27일 25,000명의 병력으로 창설되었다가, 1799년 8월 29일 이탈리아군에 통합되었다.[4]

1799년 9월 23일 기준 이탈리아군의 병력은 53,581명(수비 병력 포함 63,657명)이었다.[4] 이탈리아군과 나폴리군의 지휘관은 다음과 같았다.

기간지휘관비고
1799년 3월 12일 – 4월 26일셰레 장군나폴리군 전체 지휘
1799년 4월 27일 – 8월 4일모로 장군나폴리군 전체 지휘
1799년 8월 5일 – 8월 15일주베르 장군이탈리아군과 알프스군 사령관, 노비 전투에서 전사
1799년 8월 15일 – 9월 20일모로 장군
1799년 9월 21일 – 12월 30일샹피오네 장군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 군단도 프랑스군에 합류했다.

4. 이탈리아 전역 (1799년)

알렉산더 코트제부의 그림, ''노비 전투''


''1799년 이탈리아의 수보로프''


1799년 4월 19일,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연합군의 지휘권을 맡아 서쪽으로 빠르게 진격하여 아다 강으로 향했다. 그는 카사노 전투에서 장 빅토르 모로를 격파하고, 밀라노토리노를 점령하는 등 연승을 거두었다. 사르데냐의 카를 에마누엘 4세는 수보로프에게 "사보이 가문의 공작" 칭호를 수여하며 영웅으로 맞이했다.[5]

나폴리에 있던 에티엔 자크 조제프 알렉상드르 마크도날은 모로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지만, 수보로프는 트레비아 강에서 마크도날의 군대를 격파했다. 이후 수보로프는 프랑스군을 리비에라로 몰아냈고, 만토바를 점령했다.[6]

프랑스군은 모로를 해임하고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를 새로운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주베르는 노비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했다. 훗날 모로는 수보로프에 대해 "초인적인 수준으로 결연한 장군"이라고 평가했다.[6]

4. 1. 수보로프의 공세

수보로프는 1799년 4월 19일 연합군의 지휘를 맡아 서쪽으로 빠르게 진격하여 아다 강으로 향했다. 불과 18일 만에 약 482.80km 이상을 이동했다.[5] 4월 27일, 카사노 전투에서 장 빅토르 모로를 격파하고 러시아 외교관에게 "아다는 루비콘 강이며, 우리는 적의 시체를 밟고 건넜다."라고 보고했다.[5] 4월 29일, 밀라노에 입성했고, 2주 후 마렝고에서 다시 모로를 격파하고 토리노로 진격했다. 사르데냐의 카를 에마누엘 4세는 수보로프에게 "사보이 가문의 공작" 칭호를 수여하며 그를 영웅으로 맞이했다.

나폴리의 에티엔 자크 조제프 알렉상드르 마크도날 장군은 6월에 모로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 두 프랑스 군 사이에 갇힌 수보로프는 트레비아 강에서 마크도날의 군대를 격파했다(6월 19일). 이후 북쪽으로 다시 진격한 수보로프는 프랑스 이탈리아 군을 리비에라로 몰아냈고, 7월 28일에는 요새 도시 만토바를 점령했다.

모로는 해임되고,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보케타 고개를 넘어 진격한 주베르는 노비에서 수보로프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8월 15일). 훗날 노비 전투에 참전했던 모로는 수보로프에 대해 묻자, "초인적인 수준으로 결연한 장군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그는 물러서기는커녕 마지막 한 명까지 스스로 죽고 그의 군대도 죽게 했을 것이다."라고 답했다.[6]

4. 2. 프랑스군의 반격과 한계



에티엔 자크 조제프 알렉상드르 마크도날 장군은 나폴리에서 1799년 6월에 모로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 두 군대 사이에 갇힌 수보로프는 자신의 모든 병력을 마크도날에게 집중하여 트레비아 강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했다(6월 19일).[6] 이후 수보로프는 북쪽으로 다시 진격하여 프랑스 이탈리아 군이 리비에라로 후퇴하는 것을 추격했고, 7월 28일에는 요새화된 도시 만토바를 점령했다.

모로는 지휘에서 해임되었고,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가 그를 대신했다. 주베르는 보케타 고개를 넘어 진격하여 노비에서 수보로프와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고 전사했다(8월 15일).[6] 몇 년 후, 노비 전투에 참여했던 모로에게 수보로프에 대해 묻자, 그는 "초인적인 수준으로 결연한 장군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그는 물러서기는커녕 마지막 한 명까지 스스로 죽고 그의 군대도 죽게 했을 것이다."라고 대답했다.[6]

5. 스위스 전역 (1799년)

남부 독일과 북부 스위스의 전투


1798년, 파벨 1세코르사코프 장군에게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프랑스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지원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했다. 1799년 초, 이 병력은 스위스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코르사코프는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패배한 후 샤프하우젠으로 철수했다. 한편, 수보로프는 악마의 다리를 건너고 있었다. 코르사코프는 샤프하우젠과 콘스탄츠 사이의 뙤르플링겐 야영지에 자리를 잡았고, 앙드레 마세나는 수보로프를 상대하기 위해 자유롭게 움직였지만, 무오텐탈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 코르사코프 군대는 10월 7일 콘스탄츠에서 쫓겨났고, 뷔징겐에서 슐라트로 진격했지만, 결국 마세나에게 밀려 라인강 좌안을 포기했다. 그는 10월 18일 린다우에서 수보로프의 생존자들과 합류했고, 곧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5. 1. 코르사코프의 패배



1798년, 파벨 1세코르사코프 장군에게 3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원정군을 지휘하여 프랑스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오스트리아에 합류하기 위해 독일로 보냈다. 1799년 초, 이 병력은 프랑스군을 스위스에서 몰아내기 위해 전환되었다. 5월에 러시아를 출발한 코르사코프는 90일 만에 슈토카흐에 도착했다. 29,463명의 병력을 이끌고 있던 그는 1799년 5월 27일 빈터투어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한 오스트리아 장군 프리드리히 폰 호체의 25,000명 규모의 군단과 합류하기 위해 취리히로 진격했다.[7]

수보로프의 군대는 알프스를 통과하여 이탈리아에서 합류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지형과 적의 공격으로 인해 수보로프의 진격은 지연되었다. 그동안 코르사코프는 과신한 상태로 취리히 근처에서 대기했다.[7] 이를 최대한 활용한 프랑스군은 앙드레 마세나의 지휘 하에 1799년 9월 25일에 공격을 감행하여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코르사코프는 프랑스군의 추격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수보로프의 현 위치 사수 명령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게 샤프하우젠으로 철수해야 했다.

수보로프는 그날 악마의 다리를 건너고 있었다. 코르사코프는 이후 샤프하우젠과 콘스탄츠 사이의 뙤르플링겐 야영지에 라인강 동쪽에 자리를 잡고 그곳에 머물렀고, 마세나는 수보로프를 상대하기 위해 자유롭게 움직였지만, 무오텐탈 전투에서 큰 패배를 겪었다. 그의 좌익은 콩데 휘하에서 10월 7일 콘스탄츠에서 쫓겨났고, 같은 날 뷔징겐에서 슐라트로 진격했지만, 결국 마세나에게 밀려 라인강 좌안에 대한 지배권을 포기했다. 그는 10월 18일 린다우에서 수보로프의 생존자들과 합류했고, 곧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5. 2. 수보로프의 알프스 횡단

1798년, 파벨 1세코르사코프 장군에게 3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프랑스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지원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했다. 1799년 초, 이 병력은 프랑스군을 스위스에서 몰아내는 임무를 맡았다. 코르사코프는 5월에 러시아를 출발하여 90일 만에 슈토카흐에 도착했고, 29,463명의 병력을 이끌고 취리히로 진격하여 빈터투어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한 프리드리히 폰 호체의 25,000명 규모 군단과 합류했다.[7] 수보로프의 군대는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에서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지형과 적의 공격으로 진격이 늦어졌다. 그동안 코르사코프는 취리히 근처에서 대기했다.[7]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은 1799년 9월 25일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코르사코프 군대를 기습하여 승리했다. 코르사코프는 수보로프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샤프하우젠으로 후퇴했다.[7] 수보로프는 같은 날 악마의 다리를 건너고 있었다. 코르사코프는 샤프하우젠과 콘스탄츠 사이 뙤르플링겐 야영지에 자리를 잡았고, 마세나는 수보로프를 상대하기 위해 자유롭게 움직였으나, 무오텐탈 전투에서 패배했다. 코르사코프 군대는 10월 7일 콘스탄츠에서 쫓겨났고, 뷔징겐에서 슐라트로 진격했지만, 결국 마세나에게 밀려 라인강 좌안을 포기했다. 그는 10월 18일 린다우에서 수보로프의 생존자들과 합류했고, 곧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6. 원정의 결과 및 영향

''수보로프의 알프스 횡단'' 바실리 수리코프(Vasily Surikov)의 영웅화 그림 (1899).


수보로프는 "알프스를 가로지르는 빛나지만 대가가 큰 전투 행군"을 통해 군대를 구출했고, 단 한 번의 전투에서도 패하지 않았다.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러시아 원정을 극복했지만, 즉각적인 이득은 거의 없었다. 1799년 말 이탈리아군은 나폴레옹이 1796년에 점령했던 지역과 거의 같은 위치를 확보했지만, 제노바를 추가로 통제하게 되었다.[4] 군대는 황폐하고 빈곤했으며, 기근, 탄약과 말 부족, 굶주린 병사들이 생존을 위해 민간인에게서 음식을 빼앗는 탈영과 반란이 일어났다.[4]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돌아왔다는 소식은 1796–97년 이탈리아 원정에서의 승리 덕분에 잠시 병사들의 사기를 높였다.[4]

수보로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소환되어 러시아 역사상 네 번째로 육군 원수(Generalissimo)로 진급했다. 그는 이 원정의 결과로 ''산악 지형에서의 군사 행동 규칙''을 저술했다. 1800년 5월 사망하여, 나폴레옹과 전장에서 만나고자 했던 가장 큰 야망은 끝내 이루지 못했다. 드미트리 밀류틴은 이 원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1852–53년에 5권으로 출판했다. 수보로프는 군대가 지나간 스위스 알프스 지역에서 생생하게 기억되고 있다. 굶주린 군대가 시골을 약탈하고 원정이 궁극적으로 결실을 맺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프랑스 점령으로부터의 해방자로 존경받고 있다. 그가 알프스에서 식사하거나 잠을 잤던 거의 모든 장소에는 명판이 장식되어 있으며, 사용했던 의자와 침대는 전시품으로 보존되어 있다.[9] 1999년에는 생 고타르 고개에 실물 크기의 기마상이 공개되었다.

6. 1. 동맹의 와해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코르사코프의 군대가 패배하면서, 스위스에서의 상황은 러시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이 패배는 프랑스 침공과 부르봉 왕정 복고의 희망을 꺾는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또한, 영국-러시아의 네덜란드 침공의 실패와 오스트리아-러시아의 피에몬테 점령 기간 동안 오스트리아와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러시아의 차르 파벨 1세는 크게 분노했다.

결국 파벨 1세는 러시아를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서 탈퇴시키고 러시아 군대를 철수시키는 결정을 내렸다.[2] 이러한 차르의 결정은 대부분의 러시아 지도자들을 실망시켰다.[2]

1980년대 역사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 1799년 말 러시아의 철수는 제2차 동맹의 붕괴와 1802년 3월 프랑스의 최종 승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 그러나 슈로더(1987)는 오스트리아가 프랑스를 격파하기 위해 투입된 육군의 4분의 3을 제공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스트리아-영국의 승리 가능성은 러시아가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조금 나빴다"고 주장했다.[2]

러시아의 동맹 이탈은 영국이 더 이상 오스트리아의 행동을 마음대로 통제할 수 없게 만들었고, 오스트리아를 대등한 파트너로 대해야 한다는 결과를 가져왔다.[2] 파벨 1세는 오스트리아를 처벌하기 위해 1799년 말과 1800년에 러시아-프로이센 동맹을 맺으려 했으며,[2] 1801년 1월에는 영국과의 관계도 악화되어 22,000명의 돈 코사크를 이끌고 영국령 인도를 침공하려 했다.[2] 그러나 이 계획은 1801년 3월 파벨 1세가 암살되면서 실행되지 못했다.[2]

6. 2. 전략적 실패와 전술적 성공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스위스 원정은 전략적으로는 실패했지만, 전술적으로는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1799년, 7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불구하고 수보로프는 뛰어난 지휘력으로 연합군을 이끌었다. 그는 카사노 전투 (4월 27일)와 트레비아 전투 (6월 19일)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고, 마렝고와 노비 전투 (8월 15일)에서도 승리하는 등 63번 이상의 전투에서 승리한 경험이 풍부한 지휘관이었다.[5][6]

그러나 동맹국 간의 불협화음과 전략적 목표의 부재는 원정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다. 영국과 러시아는 오스트리아의 영토 확장을 의심하여 불신했고, 오스트리아는 연합군 전체에 대한 보급 책임을 져야 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러시아는 제2차 동맹에서 탈퇴했고, 러시아 군대는 철수했다.

알렉산드르 코르사코프가 지휘하는 러시아군은 제2차 취리히 전투에서 패배했고, 수보로프는 알프스를 넘어 힘겹게 퇴각해야 했다. 비록 수보로프는 "알프스를 가로지르는 빛나지만 대가가 큰 전투 행군"을 통해 그의 군대를 구출했지만,[7] 원정은 전략적으로 실패로 끝났다.

6. 3. 나폴레옹의 부상

나폴레옹브뤼메르 18일 쿠데타를 일으켜 스스로 프랑스 공화국의 제1집정관이 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프랑스 장교들은 군대, 특히 나폴레옹의 지휘를 받던 이탈리아 군대로부터 불만과 항의를 접수했다. 많은 이들이 쿠데타를 자신들이 싸워왔던 공화주의 이상에 대한 배신으로 여겼기 때문이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이 지휘권을 다시 맡았을 때, 그는 마렝고 전투 (1800년 4월–6월) 동안 북부 이탈리아를 다시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8]

7. 한국적 관점에서의 교훈

수보로프의 이탈리아와 스위스 원정은 강대국 간 복잡한 이해관계와 동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특히 오스트리아러시아는 서로를 불신했고, 이는 연합군의 실패에 큰 영향을 미쳤다.[2]

이 원정은 한국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교훈을 준다.


  • 힘의 균형과 외교의 중요성: 국제 관계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 자주 국방의 필요성: 외부 세력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힘을 갖춰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 원정은 민주주의공화주의 이념을 훼손하는 제국주의적 침략 전쟁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비판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Military and Society in Russia: 1450-1917 https://books.google[...] Brill 2002
[2]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Russian Empire, 1650-1831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 서적 A History of the Commencement,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Late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which continued from the first day of February 1793 to the first of October 1801 Turnbull 1802
[4]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Marshals of Napoleon https://books.google[...] 1939
[5] 문서 Latimer, 65
[6] 문서 Latimer, 68
[7] 문서 Marengo and Hohenlinden 1903
[8] 간행물 Napoleonic Wars § The Marengo campaign, The Danube campaign and Hohenlinden https://www.britanni[...] 2020-03-18
[9] 뉴스 Wie ein russischer General zum schweizerischen Volkshelden wurde (''How A Russian General Became A Swiss Folk Hero'') http://www.bernerzei[...]
[10] 서적 The Military and Society in Russia: 1450-1917 https://books.google[...] Brill 2002
[11]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Russian Empire, 1650-1831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Marshals of Napoleon https://books.google[...] 19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