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수후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수후부는 건주여진의 주요 성채들을 의미하며, 투룬성, 사르후성, 마르둔성, 기야무후성, 잔비라채, 안투구왈기야성, 구러성, 샤지성 등이 있다. 이 성채들은 『유변기략』, 『만주원류고』, 『태조고황제실록』, 『만주실록』 등 다양한 역사 기록에 등장하며, 누르하치의 세력 확장과 건주여진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르후성은 사르후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며, 구러성은 구러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각각 후금의 성장과 건주여진 통일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닝성의 지리 - 보하이 해협
    보하이 해협은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해저 터널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랴오닝성의 지리 - 랴오시
    랴오시는 몽골계통의 동호와 산융의 영역이었으며, 여러 왕조와 민족의 지배를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랴오닝 성의 일부가 되었다.
  • 건주여진 - 후금
    후금은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만주 지역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세운 국가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며 팔기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나, 1636년 홍타이지가 국호를 대청으로 바꾸면서 청나라로 계승되었다.
  • 건주여진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만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만주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숙수후부
명칭
만주어ᠰᡠᡴᠰᡠᡥᡠ ᠪᡞᠷᠠ ᡳ ᠠᡳᠮᠠᠨ (suksuhu bira i aiman)
한국어숙수후부
개요
설명숙수후 강 유역에 거주하던 건주여진의 한 부족이었음.

2. 주요 성채

다음은 주요 성채들이다.[5]

『유변기략』[6]만주원류고[7]『태조고황제실록』『만주실록』『manju i yargiyan kooli』
투룬성圖倫城圖倫城圖倫城turun i hoton
사르후성撒爾湖城薩爾滸城撒爾湖城sarhūi hoton
마르둔성-瑪爾墩寨馬兒墩寨mardun i hecen[8]
기야무후성嘉木湖城嘉木瑚城嘉木湖寨giyamuhū i gašan
잔비라채沾河寨沾河寨沾河寨jan ni bira i gašan
안투구왈기야성安土瓜爾佳城安土瓜爾佳城安土瓜爾佳城antu gūwalgiya i hoton
구러성古勒城古哷城古勒城gure i hoton
샤지성沙濟城沙濟城沙濟城šaji hoton


2. 1. 투룬성 (圖倫城)

투룬성(圖倫城, turun i hotonmnc)은 건주여진의 초기 근거지 중 하나였다.[5] 『만주원류고』, 『태조고황제실록』, 『만주실록』등의 사료에서 나타난다.[7] 누르하치는 투룬성을 발판 삼아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2. 2. 사르후성 (薩爾滸城)

사르후성은 1619년 사르후 전투가 벌어진 현장으로, 누르하치가 이끄는 후금군이 명나라조선 연합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둔 곳이다.[5] 이 승리는 후금의 성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요 성채는 다음과 같다.[5]

『유변기략』[6]만주원류고[7]『태조고황제실록』『만주실록』『manju i yargiyan kooli』
투룬성圖倫城圖倫城圖倫城turun i hoton
사르후성撒爾湖城薩爾滸城撒爾湖城sarhūi hoton
마르둔성-瑪爾墩寨馬兒墩寨mardun i hecen[8]
기야무후성嘉木湖城嘉木瑚城嘉木湖寨giyamuhū i gašan
잔비라채沾河寨沾河寨沾河寨jan ni bira i gašan
안투구왈기야성安土瓜爾佳城安土瓜爾佳城安土瓜爾佳城antu gūwalgiya i hoton
구러성古勒城古哷城古勒城gure i hoton
샤지성沙濟城沙濟城沙濟城šaji hoton


2. 3. 마르둔성 (瑪爾墩城)

마르둔성(瑪爾墩城)은 『만주실록(滿洲實錄)』에 등장하는 성채이다.[8] 누르하치의 초기 정복 활동과 관련된 곳으로, 건주여진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2. 4. 기야무후성 (嘉木瑚城)

기야무후성(嘉木瑚城)은 건주여진의 주요 성채 중 하나였다.[5] 『만주원류고』[7], 『태조고황제실록』, 『만주실록』, 『manju i yargiyan kooli』등의 사료에서 언급된다.[5]

2. 5. 잔비라채 (沾河寨)

잔비라채(沾河寨)는 누르하치의 건주여진 통일 과정에서 언급되는 주요 성채 중 하나이다.[5]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 『태조고황제실록(太祖高皇帝實錄)』, 『만주실록(滿洲實錄)』, 그리고 manju i yargiyan koolimnc 등의 사료에 등장한다.[5][6][7] 잔비라채는 jan ni bira i gašanmnc으로 표기된다.

2. 6. 안투구왈기야성 (安圖瓜爾佳城)

안투구왈기야성은 건주여진의 주요 성채 중 하나였다.[5] 『만주실록(滿洲實錄)』에는 안투구왈기야채(安圖瓜爾佳寨, antu gūwalgiya i hoton)로 기록되어 있다.[5]

2. 7. 구러성 (古勒城)

누르하치가 이끄는 후금군과 예허부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구러 전투는 구러성(gure i hoton)에서 벌어졌다.[5][7] 이 전투에서 누르하치는 승리하여 예허부를 멸망시키고 건주여진 통일을 완수했다.

2. 8. 샤지성 (沙濟城)

샤지성(šaji hoton)은 건주여진의 주요 성채 중 하나였다.[5][6][7]

3. 역사적 기록

3. 1. 실록

『태조고황제실록(太祖高皇帝實錄)』은 숭덕 원년(1636)에 勒德洪이 한문으로 작성한 누르하치 시대의 역사서이다. 『만주실록(滿洲實錄)』은 건륭 46년(1781)에 편찬되었으며, 한문본과 만주어본(manju i yargiyan kooli/ᠮᠠᠨᠵᡠ ᡳ ᠶᠠᡵᡤᡳᠶᠠᠨ ᡴᠣᠣᠯᡳmnc)이 있다. 이마니시 하루아키(今西春秋일본어)는 『만화몽화대역 만주실록(満和蒙和対訳 満洲実録)』을 1938년에 번역하고 1992년에 간행하였다. 중앙연구원역사언어연구소()판은 1937년에 간행되었다.

3. 2. 지지류

『유변기략(柳邊紀略)』과 『흠정만주원류고(欽定滿洲源流考)』 등은 만주 지역의 지리와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滿洲實錄
[2] 서적 新满汉大词典
[3] 서적 太祖高皇帝實錄
[4] 서적 新满汉大词典
[5] 문서 중국 위키백과 '苏克素护河部' 항목에서는 图伦城、萨尔浒城、界凡城、马尔敦城、安图瓜尔佳城、兆佳城、扎喀城、赫济格(黑济格)城、古勒城、沙济城、嘉木湖寨、沾河寨 등을 숙수후부 주요 성채로 꼽고 있지만 최소한 兆佳城은 『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에서는 후너허부(渾河部)로 보고 있다.
[6] 서적 柳邊紀略 https://zh.wikisourc[...]
[7] 서적 欽定滿洲源流考 https://zh.wikisourc[...]
[8] 서적 滿洲實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