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창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다. 서울, 전주, 광주, 남원 등지로 운행하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순창군 관내 및 임실군, 남원시 지역을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창군의 건축물 - 적성터미널 (순창)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에 위치한 적성터미널은 호남권과 영남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가 운행하며, 인근 터미널과 연계되어 전북고속, 호남고속 등의 운송 회사가 운행한다. - 순창군의 건축물 - 낙덕정
낙덕정은 조선 인종 때 김인후의 학덕을 기리고자 1900년 김노수가 김인후가 자주 찾았던 낙덕암 위에 건립한 팔모 단층 정자이다. - 순창군의 교통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1호선은 전라북도 남원시에서 시작하여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를 거쳐 경기도 이천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현재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 순창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순창시외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순창공용버스정류장 |
종류 | 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장류로 355 (순화리) |
개장 | 1980년대 |
운영 기관 | 금호고속 |
터미널 코드 | 645 |
표기 | 순창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2. 운행 노선
2. 1. 고속버스
wikitable
2. 1. 1. 서울호남 ↔ 순창
wikitable
2. 2. 시외버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순창 ↔ 전주 | 전북고속 호남고속 | 순창 | ↔ | 전주 | 오수직통, 강진직통, 무정차, 강진, 청웅, 임실 경유로 나뉜다. | 30~60분 | 첫차:06:50(순창 기준) 막차:20:35(순창 기준) |
순창 ↔ 광주 | 동광고속 전북고속 | 순창 | ↔ | 광주 | 금과, 금성, 담양, 문화동 | 10~40분 | 첫차:06:30(순창 기준) 막차:21:15(순창 기준) |
순창 ↔ 남원 | 동광고속 전북고속 | 순창 | ↔ | 남원 | 적성 | 10~40분 | 첫차:08:25(순창 기준) 막차:22:35(순창 기준) |
순창 ↔ 강천사 | 동광고속 | 순창 | ↔ | 강천사 | 무정차 | 1회 | 10:55(순창 기준) |
2. 2. 1. 전주 ↔ 순창
노선간격
호남고속
막차:20:35(순창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