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술리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리나는 흑해로 흘러드는 다뉴브강 하구에 위치한 루마니아의 도시이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작은 만이었고, 이후 제노바 식민지, 오스만 제국 시기를 거치며 다뉴브강 곡물 무역의 중요한 항구로 발전했다. 1856년 파리 조약 이후 다뉴브강 위원회가 설립되어 항만 시설이 개선되었고, 1870년에는 자유 항으로 지정되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이후 루마니아에 병합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적 요충지로 사용되었다. 2021년 기준 인구는 3,118명이며, 루마니아인, 리포반, 그리스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 주요 명소로는 유럽 다뉴브 위원회 등대, 성 알렉산드루 및 성 니콜라에 대성당 등이 있으며, 다뉴브 삼각주와 흑해를 방문하기 좋은 위치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항구 도시 - 콘스탄차
    콘스탄차는 루마니아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콘스탄차주의 주도로서, 고대 토미스에서 유래하여 오비디우스 유배지로 유명하고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개칭되었으며, 여러 지배를 거쳐 루마니아에 할양된 후 항구 도시로 발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요성이 더욱 커진 역사 유적과 관광 시설을 갖춘 관광 및 상업 중심지이다.
  • 루마니아의 항구 도시 - 지우르지우
    지우르지우는 루마니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뉴브 강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요새 도시,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루마니아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었고,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를 연결하는 다뉴브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현재 농업, 공업, 상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고 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경제 발전을 도모한다.
  • 다뉴브강 주변 도시 - 브라티슬라바
    브라티슬라바는 슬로바키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오스트리아, 헝가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의 유일한 수도이며, 도나우 강을 따라 발달하여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슬로바키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다뉴브강 주변 도시 -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흑해의 항구 도시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흑해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술리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술리나
현지어 명칭Sulina
위치루마니아 툴체아 주
면적329.56 km²
고도4 미터
행정
국가루마니아
툴체아 주
시장단 니콜첸코
소속 정당PNL
임기2020년 - 2024년
우편 번호825400
지역 번호(+40) 02 40
인구 통계
인구자동 (정보 부족)
좌표45°9′34″N 29°39′10″E
기타 정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항구 정보
좌표45°9′33.87″N 29°40′56.4″E
위치술리나

2. 역사

비잔틴 제국 중기 술리나는 작은 만이었으며, 14세기에는 소수의 선원, 해적 및 어부들이 거주하는 제노바 항구였다. 18세기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과 오스만 제국의 주요 곡창 지대인 다뉴브 공국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곳에 등대를 건설했다.

1829년 아드리아노폴 조약으로 다뉴브강의 곡물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물을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대부분 그리스인이었다.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크림 전쟁이 끝나면서 더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조약에 따라 다뉴브강 위원회(CED)가 설립되어 더 큰 선박의 항해를 위한 기반 시설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외국 선박이 다뉴브강에 진입하게 되었고, 경쟁이 심화되었지만, 강 무역은 주로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1870년 오스만 제국이 술리나를 자유항으로 선언한 것도 발전을 촉진했다.[2]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술리나는 베를린 조약에 따라 도브루자 지역과 함께 루마니아에 병합되었다. 1878년 당시 도시 인구는 800명으로, 그리스인 350명, 터키인 150명, 루마니아인 50명, 구교도 50명, 기타 200명으로 구성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술리나는 루마니아 순양함 ''엘리사베타''의 기지로 사용되어 다뉴브강 삼각주를 루마니아의 통제하에 두는 데 기여했다.[4] 1916년 11월에는 독일 제국 잠수함 ''UC-15''가 술리나 앞바다에서 기뢰 부설 임무 중 침몰했다.[5][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 잠수함 ''M-59''가 루마니아 기뢰 부설함에 의해 설치된 기뢰에 의해 술리나 앞바다에서 침몰했다.[8]

과거 술리나는 항구 도시로 번성하여 대규모 조선소가 있었고, 1856년부터 1939년까지 도나우 위원회 본부가 위치했다. 그러나 외부 도로가 없고 툴체아에서 뱃길로만 접근 가능하여 점차 불리해졌다.

2. 1. 고대와 중세

비잔틴 제국 중기, 술리나는 작은 만이었다. 14세기에는 소수의 선원, 해적, 어부들이 거주하는 제노바 항구였다. 18세기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과 오스만 제국의 주요 곡창 지대인 다뉴브 공국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곳에 등대를 건설했다.

1829년 9월 2일 아드리아노폴 조약으로 다뉴브 곡물 무역이 자유로워지면서, 당시 러시아 지배하에 있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강물의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다. 브러일라와 갈라치는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주요 수출 중심지였기 때문에, 화물 일부를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거의 항상 그리스인이었다.

2. 2. 오스만 제국 시기

비잔틴 제국 중기에는 작은 만이었으며, 14세기에 소수의 선원, 해적 및 어부들이 거주하는 제노바 식민지의 제노바 항구였다. 18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과 오스만 제국의 주요 곡창 지대인 다뉴브 공국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곳에 등대를 건설했다.

1829년 9월 2일에 아드리아노폴 조약이 체결되어 다뉴브 곡물 무역이 자유로워지면서, 당시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강물의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다. 브러일라와 갈라치는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주요 수출 중심지였기 때문에, 화물의 일부를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거의 항상 그리스인이었다.

크림 전쟁이 종식된 후 파리 조약 (1856년)이 체결되면서 더 큰 발전이 일어났다. 이 조약의 조건 중 하나는 다뉴브강 위원회(CED)를 설립하여 더 큰 선박의 항해를 위해 강 어귀에 기반 시설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 기술 공사로 인해 더 많은 수의 "외국", 즉 그리스가 아닌 선박이 다뉴브강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고, 더 높은 수준의 경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강 거래는 주로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1870년 오스만 행정부가 술리나를 자유 항으로 선언한 것도 그 발전을 촉진했다.

2. 3. 국제 무역항 시기

1829년 아드리아노폴 조약으로 다뉴브강의 곡물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물을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대부분 그리스인이었다.[2]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크림 전쟁이 끝나면서 더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조약에 따라 다뉴브강 위원회(CED)가 설립되어 더 큰 선박의 항해를 위한 기반 시설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외국 선박이 다뉴브강에 진입하게 되었고, 경쟁이 심화되었지만, 강 무역은 주로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1870년 오스만 제국이 술리나를 자유항으로 선언한 것도 발전을 촉진했다.[2]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술리나는 베를린 조약에 따라 도브루자 지역과 함께 루마니아에 병합되었다.[2] 1878년 당시 도시 인구는 800명으로, 그리스인 350명, 터키인 150명, 루마니아인 50명, 구교도 50명, 기타 200명으로 구성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술리나는 루마니아 순양함 ''엘리사베타''의 기지로 사용되어 다뉴브강 삼각주를 루마니아의 통제하에 두는 데 기여했다.[4] 1916년 11월에는 독일 제국 잠수함 ''UC-15''가 술리나 앞바다에서 기뢰 부설 임무 중 침몰했다.[5][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 잠수함 ''M-59''가 루마니아 기뢰 부설함에 의해 설치된 기뢰에 의해 술리나 앞바다에서 침몰했다.[8]

2. 4. 루마니아 편입

1829년 아드리아노폴 조약으로 다뉴브강의 곡물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당시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강물의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물의 일부를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거의 항상 그리스인이었다.[2]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크림 전쟁이 종식된 후 더 큰 발전이 일어났다. 이 조약에 따라 다뉴브강 위원회(CED)가 설립되어 더 큰 선박의 항해를 위해 강 어귀에 기반 시설 공사를 수행했다. 이 기술 공사로 인해 더 많은 "외국" 선박이 다뉴브강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고, 경쟁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강 거래는 주로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1870년 오스만 행정부가 술리나를 자유 항으로 선언한 것도 발전을 촉진했다.[2]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 이후, 술리나는 베를린 조약에 따라 도브루자 지역과 함께 루마니아에 병합되었다.[2] 1878년 추정에 따르면, 당시 이 도시의 총 인구는 800명으로, 350명의 그리스인, 150명의 터키인, 50명의 루마니아인, 50명의 구교도 및 200명의 기타 민족으로 구성되었다.[3]

2. 5. 세계 대전 시기

1877년 러시아-터키 전쟁은 술리나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처음에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베를린 조약 체결 후, 도브루자 지역 전체와 마찬가지로 루마니아에 병합되었다.[2] 1878년 추정에 따르면, 당시 이 도시의 총 인구는 800명이었으며, 그리스인 350명, 터키인 150명, 루마니아인 50명, 구교도 50명, 그리고 기타 민족 200명으로 구성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루마니아 순양함 ''엘리사베타''의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이 함선의 작전으로 전쟁 기간 내내 다뉴브강 삼각주가 루마니아의 통제하에 있었다.[4]

1916년 11월, 독일 잠수함 ''UC-15''는 술리나 앞바다에 기뢰를 부설하는 임무를 수행하러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자체 기뢰에 의해 침몰했다.[5][6] 이는 같은 해 11월 술리나 근처에서 루마니아 어뢰정 ''스메울''의 선장이 독일 잠수함을 발견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독일 잠수함은 바르나 기지로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얕은 물에서 루마니아 어뢰정을 만나 강제로 잠수해야 했던 ''UC-15''가 시스템 오작동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7]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비에트 M급 잠수함 ''M-59''는 루마니아 기뢰 부설함 ''아미랄 무르게스쿠'', ''Regele Carol I'' 및 ''다치아''에 의해 술리나 앞바다에 설치된 기뢰에 의해 침몰했다.[8]

2. 6. 현대

1829년 아드리아노폴 조약으로 다뉴브 곡물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당시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술리나는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대형 범선은 수심이 얕아 브러일라갈라치까지 만재 상태로 항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물 일부를 더 작은 강 배(슐렙)로 옮겨야 했다. 이 슐렙의 소유주와 선원은 대부분 그리스인이었다.[2]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크림 전쟁이 끝나면서 더 큰 발전이 일어났다. 다뉴브강 위원회(CED)가 설립되어 더 큰 선박의 항해를 위한 기반 시설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외국 선박이 다뉴브강에 진입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지만, 강 거래는 주로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1870년 오스만 제국이 술리나를 자유 항으로 선언한 것도 발전을 촉진했다.[2]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 이후 술리나는 베를린 조약에 따라 도브루자 지역과 함께 루마니아에 병합되었다.[2] 1878년 기준 술리나 인구는 800명으로, 그리스인 350명, 터키인 150명, 루마니아인 50명, 구교도 50명, 기타 민족 200명으로 구성되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술리나는 루마니아 순양함 ''엘리사베타''의 기지로 사용되어 다뉴브강 삼각주를 루마니아 통제하에 두는 데 기여했다.[4] 1916년 11월에는 독일 잠수함 ''UC-15''가 술리나 앞바다에서 기뢰 부설 임무 중 자체 기뢰에 의해 침몰했다.[5][6] 이는 루마니아 어뢰정 ''스메울''이 독일 잠수함을 발견한 사건과 관련 있을 수 있다.[7]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소비에트 M급 잠수함 ''M-59''가 루마니아 기뢰 부설함 ''아미랄 무르게스쿠'', ''Regele Carol I'', ''다치아''가 설치한 기뢰에 의해 술리나 앞바다에서 침몰했다.[8]

과거 술리나는 항구 도시로 번성하여 대규모 조선소가 있었고, 1856년부터 1939년까지 도나우 위원회 본부가 위치했다. 그러나 외부 도로가 없고 툴체아에서 뱃길로만 접근 가능하여 점차 불리해졌다.

도나우강이 흑해로 흘러드는 하구에 위치하여 흑해 해변과 도나우 삼각주를 모두 방문하기에 좋은 위치이다.

3. 인구

202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술리나에는 3,118명이 거주하고 있다. 201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 기준으로는 루마니아인이 82.82%, 리포반이 11.43%, 그리스인이 1.8%, 우크라이나인이 1.29%였으며, 2.3%는 기타 민족이거나 민족을 밝히지 않았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주민의 93.0%가 루마니아어를, 5.7%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94.3%는 동방 정교회 신자, 5.1%는 구교도였다.[12]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이 47.2%, 그리스인이 20.8%, 리포반이 17.7%, 세르비아인이 3.3%, 터키인이 3.0%, 유대인이 1.6%, 독일인이 1.0%였으며, 기타 민족은 5.4%였다.[12]

3. 1. 인구 변화

술리나 인구 추이[12]
연도인구
19005,612
19127,347
19306,399
19483,373
19563,622
19664,005
19774,911
19925,484
20025,140
20113,663
20213,118



202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도시에는 3,11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201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의 82.82%가 루마니아인, 11.43%가 리포반, 1.8%가 그리스인, 1.29%가 우크라이나인이었으며, 2.3%는 기타 민족이거나 민족을 밝히지 않았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93.0%가 루마니아어를, 5.7%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94.3%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고, 5.1%는 구교도였다.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이 47.2%, 그리스인이 20.8%, 리포반이 17.7%, 세르비아인이 3.3%, 터키인이 3.0%, 유대인이 1.6%, 독일인이 1.0%였으며, 기타 민족은 5.4%였다.[12]

3. 2. 민족 구성

202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술리나에는 3,11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201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의 82.82%가 루마니아인, 11.43%가 리포반, 1.8%가 그리스인, 1.29%가 우크라이나인이었으며, 2.3%는 기타 민족이거나 민족을 밝히지 않았다. 2002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서는 93.0%가 루마니아어를, 5.7%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94.3%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고, 5.1%는 구교도였다.[12]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47.2%가 루마니아인, 20.8%가 그리스인, 17.7%가 리포반, 3.3%가 세르비아인, 3.0%가 터키인, 1.6%가 유대인, 1.0%가 독일인이었고, 5.4%는 기타 민족이었다.[12]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이 82.8%, 리포반인(몰도바로 이주한 러시아계 구교도)이 11.4%, 그리스인이 1.8%, 우크라이나인이 1.3%, 기타가 2.3%였다. 93.0%가 루마니아어를, 5.7%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종교는 동방 정교회가 94.3%, 구교도가 5.1%를 차지한다.[12]

;인구 추이

연도인구
19005,612
19127,347
19306,399
19483,373
19563,622
19664,005
19774,911
19925,484
20024,601
20113,541


3. 3. 언어

2002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술리나 주민의 93.0%가 루마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5.7%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12] 1930년 인구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이 47.2%, 그리스인이 20.8%, 리포반이 17.7%, 세르비아인이 3.3%, 터키인이 3.0%, 유대인이 1.6%, 독일인이 1.0%, 기타 민족이 5.4%였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 술리나의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이 82.8%, 리포반(몰도바로 이주한 러시아계 구교도)이 11.4%, 그리스인이 1.8%, 우크라이나인이 1.3%, 기타가 2.3%였다.

3. 4. 종교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94.3%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고, 5.1%는 구교도였다.[12]

4. 기후

술리나는 냉대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k')를 띈다.

술리나 기후 (1981–2010) 평균 기온 및 강수량, 극값 1961–1990[15][16][1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2.6°C17°C18.5°C22.4°C26.3°C33.8°C33.6°C34.4°C32°C26.2°C21.1°C16.4°C34.4°C
평균 최고 기온 (°C)3.4°C3.8°C7°C12.5°C18.7°C23.4°C26°C25.8°C21.2°C15.9°C10°C5.3°C14.4°C
평균 기온 (°C)0.9°C1.2°C4.5°C10°C16.1°C20.5°C23°C22.8°C18.4°C13.4°C7.5°C2.8°C11.8°C
평균 최저 기온 (°C)-1.3°C-0.9°C2.7°C8.2°C14.1°C18.2°C20.3°C20.2°C16°C11.2°C5.3°C0.6°C9.6°C
최저 기온 기록 (°C)-16.7°C-17.8°C-15.6°C-0.7°C4.4°C9.3°C12.1°C10.5°C4.4°C-1°C-8°C-11.5°C-17.8°C
강수량 (mm)14mm13mm16.7mm13.5mm16mm26.9mm17.4mm27.6mm22.6mm19.1mm22.2mm20.1mm229.1mm
평균 강수일수 (≥ 0.1 mm)8.27.97.06.76.36.54.13.54.85.06.68.675.2
평균 일조 시간7810213719127729032630322716490702255



술리나 기후 (1991-2020 평균, 1961-2020 극값)[9][10][1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3.8°C17.9°C24.5°C23.2°C29.3°C33.8°C34.5°C34.4°C32.6°C26.2°C22.2°C16.6°C34.5°C
평균 최고 기온 (°C)3.5°C4.3°C7.7°C12.8°C19.1°C24.1°C26.7°C26.5°C21.7°C16.1°C10.5°C5.6°C14.9°C
평균 기온 (°C)0.9°C1.8°C5.1°C10.4°C16.5°C21.2°C23.6°C23.5°C18.9°C13.6°C8.2°C3.1°C12.2°C
평균 최저 기온 (°C)-1.3°C-0.3°C3.3°C8.6°C14.5°C18.8°C20.9°C20.9°C16.4°C11.5°C6°C0.9°C10°C
최저 기온 기록 (°C)-17.7°C-17.8°C-15.6°C-0.7°C4.4°C9.3°C12.1°C10.5°C4.4°C-1°C-8°C-11.5°C-17.8°C
강수량 (mm)16mm11.9mm17.4mm14mm20.3mm28.3mm18.9mm23.5mm21.5mm24.3mm22.7mm21.7mm240.5mm
평균 강수일수 (≥ 1.0 mm)3.63.34.03.84.03.72.72.33.23.53.84.742.6
평균 상대 습도 (%)84828077767372747679838478
평균 이슬점 (°C)-1.6°C-1.2°C1.7°C7°C12.3°C16.2°C18°C17.8°C14.7°C10°C5.3°C1.4°C8.3°C
평균 일조 시간75.9103.1148.3204.2278.9305.1334.7308.5229.7159.890.073.42311.6



술리나 기후 (1961-1990) 평균[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3°C3°C6°C11°C17°C22°C24°C24°C21°C15°C9°C5°C13°C
평균 최저 기온 (°C)-1°C-1°C3°C8°C14°C18°C19°C19°C16°C11°C5°C1°C9°C
강수량 (mm)25mm23mm23mm25mm33mm43mm30mm33mm30mm33mm33mm28mm363mm


5. 명소

파룰 코미시에이 유럽네 아 다누리 데 라 술리나|유럽 다뉴브 위원회 등대ro


카테드랄라 스판툴 알렉산드루 시 스판툴 니콜라에 딘 술리나|성 알렉산드루 및 성 니콜라에 대성당ro


유럽 다뉴브 위원회 묘지


성 니콜라에 교회


도나우 위원회 등대


공동 묘지

흑해로 흘러 들어가는 다뉴브강의 물은 유럽에서 가장 크고 잘 보존된 강 삼각주를 형성한다. 다뉴브 삼각주는 수많은 호수와 늪지에서 300종 이상의 조류와 45종의 민물고기가 서식한다.[13]

6. 갤러리

우주에서 본 술리나 (2022)

7. 출신 인물


  • 로물루스 바르불레스쿠 (1925–2010), SF 작가
  • 마냐 보테즈 (1896–1971), 피아니스트이자 아동 음악 교사
  • 게오르게 게오르게스쿠 (1887–1964), 지휘자
  • 바한 말레지안 (1871–1966), 작가, 번역가, 시인, 사회 운동가
  • 이오넬 페트로프 (1934년 출생), 조정 선수
  • 슈테판 타라소프 (1943년 출생), 조정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20 local elections https://prezenta.roa[...] Central Electoral Bureau 2021-06-15
[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Greater Hellenism, article "Sulina". http://blacksea.ehw.[...]
[3]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https://kupdf.net/do[...]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
[4] 간행물 Warship International Volume 21
[5] 서적 The German Submarine War 1914-1918 Periscope Publishing 2002
[6] 간행물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Volume 64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938
[7] 서적 Romanian navy torpedo boats Modelism Publishing 2003
[8] 서적 Stalin's Ocean-going Fleet: Soviet Naval Strategy and Shipbuilding Programs 1935-1953
[9] 웹사이트 Sulin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8-17
[10] 웹사이트 Sulin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7-09
[11] 웹사이트 RUMÆNIEN - BUCURESTI/IMH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23-08-29
[12] 서적 Recensământul populației din 1930 Institutul Central de Statistică
[13] 웹사이트 UNESCO http://www.unesco.or[...]
[14]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Sulina, Romania https://www.weatherb[...] Weatherbase 2012-06-09
[15]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Sulin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7-25
[16] 웹인용 CLIMAT summary for 15360: Sulina (Romania) – Section 2: Monthly Normals https://www.ogimet.c[...] Ogimet 2017-07-25
[17] 웹인용 Sulin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