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숲모기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숲모기속은 1818년 요한 빌헬름 마이겐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혐오스러운'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숲모기속은 700종이 넘는 종을 포함하는 큰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아속들이 완전한 속으로 취급되면서 분류 체계에 변화가 있었다. 숲모기속 모기는 흑백 무늬가 특징이며, 낮에 활동하며 뎅기열, 황열, 지카 바이러스 등 다양한 질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숲모기 매개 감염병 감시 및 방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전자 서열 분석 연구도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숲모기속 - 이집트숲모기
    이집트숲모기는 다리 흰색 무늬와 가슴 리라 모양 무늬가 있는 검은색 모기로,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황열병 등을 매개하는 해충이며, 방제를 위해 서식지 제거, 살충제 사용, 유전자 변형 기술 등이 활용되고 볼바키아균 이용 생물학적 방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숲모기속 - 흰줄숲모기
    흰줄숲모기는 흑백 무늬를 가진 모기로, 뎅기열 등 감염병을 매개하며, 낮에 활동하고 고인 물에서 번식하며, 다양한 방제 방법이 활용된다.
  • 요한 빌헬름 마이겐이 명명한 분류군 - 노랑초파리
    노랑초파리는 몸길이 3mm 정도의 노란색 작은 곤충으로, 과일, 수액, 효모를 먹고 붉은색 겹눈을 가지며, 유전학 및 발생 생물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 요한 빌헬름 마이겐이 명명한 분류군 - 얼룩날개모기
    얼룩날개모기는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 속으로, 약 1억 5천만 년 전에 분기되어 전 세계에 484종이 분포하며, 암컷은 질병을 매개하고 유충은 물에서 서식하며 성충은 피를 섭취한다.
  • 모기과 - 흰줄숲모기
    흰줄숲모기는 흑백 무늬를 가진 모기로, 뎅기열 등 감염병을 매개하며, 낮에 활동하고 고인 물에서 번식하며, 다양한 방제 방법이 활용된다.
  • 모기과 - 보통모기아과
    보통모기아과는 완전변태를 거쳐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4단계를 거치며, 암컷은 혈액을 섭취하여 알을 낳고 짝짓기 후 먼 거리를 이동한다.
숲모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학명 정보
속명숲모기속
학명Aedes
명명자Meigen, 1818
모식종Aedes cinereus
모식종 명명자Meigen, 1818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아강유시아강
하강신시하강
파리목
아목긴뿔파리아목
하목모기하목
상과모기상과
모기과
아과보통모기아과
숲모기족
어원
그리스어ἀηδής (aēdēs)
의미불쾌한
아속
이미지
이집트 숲모기 흡혈
이집트 숲모기
히토스지시마카 흡혈
히토스지시마카의 흡혈

2. 분류와 계통 발생

숲모기속은 1818년 요한 빌헬름 마이겐에 의해 명명되었다. 속명은 '불쾌한'[21] 또는 '혐오스러운'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ἀηδής(''aēdēs'')에서 유래되었다.

역사적으로 숲모기속은 700종이 넘는 을 포함하는 큰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Diceromyia'', ''Finlaya'', ''Stegomyia'' 등의 일부 아속들이 속으로 승격되면서 분류 체계에 변화가 있었다.[22] 분류는 2009년에 마지막으로 개정되었다.[23]


2. 1. 하위 분류

숲모기속은 700종이 넘는 을 포함하는 큰 속으로, 여러 아속으로 나뉜다. 이 아속들 중 일부는 최근에 독립된 속으로 취급되기도 한다.[22] 2009년에 분류가 개정되었다.[23]

숲모기속은 다음과 같은 주요 아속을 포함한다.

  • 숲모기아속(Stegomyia)
  • 금빛숲모기아속(Aedimorphus)
  • 등줄숲모기아속(Ochlerotatus)
  • 도고숲모기아속(Finlaya)


또한, 추가적인 아속으로 분류되지 않은 다음 28종이 숲모기속에 속한다.[10]

2. 1. 1. 주요 종


  •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 뎅기열, 황열, 지카 바이러스 등 주요 질병을 옮기는 모기이다.[12]
  •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등을 옮기며, 한국에도 서식한다.[12]
  • '''일본숲모기(Aedes japonicus)''': 한국에 서식하는 종이다.
  • '''오오무라숲모기(Aedes alboscutellatus)'''
  • '''금빛숲모기(Aedes vexans nipponii)'''
  • '''황점숲모기(Aedes flavopictus)''': 흰줄숲모기와 혼동되기도 한다.
  • '''등줄숲모기(Aedes dorsalis)'''
  • '''도고숲모기(Aedes togoi)'''
  • '''숲모기속 달리엔시스(Aedes daliensis)''' Aedes daliensis|영어
  • '''숲모기속 말로키(Aedes mallochi)''' Aedes mallochi|영어


그 외에도 ''Aedes alticola'', ''Aedes auronitens'', ''Aedes australiensis'', ''Aedes biocellatus'', ''Aedes britteni'', ''Aedes candidoscutellum'', ''Aedes crossi'', ''Aedes eatoni'', ''Aedes gracilelineatus'', ''Aedes keefei'', ''Aedes peipingensis'', ''Aedes koreicoides'', ''Aedes lauriei'', ''Aedes monocellatus'', ''Aedes oreophilus'', ''Aedes plagosus'', ''Aedes quasirubithorax'', ''Aedes roai'', ''Aedes rubiginosus'', ''Aedes sintoni'', ''Aedes stanleyi'', ''Aedes subauridorsum'', ''Aedes toxopeusi'', ''Aedes tsiliensis'', ''Aedes versicolor'', ''Aedes wasselli'' 등 20여 종이 숲모기속에 속한다.[26][10]

3. 형태 및 생태

숲모기속 모기는 몸과 다리에 뚜렷한 흑백 무늬가 있어 시각적으로 잘 구별된다. 대부분의 다른 모기들과 달리 낮에 활동하며, 저녁에는 물지 않는다. 이른 아침과 해질녘에 가장 활발하게 흡혈한다.[24][25] 대부분 어두운 검은색이다.

거의 모든 종이 낮에 흡혈한다. 대부분 종의 흡혈 자세는 배마디를 굽히고, 머리와 주둥이를 흡혈 대상의 피부에 수직으로 꽂는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일본숲모기, 흰줄숲모기 등은 모든 웅덩이에서 발생하며, 환경에 관계없이 생육할 수 있는 종이 많다.

4. 인간과의 관계

숲모기속은 여러 바이러스를 옮기는 위생 해충이며, 피를 빨 때 습진을 일으켜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

4. 1. 질병 매개

숲모기속에 속하는 종들, 특히 줄숲모기 아속에 속한 이집트 숲모기, 흰줄숲모기 등은 뎅기열, 황열, 지카바이러스[27]치쿤구니야열 등을 포함한 수많은 전염병의 매개체이며 이 바이러스들을 전염시킨다.[28] 이러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열이 동반되며 특정한 경우에는 뇌염을 일으켜 죽음에 이를 수 있다. 황열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존재하며 모기 물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들에는 DDT와 같은 살충제, 모기 트랩, 벌레 퇴치제, 모기장, 유전자 변형 곤충을 이용한 해충 방제가 있다.[29] 폴리네시아에서 숲모기속에 속한 폴리네시아숲모기(''Aedes polynesiensis'')는 인간 림프사상충증을 전염시킨다.

4. 2. 질병 감시 및 관리 (한국)

한국에서는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숲모기 매개 감염병 감시 및 방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숲모기는 산란 덫을 이용하여 감시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기후 변화 및 국제 교류 증가로 숲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정책 강화에 힘쓰고 있다.[29]

5. 유전자 서열

황열병 모기(''이집트숲모기'')의 게놈은 브로드 연구소와 J.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에 의해 해독되었다. 초기 배열 순서는 2005년에 발표되었고, 2007년에 게놈 초안 배열과 예비 분석 결과가 발표되었다.[30] 2018년에 업데이트되고 개선된 버전이 발표되었다.[32] 주석이 포함된 자료는 벡터베이스(VectorBase)에서 확인할 수 있다.[31]

참조

[1] 서적 Mosquito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 논문 "''Aedes albopictus'' in North America: Probable Introduction in Used Tires from Northern Asia" https://www.science.[...] 1987-05-29
[3] 웹사이트 "''Aedes''" http://www.wrbu.org/[...] Walter Reed Biosystematics Unit 2016-02-04
[4] 논문 Stegomyia mosquitoes in Mayotte, taxonomic study and description of Stegomyia pia n. sp
[5] 논문 History of domestication and spread of ''Aedes aegypti'' - A Review
[6]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Aedini (Diptera: Culicid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ll life stages
[7]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ribe Aedini (Diptera: Culicidae) http://www.nhm.ac.uk[...] 2009
[8] 웹사이트 Dengue and severe dengu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10-24
[9] 웹사이트 Dengue and severe dengu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5-19
[10] 웹사이트 "ITIS - Report: Aedes" https://www.itis.gov[...] 2022-10-07
[11] 웹사이트 CDC Transmission of Zika virus https://www.cdc.gov/[...] 2017-09-08
[12] 웹사이트 PAHO Statement on Zika Virus Transmission and Prevention http://www.paho.org/[...] 2016-02-02
[13] 뉴스 EPA OKs plan to release 2.4 million more genetically modified mosquitoes https://www.nbcnews.[...] NBC News 2022-03-11
[14] 논문 Genome sequence of ''Aedes aegypti'', a major arbovirus vector 2007-06
[15] 웹사이트 "''Aedes aegypti''" https://www.vectorba[...] VectorBase 2013-11-03
[16] 논문 Improved reference genome of ''Aedes aegypti'' informs arbovirus vector control 2018-11
[17] 서적 "やぶか {{!}} 言葉 {{!}} 漢字ペディア" https://www.kanjiped[...] 2021-04-14
[18] 논문 "''Aedes albopictus'' in North America: Probable Introduction in Used Tires from Northern Asia" https://www.science.[...] 1987-05-29
[19] 웹인용 " ''Aedes''" http://www.wrbu.org/[...] 2016-02-04
[20] 논문 Stegomyia mosquitoes in Mayotte, taxonomic study and description of Stegomyia pia n. sp
[21] 논문 History of domestication and spread of ''Aedes aegypti'' - A Review
[22]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Aedini (Diptera: Culicid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ll life stages
[23]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ribe Aedini (Diptera: Culicidae) http://www.nhm.ac.uk[...] 2009
[24] 웹인용 Dengue and severe dengu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10-24
[25] 웹인용 Dengue and severe dengu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5-19
[26] 웹인용 "ITIS - Report: Aedes" https://www.itis.gov[...] 2022-10-07
[27] 웹인용 CDC Transmission of Zika virus https://www.cdc.gov/[...] 2017-09-08
[28] 웹인용 PAHO Statement on Zika Virus Transmission and Prevention http://www.paho.org/[...] 2016-02-02
[29] 웹인용 EPA OKs plan to release 2.4 million more genetically modified mosquitoes https://www.nbcnews.[...] 2022-03-13
[30] 논문 Genome sequence of ''Aedes aegypti'', a major arbovirus vector 2007-06
[31] 웹인용 "''Aedes aegypti''" https://www.vectorba[...] VectorBase 2013-11-03
[32] 논문 Improved reference genome of ''Aedes aegypti'' informs arbovirus vector control 201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