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줄숲모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뚜렷한 흑백 무늬를 가진 모기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등 다양한 감염병을 매개하는 위생 해충이다. 1894년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인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흰줄숲모기는 낮에 활동하며, 유충은 고인 물에서 번식한다. 방제 방법으로는 고인 물 제거, 살충제 사용, 생물학적 방제, 모기 산란덫 등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숲모기속 - 이집트숲모기
이집트숲모기는 다리 흰색 무늬와 가슴 리라 모양 무늬가 있는 검은색 모기로,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황열병 등을 매개하는 해충이며, 방제를 위해 서식지 제거, 살충제 사용, 유전자 변형 기술 등이 활용되고 볼바키아균 이용 생물학적 방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흰줄숲모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edes albopictus |
이명 | Culex albopictus Stegomyia albopicta Stegomyia nigritia Stegomyia quasinigritia Stegomyia samarensis |
과 | 모기과 |
아과 | 나미카아과 |
속 | 야브카속 |
아속 | 시마카아속 |
종 | 히토스지시마카 (Aedes (Stegomyia) albopictus) |
명명자 | Skuse, 1894 |
영어 이름 | Asian Tiger Mosquito (아시아 호랑이 모기) |
분포 | |
![]() | |
![]() | |
생태 및 질병 매개 | |
매개 질병 | 치쿤구니야열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개심사상충 |
2. 명칭 및 분류
1894년, 영국계 오스트레일리아인 곤충학자 프레더릭 A. 아스크 스쿠스는 흰줄숲모기를 ''Culex albopictus'' (culexla는 '집모기', albopictusla는 '하얗게 칠해진'을 뜻함)라고 명명하며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했다.[108] 이후 이 종은 숲모기속( ''Aedes'', άηδήςgrc는 "불쾌한"이라는 의미)[109]으로 분류되어 ''Aedes albopictus''로 불렸다.[110]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함께 숲모기속 내의 줄숲모기( ''Stegomyia'') 아속에 속한다.[111] 2004년, 일부 학자들은 줄숲모기 아속을 속으로 승격시켜 ''Stegomyia albopicta''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으나, 학계에서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112][113][114]
흰줄숲모기는 뚜렷한 흑백 무늬를 가진 모기로, 성충의 크기는 2mm에서 10mm 정도이다.[108][115][116] 유충 시기의 환경 조건(번식하는 물 안의 개체군 밀도, 먹이 공급 등)에 따라 성충의 크기가 달라진다.[17] 예를 들어, 복부의 평균 길이는 2.63mm, 날개는 2.7mm, 주둥이는 1.88mm로 계산되었다.[17]
흰줄숲모기는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모기로, 이른 아침과 저녁에 특히 활발하게 활동한다.[101] 암컷은 산란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 흡혈을 한다. 수컷은 피를 빨지 않으며, 흡혈하는 암컷과 교미하기 위해 함께 사람에게 날아오기도 한다. 수컷과 암컷 모두 보통 꽃의 꿀이나 풀의 즙을 먹이로 한다.[101]
3. 특징
수컷은 암컷보다 약 20% 정도 작지만, 형태학적으로는 매우 유사하다. 모든 모기 종과 마찬가지로, 수컷의 촉각(더듬이)은 암컷보다 빽빽하고, 암컷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감지하는 청각 수용기를 포함하고 있다. 수컷의 턱수염은 주둥이보다 길지만, 암컷의 턱수염은 훨씬 짧다.
머리에서 흉부 등쪽 면을 따라 내려가는 촘촘한 비늘의 단일 은백색 선은 흰줄숲모기를 식별하는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이다. 흉부 측면, 작은방패, 복부에는 흰색-은색 비늘로 덮인 수많은 반점이 있다. 다리에도 흰색-은색 비늘이 있으며, 특히 뒷다리에서 흔히 발견된다. 발목마디 I~IV의 기저부에는 흰색 비늘 고리가 있어 흰색과 검은색 고리가 나타난다. 앞다리와 중간 다리에서는 처음 세 개의 발목마디만 흰색 비늘 고리가 있는 반면, 뒷다리의 발목마디 V는 완전히 흰색이다.
4. 생태
4. 1. 서식지
원래는 잡목림이나 대나무밭의 나무 구멍이나 대나무 그루터기 등에 고인 물에서 번식했지만, 현재는 숲, 묘지, 공원, 인가 등 인공적인 공간에 존재하는 물웅덩이에서도 잘 번식한다. 화분의 물받이에 고인 물과 같은 작은 웅덩이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민가 근처에서도 발견된다.[101] 반대로 산간부 등 사람이나 물기가 적은 지역이나 지리적 조건에서는 개체 수가 적거나 드물게 마주치더라도 활발하지 않다.[101]
4. 2. 먹이와 숙주 위치
다른 모기 종과 마찬가지로 암컷 흰줄숲모기는 알을 발달시키기 위해 혈분(피)이 필요하다. 수컷은 꿀과 달콤한 과일즙을 먹는다. 암컷은 숙주를 찾을 때 이산화 탄소, 유기물, 습도, 시각적 인식을 활용한다.[118]
숙주 탐색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단계는 비특이적 탐색 행동이며, 숙주의 자극물을 지각하면 표적에 접근하는 두 번째 단계가 시작된다.[118] 흰줄숲모기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와 인간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방산, 암모니아, 젖산 등의 화학 물질 조합이 효과적이다.[119]
흰줄숲모기는 주로 낮에 숲에서 흡혈하며, 이 때문에 숲 낮 모기로 알려져 있다. 지역과 생물형에 따라 활동 정점은 다르지만, 주로 아침과 저녁에 휴식을 취한다. 인간 거주지 안팎에서 숙주를 찾지만, 특히 외부에서 활동적이다. 혈분 크기는 모기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μl 정도이다. 물린 자국은 아프지 않지만 다른 모기보다 눈에 잘 띈다. 흰줄숲모기는 가능하다면 한 번 이상 인간 숙주를 무는 경향이 있다.[120][121]
흰줄숲모기는 인간 외에 다른 포유류와 조류도 흡혈한다.[120][121] 암컷은 항상 숙주를 찾으며 끈질기지만, 혈분과 숙주 위치에 대해서는 신중하다. 혈분이 충분하지 않으면 흡혈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흰줄숲모기는 알을 발달시키는 주기 동안 여러 숙주를 물게 되고, 이는 질병 전파에 효과적인 매개체가 되게 한다. 다양한 숙주 종을 무는 습성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와 같이 종 경계를 넘는 병원체의 잠재적 교량 매개체가 될 수 있게 한다.
4. 3. 천적
흰줄숲모기의 유충기 천적은 주로 기생성 또는 포식성의 장구벌레, 편형동물, 수서 딱정벌레, 균계, 섬모충류, 짚신벌레, 원생동물, 포식성 요각류, 거미 등이다.
흡혈하지 않는 왕모기속(Toxorhynchites)의 유충은 다른 모기 유충을 먹고 살며, 종종 흰줄숲모기 유충과 함께 발견된다. 광릉왕모기는 숲모기의 주요 천적으로, 대한민국에서 대량 사육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122]
장구벌레균속(''Coelomomyces'' genus)의 균계는 모기 유충의 복강 안에서 발육한다. 줄숲모기장구벌레균(''Coelomomyces stegomyiae'')은 흰줄숲모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123]
짚신벌레나 섬모충류는 흰줄숲모기 유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3]
''Ascogregarina''속(Lecudinidae)에 속하는 정단복합체충류는 모기 유충기를 감염시킨다. ''Ascogregarina taiwanensis'' 종은 흰줄숲모기에서 발견된다.[123]
말레이시아의 흰줄숲모기 성충 포식자는 다양한 거미류이다. 고무 재배 농원과 묘지에 모여 있는 거미들은 90%까지 흰줄숲모기를 먹고 산다.[128]
5. 인간과의 관계
흰줄숲모기는 뎅기열, 지카열, 웨스트 나일열, 치쿤구니야열, 황열 등 다양한 감염증을 매개한다.[3][73][6] 흡혈 시 사람의 피부에 습진을 일으켜 위생 해충으로도 알려져 있으며,[100] 개 심장사상충증의 원인인 개 심장사상충의 매개충이기도 하다.[79]
2005~2006년 프랑스 레위니옹섬에서 발생한 치쿤구니야열 유행과[74] 2007년 여름 이탈리아 라벤나주에서 발생한 치쿤구니야열 발생의 매개체였다.[75][76]
볼바키아 감염은 절지동물에서 가장 흔한 감염 중 하나로,[80] 흰줄숲모기 내에서 암컷의 번식력에 영향을 미쳐 쉽게 전파된다.[83] 세포질 부적합성을 통해 감염된 암컷에게 번식 이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질병 확산을 제어하거나 특정 유전자를 개체군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1][84]
흰줄숲모기는 세계의 침략적 외래종 100에 지정되어 있다.[100] 낡은 타이어의 빗물에 숨어 있던 장구벌레가 미국 동부에 정착했고, 이후 유럽, 중남미, 중동으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된다.
6. 분포
흰줄숲모기는 원래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1960년대 중반 이후 유럽, 아메리카 대륙, 카리브해, 아프리카, 중동으로 확산되었다.[36]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연중 활동하지만, 더 시원하고 온화한 지역에서도 적응하여 겨울 동안 휴면한다. 온대 기후 지역의 종에서 나온 알은 더 따뜻한 지역의 알보다 추위에 더 강하다.[33][34] 눈과 영하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성충은 적합한 미세 서식지에서 겨울을 날 수 있다.[35]
1979년 알바니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스페인, 크로아티아 등 유럽 각지로 확산되었다.[2][40][41][42][43][44][45]
미국에서는 1980년대에 남부에 침입하여 북쪽으로 빠르게 확산되었으며,[47] 2019년 연구에 따르면 향후 수십 년 동안 계속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57]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1986년 브라질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58] 아르헨티나, 멕시코, 도미니카 공화국 등지로 확산되었다.[59][60]
아프리카에서는 199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61] 나이지리아, 카메룬, 가봉 등지로 확산되었다.[62][63][65] 중동에서는 2003년 레바논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시리아, 이스라엘 등지에서 발견되었다.[66]
6. 1. 한국 내 분포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발견되며, 특히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래 아키타현이나 이와테현이 북쪽 한계였으나 서식지를 북쪽으로 넓혀가고 있다.[100]7. 통제와 방지
흰줄숲모기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는 뛰어난 능력,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 번식 생물학적 특성 때문에 방제하기가 매우 어렵다.
효과적인 점검과 감시는 흰줄숲모기의 전파와 정착을 막는 데 필수적이다. 항구, 수입 식물이 있는 창고, 타이어 비축품, 고속도로와 기차역의 휴게소 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129]
7. 1. 고인 물 제거
흰줄숲모기의 방제는 알을 낳는 장소를 제거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지붕 홈통을 휘거나 틀어막고, 폐타이어에 물과 쓰레기가 고이지 않도록 하며, 새 목욕통 등 사흘 이상 고인 물웅덩이를 제거한다. 하수관 및 배수 장치와 같이 고인 물이 생길 수 있는 곳도 마찬가지로 관리한다.[129] 화분 받침, 꽃병, 나무 옹이구멍 등 물이 고일 수 있는 틈은 모래나 자갈로 채워 모기가 알을 낳지 못하도록 한다. 배수되지 않는 웅덩이나 집수 구역은 정기적으로 살충제를 사용하거나 비티아이균(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 Bti)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비티아이균은 모기 유충과 특정 파리를 죽이는 데 효과적인 독소를 생산하지만, 다른 유기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세균이다.[129]7. 2. 생물학적 방제
흐르는 물은 번식 장소가 되지 않으며, 미꾸라지가 모기 유충을 먹기 때문에 미꾸라지가 있는 물은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잠자리 유충은 물 속의 모기 유충을 잡아먹고 잠자리 성충은 모기가 날면 낚아채 포식하므로, 잠자리는 모기 통제에 좋은 방법으로 여겨진다.[89] 그러나 실험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잠자리가 실제로 모기 방제에 큰 효과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90][91][92]7. 3. 모기 산란덫(Ovitrap)
흰줄숲모기의 존재와 통제 프로그램의 결과를 감시하기 위해 모기 산란덫()이 사용된다. 모기 산란덫은 물 표면에 닿아 있는 스티로폼 블록이나 나무 노가 있는 폐수 용기로, 암컷 흰줄숲모기가 물 표면에 알을 낳는 습성을 이용한다. 실험실에서 이 알들에서 부화하는 알들이나 유충을 식별하여 모기 종의 존재와 그 수를 추정할 수 있다.[130][131] 모기가 저장한 알들을 부화시키는 점착막이 있는 덫(끈끈이 덫)은 분석을 더 쉽고 빠르게 하지만 취급이 더 복잡하다.[130][131] 모기 산란덫의 결과는 가변적이고, 알을 낳을 수 있는 다른 물의 이용 가능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많은 수의 덫을 사용하고 다른 방법과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7. 4. 기타 방제 방법
모기 독살 산란덫(:en:Lethal ovitrap)은 흰줄숲모기용 번식 장소를 흉내 내지만, 인간에게 무해하고 모기가 들어가면 유독한 화학물질을 함유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 덫은 몇몇 국가에서 숲모기 개체군을 통제하는 데 성공을 거두었다.[132] 이 장치는 환풍기(ventilator)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지방산, 젖산의 상승 기류를 만들어 인간 신체의 냄새와 형태를 유사하게 만든다. 이산화탄소를 더하면 이 덫의 효율성이 증가한다.[133][134] 이는 모기 성충을 덫으로 잡고, 덫에 걸린 모기의 바이러스 존재를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전염병 유행 시 모기 연구를 위해 자원자에게서 모기를 수집해야 했는데, 이는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덫 유형은 통제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체세나의 한 연구에서는 덫이 설치된 곳에서 흰줄숲모기에 물리는 횟수가 줄어들었다.[135]참조
[1]
GBIF
2024-07-12
[2]
서적
Emerging pests and vector-borne diseases in Europe
https://www.wagening[...]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3]
논문
Chikungunya Infection in Travelers
[4]
논문
Aedes albopictus is a natural vector of Dirofilaria immitis in Italy
[5]
논문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A Potential Vector of Zika Virus in Singapore
[6]
논문
Zika Virus in Gabon (Central Africa) – 2007: A New Threat from Aedes albopictus?
[7]
논문
The banded mosquito of Bengal
[8]
웹사이트
Pollux: Archimedes Project Dictionary
http://archimedes.fa[...]
[9]
웹사이트
Aedes
http://www.merriam-w[...]
[10]
논문
Notes on the mosquitoes of Madagascar, Mauritius and Reunion
https://zenodo.org/r[...]
[11]
서적
A monograph of the Culicidae or mosquitoes. Volume 1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2]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Aedini (Diptera: Culicid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ll life stages
[13]
논문
Journal Policy on Names of Aedine Mosquito Genera and Subgenera
http://www.ajtmh.org[...]
[14]
문서
European SOVE – MOTAX group: Technical Note PDF 27 kB
[15]
논문
Neotype designation for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Diptera: Culicidae)
[16]
웹사이트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http://www.padil.gov[...]
2007-12-22
[17]
문서
The Mosquitoes of the South Pacific (Diptera, Culicida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8]
문서
What Bit Me? Identifying Hawai'i's Stinging and Biting Insects and Their Kin
University of Hawaii Press, Honolulu
[19]
뉴스
Mosquitos known to transmit dengue, chikungunya more likely to lay eggs in water sources near flowers
http://www.news-medi[...]
2023-12-03
[20]
논문
Tiger mosquito identification / Aedes albopictus. How to identify tiger mosquito based on pictures
https://web.archive.[...]
2014-07-24
[21]
웹사이트
Distinguishing Aedes albopictus, the Asian Tiger mosquito, from native British mosquitoes
https://www.gov.uk/g[...]
2019-01-10
[22]
논문
"Aedes (Stegomyia) cretinus Edwards 1921 (Diptera: Culicidae)"
https://web.archive.[...]
[23]
논문
A new Species of Aedes (Stegomyia) From Thailand (Diptera: Culicidae)
https://web.archive.[...]
[24]
문서
Biology, disease relationship and control of Aedes albopictus
http://www.dpi.inpe.[...]
[25]
문서
"Evaluating Efficacy of the BG Lure Attractant Using Three Mosquito Trap Designs in the City of Alexandria, Virginia"
http://www.mamca.org[...]
[26]
논문
The biology of ''Aedes albopictus''
[27]
논문
Infection of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and ''Ae. aegypti'' with ''Lambornella stegomyiae'' (Ciliophora: Tetrahymenidae)
[28]
논문
Distribution of 'Lambornella stegomyiae' in Malaysia and its Potential for the Control of Mosquitoe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29]
논문
Ascogregarine parasites as possible biocontrol agents of mosquitoes
[30]
논문
Cyclopoid Copepods
[31]
논문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the Predators of Adult ''Aedes albopictus'' (Skuse) (Diptera: Culicidae) in Rubber Plantations and a Cemetery in Malaysia
https://web.archive.[...]
2013-04-14
[32]
문서
Aedes (Stegomyia) albopictus: a literature review
http://www.mosquitoc[...]
[33]
논문
Overwintering survival of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eggs in Indiana
[34]
논문
"Aedes albopictus (Diptera: Culcidae) Eggs: Field Survivorship During Northern Indiana Winters"
[35]
논문
Cold acclimation and overwintering of female ''Aedes albopictus'' in Roma
[36]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ttp://www.iucngisd.[...]
2008-08-21
[37]
논문
Aedes (Stegomyia) albopictus – A Dengue Threat for Southern Australia?
http://www.health.go[...]
[38]
논문
A Scenario for Invasion and Dispersal of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in New Zealand
[39]
논문
Discovery of a Widespread Infestation of Aedes albopictus in the Torres Strait
[40]
논문
Reintroduction of the invasive mosquito species Aedes albopictus in Belgium in July 2013
[41]
논문
Two invasions at once: update on the introduction of the invasive species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in Cyprus – a call for action in Europe
[42]
논문
First record of Stegomyia albopicta (Skuse) (Diptera: Culicidae) in Germany
http://e-m-b.org/sit[...]
[43]
웹사이트
Asiatische Tigermücke erstmals nördlich der Alpen gefunden
https://www.welt.de/[...]
2023-12-03
[44]
논문
Detection of the invasive mosquito species Aedes albopictus in southern England
https://www.thelance[...]
2017
[45]
간행물
Nationales Programm zur Überwachung der Asiatischen Tigermücke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Arts of Southern Switzerland (SUPSI) + [[University of Basel
[46]
웹사이트
Nebezpečného ázijského komára tigrovaného zaznamenali na Slovensku
https://www.teraz.sk[...]
2024-02-20
[47]
논문
Rapid local adaptation to northern winters in the invasive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A moving target
[48]
논문
'Aedes albopictus in Memphis, Tennessee (USA): an achievement of modern transportation?'
[49]
논문
The discovery and distribution of Aedes albopictus in Harris County, Texas.
[50]
웹사이트
Asian Tiger Mosquito
http://ohioline.osu.[...]
Ohio State University
2007-09-10
[51]
뉴스
Disease-Carrying Asian Tiger Mosquitos Returning To San Diego
http://www.10news.co[...]
2015-09-23
[52]
웹사이트
State Public Health Officer Warns of Invasive Mosquitoes Detected in California
http://www.cdph.ca.g[...]
State of California
2015-10-14
[53]
웹사이트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Mosquitoes Detection Sites in California, 2011 – 2015'
http://www.cdph.ca.g[...]
State of California
2015-11-12
[54]
논문
Climate Change and Range Expansion of the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n Northeastern USA: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Practitioners
2013-04-02
[55]
논문
'Updated Reported Distribution of Aedes (Stegomyia) aegypti and Aedes (Stegomyia)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in the United States, 1995–2016'
[56]
간행물
Surveillance and Control of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cdc.gov/[...]
CDC
[57]
논문
Past and future spread of the arbovirus vectors Aedes aegypti and Aedes albopictus
2019-05
[58]
논문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identification in Brazil'
[59]
논문
'Update: Aedes albopictus infestation United States, Mexico'
https://www.cdc.gov/[...]
[60]
논문
Detectión de Aedes albopictus (Skuse) (Diptera: Culicidae) en la ciudad de Cali, Valle del Cauca, Colombia
[61]
논문
'Aedes albopictus in Africa? First records of live specimens in imported tires in Cape Town'
[62]
논문
First record of breeding populations of Aedes albopictus in continental Africa: Implications for arboviral transmission
[63]
논문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a potential new Dengue vector in southern Cameroon
[64]
논문
First report of the oriental mosquito Aedes albopictus on the West African island of Bioko, Equatorial Guinea
[65]
논문
'Short communication: First record of Aedes albopictus in Gabon, Central Africa'
[66]
논문
Presence of Aedes albopictus in Lebanon and Syria
http://www.mosquitoc[...]
[67]
논문
Competitive displacement and reduction
[68]
논문
Observations on possible competitive displacement between populations of Aedes aegypti Linnaeus and Aedes albopictus Skuse in Calcutta
[69]
논문
Aedes albopictus distribution, abundance, and colonisation in Lee County, Florida, and its effect on Aedes aegypti
[70]
논문
Spread of Aedes albopictus and decline of Ae. aegypti (Diptera: Culicidae) in Florida
[71]
논문
"On the Competition Occurring Between ''Aedes albopictus'' and ''Culex pipiens'' (Diptera: Culicidae) in Italy"
[72]
논문
Relative population densities of ''Aedes albopictus'' and ''A. guamensis'' on Guam
http://whqlibdoc.who[...]
[73]
논문
Mosquito, Bird and Human Surveillance of West Nile and Usutu Viruses in Emilia-Romagna Region (Italy) in 2010
[74]
간행물
Chikungunya – Indian Ocean update (32) – 14 October 2006 – Archive Number 20061014.2953
ProMED-mail
2006-10-14
[75]
간행물
Mission Report – Chikungunya in Italy PDF 1,46 MB
ECDC/WHO
2007
[76]
논문
Chikungunya in north-eastern Italy: a summing up of the outbreak
[77]
논문
A Single Mutation in Chikungunya Virus Affects Vector Specificity and Epidemic Potential
[78]
논문
Can we get AIDS from mosquito bites?
[79]
논문
Critical review of the vector status of ''Aedes albopictus''
[80]
논문
Still a Host of Hosts for Wolbachia: Analysis of Recent Data Suggests That 40% of Terrestrial Arthropod Species Are Infected
[81]
논문
Generation of a novel Wolbachia infection in Aedes albopictus (Asian tiger mosquito) via embryonic microinjection
2005-08
[82]
논문
From parasite to mutualist: rapid evolution of Wolbachia in natural populations of Drosophila
2007-04-17
[83]
논문
Fitness advantage and cytoplasmic incompatibility in Wolbachia single- and superinfected Aedes albopictus
2004-05-05
[84]
논문
Mutualistic Wolbachia Infection in Aedes albopictus: Accelerating Cytoplasmic Drive
http://www.genetics.[...]
2002-03-01
[85]
논문
Wolbachia-induced cytoplasmic incompatibility as a means for insect pest population control
2004-09-09
[86]
논문
Biology of Wolbachia
http://www.rochester[...]
1997
[87]
논문
The Cost of Arbovirus Disease Prevention in Europe: Area-Wide Integrated Control of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n Emilia-Romagna, Northern Italy
[88]
웹사이트
Bericht 2006 zur Überwachung und Bekämpfung der asiatischen Tigermücke, ''Aedes albopictus'', im Kanton Tessin.
http://www.ti.ch/DSS[...]
[89]
논문
Dragonflies as an Important Aquatic Predator Insect and Their Potential for Control of Vectors of Different Diseases
https://journals.bil[...]
2024-01-18
[90]
논문
Larvicidal Potential of Five Selected Dragonfly Nymphs in Sri Lanka over Aedes aegypti (Linnaeus) Larvae under Laboratory Settings
2018-12-03
[91]
논문
The Diet and Foraging Behavior of the Larval Dragonfly Anax Junius (Aeshnidae), with an Assessment of the Role of Refuges and Prey Activity
https://www.jstor.or[...]
1984
[92]
논문
The Role of Mosquitoes in the Diet of Adult Dragon and Damselflies (Odonata)
https://bioone.org/j[...]
2024-01-18
[93]
논문
Development of a novel sticky trap for container-breeding mosquitoes and evaluation of its sampling properties to monitor urban populations of ''Aedes albopictus''
[94]
논문
Evaluation of the sticky MosquiTRAP for detecting ''Aedes'' (''Stegomyia'') ''aegypti'' (L.) (Diptera: Culicidae) during the dry season in Belo Horizonte, Minas Gerais, Brazil
[95]
논문
The lethal ovitrap: A response to the resurgence of dengue and chikungunya
https://pubmed.ncbi.[...]
2011
[96]
논문
Field comparison of novel and gold standard traps for collecting ''Aedes albopictus'' in Northern Virginia
[97]
웹사이트
The BG-Sentinel Trap
http://www.mosquito-[...]
[98]
간행물
Continuous trapping of adult Asian tige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with BG-Sentinel traps reduced the human landing rate and density indices in an urban environment in Cesena, Italy.
Oral presentation at the 5th European Mosquito Control Association Workshop, Turin, Italy
2009-03-12
[99]
논문
Successful establishment of Wolbachia in Aedes populations to suppress dengue transmission
2011-08-25
[100]
웹사이트
デング熱媒介蚊 ヒトスジシマカ
https://www.niid.go.[...]
厚生労働省
2019-12-21
[101]
간행물
The movement and dispersal of Aedes albopictus emerging at a cemetery to surrounding vegetation areas. Medical Entomology and Zoology, 70(3): 159‒165. [墓地で発生したヒトスジシマカの隣接する緑地への移動と分散]
https://www.jstage.j[...]
2019
[102]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03]
서적
Emerging pests and vector-borne diseases in Europe
[104]
웹인용
Zika Virus in Gabon (Central Africa) – 2007: A New Threat from Aedes albopictus?
http://journals.plos[...]
2016-02-04
[105]
저널
Chikungunya Infection in Travelers
[106]
저널
Aedes albopictus is a natural vector of Dirofilaria immitis in Italy
[107]
웹인용
‘흰줄숲모기’는 ‘아디다스 모기’?
http://mn.kbs.co.kr/[...]
2020-07-23
[108]
간행물
"The banded mosquito of Bengal"
1894
[109]
웹인용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110]
서적
"Notes on the mosquitoes of Madagascar, Mauritius and Reunion"
http://journals.camb[...]
[111]
서적
A monograph of the Culicidae or mosquitoes. Volume 1.
http://e-m-b.org/sit[...]
London: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Quoted in: Snow, K. (2001).
[112]
저널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Aedini (Diptera: Culicid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ll life stages
2004
[113]
저널
Journal Policy on Names of Aedine Mosquito Genera and Subgenera
[114]
문서
European SOVE – MOTAX group: Technical Note PDF 27 kB.
2005
[115]
간행물
"Neotype designation for Aedes (Stegomyia) albopictus (Skuse) (Diptera: Culicidae)"
1968
[116]
저널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https://web.archive.[...]
2016-02-05
[117]
문서
The Mosquitoes of the South Pacific (Diptera, Culicida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2
[118]
문서
Biology, disease relationship and control of Aedes albopictus
http://www.dpi.inpe.[...]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Washington DC: Technical Paper No. 42
1995
[119]
문서
"Evaluating Efficacy of the BG Lure Attractant Using Three Mosquito Trap Designs in the City of Alexandria, Virginia"
http://www.mamca.org[...]
2008
[120]
문서
Biology, disease relationship and control of Aedes albopictus
http://www.dpi.inpe.[...]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Washington DC: Technical Paper No. 42
1995
[121]
저널
The biology of ''Aedes albopictus''
1988
[122]
웹인용
‘모기 잡는 모기’로 지카·뎅기 예방한다
http://www.me.go.kr/[...]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08-10
[123]
저널
The biology of ''Aedes albopictus''
[124]
저널
Infection of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and ''Ae. aegypti'' with ''Lambornella stegomyiae'' (Ciliophora: Tetrahymenidae)
1995
[125]
저널
Distribution of 'Lambornella stegomyiae' in Malaysia and its Potential for the Control of Mosquitoes of Public Health Importance
1996
[126]
저널
Ascogregarine parasites as possible biocontrol agents of mosquitoes
2007
[127]
저널
Cyclopoid Copepods
2007
[128]
저널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the Predators of Adult ''Aedes albopictus'' (Skuse) (Diptera: Culicidae) in Rubber Plantations and a Cemetery in Malaysia
http://www.cabdirect[...]
1995
[129]
문서
"''Bericht 2006 zur Überwachung und Bekämpfung der asiatischen Tigermücke, Aedes albopictus, im Kanton Tessin.''"
http://www.ti.ch/DSS[...]
2006
[130]
저널
Development of a novel sticky trap for container-breeding mosquitoes and evaluation of its sampling properties to monitor urban populations of ''Aedes albopictus''
2007
[131]
저널
Evaluation of the sticky MosquiTRAP for detecting ''Aedes'' (Stegomyia) ''aegypti'' (L.) (Diptera: Culicidae) during the dry season in Belo Horizonte, Minas Gerais, Brazil
2007
[132]
문서
The lethal ovitrap: a response to the resurgence of dengue and chikungunya
http://www.thefreeli[...]
2011-07-01
[133]
저널
Field comparison of novel and gold standard traps for collecting ''Aedes albopictus'' in Northern Virginia
2008
[134]
웹인용
The BG-Sentinel Trap
http://www.mosquito-[...]
2016-02-05
[135]
문서
Continuous trapping of adult Asian tiger mosquitoes (''Aedes albopictus'') with BG-Sentinel traps reduced the human landing rate and density indices in an urban environment in Cesena, Italy.
20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팬데믹은 ‘모기’를 타고··· 한국도 모기매개 감염병 안전지대 아니다
'모기 매개 감염' 치쿤구니야열 14개국서 22만 명…국내 유입 1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