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융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융창은 중화민국의 군인으로, 국민군에서 산시파로 전향하여 옌시산을 보좌했다. 그는 중일 전쟁 시기 군사위원회 위원장 바오딩 행영 주임과 군령부 부장을 역임했고, 1945년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중화민국 대표로 서명했다. 국공 내전 시기에는 타이완으로 피신하여 광푸 대륙 설계 연구 위원회 부주임 위원을 지냈으며, 1952년 퇴역 직전 1급 상장으로 진급했다. 그는 1959년 타이베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군인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중화민국의 군인 - 돤치루이
단기서는 중국 북양군벌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북양무비학당 졸업 후 독일에서 군사학을 수학했고, 위안스카이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1920년 직환전쟁 패배 후 은퇴하고 1924년 임시집정을 거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 국공 내전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국공 내전 관련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959년 사망 - 호세 라우렐
호세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변호사, 상원의원,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 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사면 후 상원의원과 경제 사절 단장을 지내다 1959년 사망했다. - 1959년 사망 - 존 포스터 덜레스
존 포스터 덜레스는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무장관을 지낸 미국의 변호사이자 외교관으로,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NATO 등 반공 동맹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강경한 외교 정책은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국제 협력에도 기여했다.
쉬융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쉬융창 |
원어 이름 | 徐永昌 |
로마자 표기 | Xu Yongchang |
출생 | 1887년 12월 15일 |
사망 | 1959년 7월 12일 |
사망 장소 | 타이베이시, 중화민국 |
출생지 | 청나라 산서성 대주(代州) 곽현(崞縣) |
![]() | |
경력 | |
직업 | 군인 |
소속 | 국민혁명군 |
복무 기간 | 1909년–1959년 |
최종 계급 | 대장 |
참전 | 북벌 중원 대전 중일 전쟁 국공 내전 |
소속 정당 | |
정당 | 중국국민당 |
기타 정보 | |
훈장 | 청천백일훈장 |
기타 경력 | 정부 고문 |
2. 사적
쉬융창은 군인이자 정치가로,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등 격동의 시기에 활동하였다. 1945년 9월 중화민국 대표로 일본 도쿄 만 미주리 호에서 열린 항복 문서 조인식에 서명했다. 1948년 헌법 제정 국민대회 대표로 당선되었고, 같은 해 말 국방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1959년 타이베이에서 73세 (만 71세)로 사망했다.
2. 1. 국민군에서 산시파로
1900년 광서제 치하에서 무위좌군에 가입했고, 1908년 무위좌군 수영학당에 입학했다. 1911년에 졸업하고, 1912년 베이징 정부 육군부 장교강습소에서 수학했다. 1913년 겨울 졸업 후, 난징 예비군관학교에서 연장으로 임명되었다. 1914년 육군대학 정칙반 제4기에서 수학했으며, 1916년 겨울 졸업하고 쑨웨가 이끄는 제15혼성여에서 승진했다.1924년 베이징 정변으로 쑨웨가 국민군 제3군 군장이 되자, 쉬융창은 제1혼성여 여단장이 되었다. 1925년 제3군 제1사단장 겸 산시 경비사령에 임명되었다. 1926년 봄, 병으로 쓰러진 쑨웨를 대신해 제3군 군장이 되었다.
1927년 봄, 객군으로서 산시성의 옌시산을 의지하여 그의 휘하에 들어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옌시산도 국민혁명군으로 전향했고, 1928년 쉬융창은 국민혁명군 제3집단군 제12로군 총지휘 겸 제3군 군장이 되었다. 같은 해 10월, 수이위안성 정부 주석으로 임명되었고, 1929년 8월 허베이성 정부 주석으로 전임되었다.
2. 2. 옌시산을 보좌하며
1930년 중원 대전에서 쉬융창은 옌시산 휘하의 제1로 전적 부총사령 겸 롱하이루(隴海路) 사령을 맡았으나, 장제스 군에게 패배했다. 옌시산이 일본으로 망명했을 때, 쉬융창은 양아이위안과 함께 진쑤이군(山西軍, 산서군) 재편을 위임받았다. 이에 따라 쉬융창은 제5군 군장 겸 진쑤이 경비 총사령이 되었다. 1931년 6월, 쉬융창의 제5군은 제33군으로 개편되었고, 그는 계속해서 군장을 맡았다.같은 해 8월, 쉬융창은 대리 산시성(山西省) 정부 주석에 임명되었고, 10월에 정식으로 취임했다. 1932년 1월에는 베이핑(北平) 정무위원회 상무위원, 산시성 칭샹(清郷) 독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 옌시산이 복귀하면서, 여전히 산시성의 최고 실력자 자리를 유지했다.
2. 3.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 쉬융창은 군사위원회 위원장 바오딩 행영 주임에 임명되어 제1전구의 군사를 담당했다. 1938년에는 국민 정부 군령부 부장으로 전임되어 전선 지휘에서 물러났다. 1945년 9월, 쉬융창은 중화민국 대표로 일본 도쿄 만의 미주리 호에서 열린 항복 문서 조인식에 서명했다.2. 4. 국공 내전과 만년
1948년 헌법 제정 국민대회 대표로 당선되었고, 같은 해 말에 국방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1949년 3월, 인민 해방군에 의해 옌시산이 갇힌 타이위안의 함락이 눈앞에 다가왔다. 쉬융창과 양아이위안은 중화민국 총통 대리 리쭝런에게 옌시산을 난징으로 소환하도록 요청했다. 이로 인해 옌시산은 타이위안 탈출의 구실을 얻게 되었고, 전용 비행기로 난징으로 갈 수 있었다. 4월, 쉬융창은 옌시산을 따라 타이완으로 피신했다. 타이완에서는 광푸 대륙 설계 연구 위원회 부주임 위원에 임명되었다. 1952년 10월 퇴역 직전에 1급 상장이 되었다.1959년 7월 12일, 타이베이에서 사망했다. 향년 73세 (만 71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