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서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서제(1871년 ~ 1908년)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동치제의 뒤를 이어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서태후의 섭정 아래 3세에 즉위하여 실권을 장악하지 못했으며, 청나라의 쇠퇴 속에서 양무운동을 추진하고, 캉유웨이 등 개혁파를 등용하여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서태후의 쿠데타로 좌절되었다. 이후 유폐된 채로 지내다 3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후 비소 중독으로 독살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는 개혁 군주로 평가받기도 하며, 융유황후, 온정황귀비, 각순황귀비를 배우자로 두었으나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중국의 군주 - 푸이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다가 신해혁명으로 퇴위, 만주국 황제를 거쳐 소련군 포로가 되었고,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수감 생활 후 석방되어 평범한 시민으로 생을 마감한 푸이의 삶은 격동의 시대를 반영한다.
  • 20세기 중국의 군주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는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에 걸쳐 군인,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청나라 멸망을 주도하고 중화민국 초대 대총통이 되었으나, 황제 즉위 시도 실패 후 사망하여 독재적 통치와 군벌 시대 개막이라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 19세기 중국의 군주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19세기 중국의 군주 - 도광제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로,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심화시키며 청나라의 쇠퇴를 초래했다.
  • 서태후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서태후 -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는 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의 양어머니로서 융유황태후의 자리에 있었으며, 서태후의 조카딸로 권력 강화를 꾀한 서태후에 의해 황후로 간택되었으나 광서제의 총애를 받지 못했고, 신해혁명 이후 청실 퇴위 조서를 반포하며 청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기도 했지만, 멸망 후에는 청나라의 평화적 정권 이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칭송받았다.
광서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서제
광서제
이름아이신-기오로 자이톈 (愛新覺羅·載湉)
만주어 이름Dzai tiyan (ᡯᠠᡳ ᡨᡳᠶᠠᠨ)
묘호덕종(德宗)
시호경황제(景皇帝), 동천숭운대중지정경문위무인효예지단검관근경황제 (同天崇運大中至正經文緯武仁孝睿智端儉寬勤景皇帝)
만주어 시호Ambalinggū hūwangdi (ᠠᠮᠪᠠᠯᡳᠩᡤᡡ ᡥᡡᠸᠠᠩᡩᡳ)
만주어 묘호Dedzung (ᡩᡝᡯᡠᠩ)
출생일1871년 8월 14일 (음력 동치 10년 6월 28일)
출생지베이징 순친왕 저택
사망일1908년 11월 14일 (음력 광서 34년 10월 21일)
사망지베이징 중난하이 영대 한원전
매장지청서릉 숭릉
아버지순친왕 이훤
어머니예허나라 완젠
배우자효정경황후 (융유황태후)
재위
재위 기간1875년 2월 25일 – 1908년 11월 14일
즉위일광서 원년 음력 1월 20일 (1875년 2월 25일)
연호광서(光緒), 만주어: Badarangga doro (ᠪᠠᡩᠠᡵᠠᠩᡤᠠ ᡩᠣᡵᠣ), 몽골어: Бадаргуулт төр (ᠪᠠᠳᠠᠷᠠᠭᠤᠯᠲᠤ ᠲᠥᠷᠥ)
섭정자안태후 (1875–1881), 서태후 (1875–1889; 1898–1908), 혁광
왕조 및 가문
왕조청나라
가문아이신-기오로 씨
기타
승계청나라 황제
전임자동치제
후임자선통제 (푸이)

2. 생애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현친왕 혁현의 아들로 태어난 광서제는, 서태후의 여동생이 그의 어머니였다.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초기에는 동태후의 섭정을 받았고, 이후에는 서태후의 섭정을 받았다. 서태후의 섭정 기간 동안 양무 운동이 추진되어 중국의 부분적인 근대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여 타이완을 일본에 할양하고,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다.

이에 광서제는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과 함께 무술변법을 추진하여 근대화를 꾀했으나, 서태후 등 보수파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무술정변으로 유폐된 광서제는 이후 서태후에게 실권을 빼앗긴 채 허수아비 황제로 지냈다.

의화단 운동 당시 서태후와 함께 시안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 1908년 서태후보다 하루 먼저 사망하였는데, 독살설이 제기되었다. 2008년 조사 결과 실제로 비소 중독으로 사망한 것이 사실로 밝혀졌다.[28]

2. 1. 즉위 과정과 초기 생애

서태후의 지원으로 1875년 1월 12일에 즉위한 광서제는 1881년 4월 8일까지 적모(嫡母)인 동태후의 섭정을 받았고, 1881년 4월 8일부터 1889년 2월 25일까지는 이모이자 서백모인 서태후의 섭정을 받았다.[5] 4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광서제는 "광서(光緒, 빛나는 계승)"라는 연호를 사용했다.[5]

1876년 3월부터 광서제는 옹동화(翁同龢)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옹동하는 서예, 사서오경을 포함한 고전, 중국어, 몽골어, 만주어를 가르쳤다. 1881년부터 광서제는 이전 황제들의 조서를 포함한 역사서를 읽기 시작했다. 옹동하는 광서제에게 통치자의 주요 의무가 "국가 질서를 유지하고" "만방의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라는 유교 경전 대학(大學)의 가르침을 심어주었다.

광서제는 어려서부터 자기 규율을 중요시했다. 1876년에는 옹동하에게 부의 축적보다 검소함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1878년에는 눈길을 걸어가면서 시종들에게 눈을 치우지 말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옹동하는 황제가 때때로 심한 기분 변화를 보였고 수업에 참여하기를 원치 않았다고 기록했다.

1881년, 광서제가 아홉 살이었을 때 동태후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서태후가 유일한 섭정이 되었다. 이 시기 옹동하의 일기에는 광서제가 눈이 붓고 집중력이 떨어졌으며 옹동하에게 위로를 구했다는 기록이 있다.

광서제의 독서 모습

2. 2. 친정과 권력 장악

1887년 광서제는 친정을 시작했지만, 서태후의 훈정으로 인해 실권은 여전히 서태후에게 있었다.[19] 1889년 광서제는 서태후의 조카인 경분(靜芬)과 결혼했다. 그녀는 용유황후로 알려지게 되었다. 서태후는 또한 금(瑾)과 진(珍)이 되는 두 자매를 황제의 후궁으로 선택했다.[19]

광서제가 정식으로 통치를 시작한 후에도, 청나라 조정의 권력 구조는 여전히 서태후에게 의존하고 있었다. 1891년부터 서태후가 1년 중 몇 달씩 이화원에서 보내기 시작한 후, 황제는 정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려고 노력했지만, 능숙하게 조정 정치를 관리하지는 못했다. 그가 내린 결정과 행정 과정은 여전히 서태후의 감독을 받았다. 옹동화는 황제가 일상적인 국정을 처리하는 동안, 더 어려운 문제의 경우 황제와 대신들이 서태후의 조언을 구했다고 전했다. 서태후는 또한 대신과 육부의 임명을 결정했다.[19]

1890년 12월, 황제는 베이징에 있는 외국 공사들과 즉각적인 접견을 갖고 이를 매년 반복하고자 한다는 칙령을 발표했다. 1891년 3월 5일, 광서제는 현재 중난하이의 일부인 자금정(Pavilion of Purple Light)에서 중국 주재 외국 공사들을 접견했다. 그해 여름, 베이징 공사관 구역의 압력과 양자강 유역에서 기독교 선교사들을 겨냥한 반란에 대한 대응으로, 황제는 기독교인들을 국가의 보호 아래 두라는 칙령을 발표했다.[19]

2. 3. 외교적 위기

청불전쟁에서 패배하여 베트남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였다.[6] 1885년 전쟁이 끝날 무렵 프랑스는 복주에서 중국 함대를 격파하고, 중국 남부 해안을 자유롭게 순찰했으며, 타이완 일부를 점령했고, 베트남의 중국 조공국 지위를 종식시켰다.[6] 이는 1886년 영국이 버마의 조공국 지위를 종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중국은 군사적으로 반대하지 않았고, 일본이 한국에서도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부추겼다.[6]

1894년 여름, 조선(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둘러싸고 청일 전쟁이 발발하였다.[6] 광서제는 일본과의 전쟁을 열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이 쉽게 승리할 것이라고 믿었던 친전파 세력과 연관되었다.[6] 1894년 9월 이틀 만에 평양 전투와 압록강 전투에서 큰 패배를 당하여 청나라 최정예 군사력인 淮군과 북양 함대가 대부분 파괴되었다.[6] 1895년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종주권이 상실되어, 일본의 조선 침략을 가속화 시켰다.

1897년 말, 독일 제국이 산동성(山東省)에서 두 명의 사제 살해 사건을 구실로 교주만(및 칭다오)을 점령하면서 청나라는 더욱 큰 수치를 당했고, 다른 열강들의 '조차권 쟁탈'을 불러일으켜 국가적 위기에 직면하였다.[6] 독일의 예는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일본의 요구로 이어졌다.[6]

2. 4. 무술변법과 좌절

청일 전쟁이 청나라의 패배로 끝나고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면서, 광서제는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 신진 엘리트들을 등용하여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한 무술변법을 추진하였다. 캉유웨이 등은 러시아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영국, 일본과의 협력을 제안하며 개혁을 이끌었다.[9]

1898년 6월부터 9월까지 광서제는 광범위한 정치, 법률, 사회적 변화를 목표로 하는 백일개혁을 실시했다. 이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처럼 중국을 근대 입헌 군주제 국가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10][11] 광서제는 경사대학당 설립과 교육 제도 개혁에 우선적으로 힘썼다. 또한, 경한철도 건설, 서구식 예산 제도 도입, 신군 창설, 해군 사관학교 설립 등 다양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10][11]

그러나 광서제는 개혁 과정에서 일관성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대학사 옹동화를 갑작스럽게 해임한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성급하게 많은 변화를 시도하면서 관료 체제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0]

이러한 개혁은 성리학과 전통 문화를 중시하던 보수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실권을 쥐고 있던 서태후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해임된 관리들은 서태후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서태후는 광서제가 이토 히로부미에게 조언을 구했다는 혐의를 제기하며 개혁파를 압박했다.[10]

결국 서태후는 무술정변을 일으켜 광서제를 유폐하고 개혁파를 탄압했다. 이로써 무술변법은 실패로 돌아갔고, 광서제는 실권을 잃은 채 유폐 생활을 하게 되었다.[20]

2. 5. 유폐 이후의 삶과 죽음

1898년 무술정변 이후 광서제는 유폐되어 허수아비 황제로 지냈다.[28] 서태후1898년 3월 18일 궁중 정변을 일으켜 광서제의 실권을 박탈했고, 광서제는 1908년 11월 14일 사망할 때까지 유폐되었다.[28]

1898년 이후 광서제는 칭호는 유지했지만 사실상 권력에서 물러났고, 어느 정도의 지위만 유지했다. 국정에 대한 정보를 계속 접하며 알현 전에 서태후와 함께 보고서를 검토했고,[12] 알현에도 참석하여 서태후의 왼쪽에 있는 의자에 앉았다. 제례 의식 중 희생 제물을 바치는 등의 의례적인 의무는 수행했지만, 다시는 혼자 통치하지 않았다.

1899년 의화단과 열강 8국 연합군이 1900년 베이징에서 격돌하는 사이에 광서제는 서태후와 함께 시안으로 피난했고, 그가 총애하던 후궁 진비는 서태후의 명령으로 살해당했다.[28] 베이징 의정서가 성립되어 베이징으로 돌아왔으나 그는 여전히 실권이 없었다.[28] 그는 독서를 즐겼고 이상주의적 성격이 강해 보수적인 서태후와 대립했다.[28]

1908년 11월 14일에 사망했고, 당시 이질을 앓고 있던 서태후는 푸이를 황제로 지명한 뒤 다음날인 11월 15일에 사망했다.[28] 공식 사망 원인은 오랜 지병에 의한 사망으로 알려졌으나, 독살설이 제기되었다.[28] 레지널드 존스톤은 1930년대에 발표한 책 자금성의 황혼에서 광서제의 독살설을 언급하며 사실이라 했다.[28] 위안스카이가 그를 독살했다는 의혹이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으며, 2008년 광서제의 유해를 X선 조사한 결과 머리카락과 위장에서 독극물인 비소가 다량으로 검출되어 광서제가 독살당한 것이 사실로 밝혀졌다.[28]

3. 가족 관계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비고
황후효정경황후예허나라 씨1888년 ~ 1908년1868년 ~ 1913년삼등승은공 여허나라 구이샹
일품부인 아이신기오로 씨
융유황태후
황귀비온정황귀비타타라 씨1873년 ~ 1924년
황귀비각순황귀비타타라 씨1876년 ~ 1900년진비
양자
양자아이신기오로 푸이1906년 ~ 1967년순친왕 아이신기오로 자이펑
대복진 과이과 유란
선통제



광서제는 슬하에 자식이 없었으며, 서태후의 강요로 사촌 정분과 결혼했으나 사이가 좋지 않았다. 광서제는 진비를 총애했으나, 진비는 1900년 서태후의 명령으로 우물에 빠져 죽었다.[14]

4. 사망과 관련된 의혹

광서제의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오랜 지병으로 알려졌으나, 독살설이 꾸준히 제기되었다.[28] 선통제의 가정교사였던 레지널드 존스톤은 저서 자금성의 황혼에서 광서제의 독살설을 언급하며, 독살범으로 서태후보다는 위안스카이 등 다른 인물을 지목했다.[28]

2008년 광서제의 유해를 X선으로 조사한 결과, 머리카락과 위장에서 다량의 비소가 검출되어 독살이 사실로 밝혀졌다.[28]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보다 2,000배나 높은 비소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한 번에 고농도의 독이 투여되었음을 의미한다.[15]

독살 배후로는 여러 인물이 거론되고 있다.


  • 서태후 범인설: 서태후가 자신의 죽음이 임박하자 광서제가 자신의 정책을 뒤집을 것을 우려하여 독살했다는 설이다. 차이나데일리(China Daily)는 역사가 대의(戴逸)를 인용하여 이러한 주장을 보도했다.[13]
  • 원세개 범인설: 위안스카이가 광서제가 복권될 경우 자신을 반역죄로 처형할 것을 우려하여 독살했다는 설이다.[14]
  • 이연영 범인설: 서태후의 총신이었던 환관 이련영이 광서제에게 보복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독살했다는 설이다.


하지만, 광서제를 누가 독살했는지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5. 평가

쑨원은 광서제가 서양 문화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도록 허용한 교육 개혁안을 칭찬했다.[19]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역사가 판원란(范文瀾)은 광서제를 "서구 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만주 귀족"이라고 불렀다. 일부 역사가들은 광서제가 근대화 개혁과 자본주의를 최초로 시행한 중국 지도자였다고 평가한다.

6. 기타

서태후의 강요로 소정경황후와 원치 않는 결혼을 해야 했다.[28] 광서제는 황후보다 격순황귀비를 총애했지만,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8개국 연합군의 침공으로 자금성을 떠날 때 서태후의 명령으로 우물에 빠져 죽임을 당했다.[28] 동치제처럼 광서제도 자식 없이 사망했다.[28]

7. 등장 작품

광서제가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영화
  • * 真説 西太后|서태후 실록중국어 (중국, 1987년) 배역: 리둥(李棟)
  • * 李蓮英 清朝最後の宦官|이련영: 청나라 마지막 환관중국어 (중국·홍콩, 1990년) 배역: 톈샤오쥔(田少軍)
  • 드라마
  • * 西太后の紫禁城|서태후의 자금성중국어 (중국, 1998년) 배역: 치우신지(邱心志)
  • * 蒼穹の昴|창궁의 앙중국어 (일본·중국, 2010년) 배역: 장보(張博)
  • * 月に咲く花の如く|달처럼 피어나는 꽃처럼중국어 (중국, 2017년) 배역: 저우루이(周瑞)

7. 1. 영화


  • 真説 西太后 (중국, 1987년) 배역: 리둥(李棟)
  • 李蓮英 清朝最後の宦官 (중국·홍콩, 1990년) 배역: 톈샤오쥔(田少軍)

7. 2. 드라마


  • 《서태후 실록(真説 西太后)》(중국, 1987년) 배역: 리둥(李棟)
  • 《이련영: 청나라 마지막 환관(李蓮英 清朝最後の宦官)》(중국·홍콩, 1990년) 배역: 톈샤오쥔(田少軍)
  • 《서태후의 자금성(西太后の紫禁城)》(중국, 1998년) 배역: 치우신지(邱心志)
  • 《창궁의 앙(蒼穹の昴)》(일본·중국, 2010년) 배역: 장보(張博)
  • 《달처럼 피어나는 꽃처럼(月に咲く花の如く)》(중국, 2017년) 배역: 저우루이(周瑞)

참조

[1] 뉴스 Arsenic killed Chinese emperor, reports say https://www.cnn.com/[...] 2019-11-11
[2] 웹사이트 Qing Emperor Guangxu https://www.travelch[...] 2019-11-11
[3] 웹사이트 Guangxu {{!}} emperor of Qing dynasty https://www.britanni[...] 2019-11-11
[4] 웹사이트 Hundred Days of Reform {{!}} Chinese History & Impact on Modern Chin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01
[5] ECCP Tsai-t'ien
[6] 논문 Political Reformism in China Before the Sino-Japanese War
[7] 웹사이트 Guangxu Emperor 光緒帝 China 19th Century illustration https://historum.com[...] 2020-09-11
[8] 서적 Materials on Manchuria, Mongolia, China and Japan Publishing house of the headquarters of the Zaamur district of the border service
[9] 서적 Forty-five Years in China: Reminiscences https://archive.org/[...] Frederick A. Stokes
[10] 간행물 Correspondence Respecting the Affairs of China, Presented to Both Houses of Parliament by Command of Her Majesty
[11] 서적 Liwan kuanglan: Wuxu zhengbian xintan 力挽狂瀾:戊戌政變新探 Wanjuan lou 萬卷樓
[12] 서적 Two Years in the Forbidden City http://etext.lib.vir[...] Moffat Yard & Company 2013-06-25
[13] 뉴스 Arsenic killed Chinese emperor, reports say http://articles.cnn.[...] CNN 2008-11-04
[14] 웹사이트 Reformist Emperor Guangxu was Poisoned, Study Confirms http://www.danwei.or[...] 2008-11-03
[15] 웹사이트 Arsenic killed Chinese emperor, reports say https://edition.cnn.[...] CNN 2008-11-04
[16] 간행물 Almanach Royale Belgique https://babel.hathit[...]
[17]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18] 논문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존재)
[20] 서적 (페이지 정보만 존재)
[21] 서적 完訳 紫禁城の黄昏 上 https://www.sun.s-bo[...] 祥伝社
[22] 서적 (페이지 정보만 존재)
[2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존재)
[24] 뉴스 最新科学で100年の謎を解明!清朝11代皇帝光緒帝の死因はヒ素による毒殺か?―香港誌 https://www.recordch[...] 2007-12-05
[25] 뉴스 犯人は西太后か?光緒帝の突然死、ヒ素中毒と確定―中国 https://www.recordch[...] 2008-11-04
[26] 뉴스 清朝末期の光緒帝、死因はヒ素中毒…中国各紙伝える http://www.yomiuri.c[...] 2008-11-03
[27] 서적 我的前半生 群衆出版社
[28] 뉴스 청나라 말 비운의 황제 광서제 독살 사실 100년 만에 밝혔다 https://news.naver.c[...]
[29] 인물 융우황태후(隆裕皇太后)
[30] 인물 근빈(瑾嬪) → 근비(瑾妃) → 황고근귀비(皇考瑾貴妃) → 황고단강황귀태비(皇考端康皇貴太妃)
[31] 인물 중화민국 시기에 황귀비로 책봉받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