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타이너 분견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타이너 분견군은 1945년 4월 베를린 공방전 당시, 아돌프 히틀러가 펠릭스 슈타이너의 지휘 하에 임시로 편성한 부대를 지칭한다. 소련군의 공세에 맞서기 위해 제9군과 제3 SS 기갑군단 예하 부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나, 슈타이너가 병력 부족을 이유로 공격 명령을 이행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히틀러는 격노했고, 슈타이너 분견군은 실질적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의 야전군 - 제11SS기갑군
    1945년 2월 5일에 상 라인 집단군 사령부를 개칭하여 창설된 제11SS기갑군은 펠릭스 슈타이너 SS대장의 지휘 아래 비스툴라 집단군에 배속되었다가 제11군으로 재개칭되어 서부 최고 사령부(OB West)에 배속되어 종전을 맞이했다.
  • 베를린 공방전 - 한스 크렙스 (1898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한스 크렙스는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베를린 전투에서 퓌러 벙커를 지휘하다 히틀러 자살 후 소련과의 강화 교섭 실패 후 자살했다.
  • 베를린 공방전 - 베를린 전투
    베를린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이 독일의 수도 베를린을 점령하기 위해 감행한 공세 작전으로, 격렬한 시가전 끝에 베를린 함락과 독일의 항복을 이끌어내며 유럽 전선 종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1945년 설립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1945년 설립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이후 전력을 구축하고 율곡 계획과 군 현대화 정책을 통해 현대화되었으며,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대양해군 건설을 목표로 함정 및 항공기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해군본부, 해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등을 운영하고 약 7만 명의 병력과 170여 척의 함정, 60여 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는 대한민국의 해상 및 상륙 작전을 담당하는 군대이다.
슈타이너 분견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명칭슈타이너 분견군
활동 기간1945년 4월 21일 ~ 1945년 5월 8일
소속국방군 육군
규모군단 이상 야전군 이하
참전제2차 세계 대전
베를린 공방전
지휘관
지휘관펠릭스 슈타이너
기타 정보
다른 명칭

2. 역사적 배경

1945년 4월 16일, 베를린 공방전이 시작되면서 독일군은 붕괴 직전에 놓였다.[3] 비슬라 집단군 사령관 고트하르트 하인리치는 슈타이너의 제3 (게르만) SS 기갑군단에서 가장 강력한 두 개 사단(제11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 제23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네덜란드")을 테오도어 부세가 지휘하는 제9군에 배속시켰다.[3] 제9군은 젤로 고지 전투와 할베 전투 등에서 소련군에게 큰 피해를 입었다.[3]

하인리치는 제3 SS 기갑군단에 3개 대대와 몇 대의 전차만 남기고, 피노 운하를 따라 방어선을 구축하여 제3 기갑군의 남쪽 측면을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라고 명령했다.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은 젤로 고지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베를린을 포위하고 있었다.[4][5]

4월 21일, 아돌프 히틀러는 슈타이너의 지휘 하에 들어온 잡다한 부대들을 "슈타이너 군단"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는 슈타이너에게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파로 생긴 거대한 돌출부의 북쪽 측면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동시에 돌출부 남쪽으로 밀려난 제9군은 북쪽으로 핀치 공격을 가해야 했다. 이 공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슈타이너는 제9군의 제CI 군단의 세 개 사단(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5 예거 사단, 제25 기갑척탄병 사단)과 베를린 동쪽에 있는 헬무트 바이들링의 제56 기갑군단을 배정받았다.[6][4][5]

북쪽에 있는 세 개 사단은 에베르스발데 (피노 운하에 위치, 베를린 동쪽 24km 지점)에서 제56 기갑군단을 향해 남쪽으로 공격하여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출부를 둘로 나누어야 했다. 슈타이너는 하인리치에게 전화하여 5 예거 사단과 25 기갑척탄병 사단이 방어적으로 배치되어 있었고 제2 해병 사단이 해안에서 도착하여 그들을 교대하기 전에는 재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고 알렸다. 이로 인해 4 SS 사단의 2개 대대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그들은 중화기 없이 권총과 기관단총만 가지고 있었다. 하인리치는 한스 크레브스 독일 육군 참모 본부 (OKH)의 참모장에게 전화하여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고 말하고 히틀러와 통화하고 싶다고 요청했지만, 히틀러가 너무 바빠서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4][5]

4월 22일 오후 회의에서 슈타이너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히틀러는, 그의 비서의 증언에 따르면, "오랫동안 침묵"했고, 여성들(에바 브라운포함)이 즉시 베를린을 떠나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그들은 거절했다). 그는 전쟁이 패배했다고 선언하고, 장군들을 비난했으며, 끝까지 베를린에 머물다가 자살하겠다고 발표했다.[7][8] 4월 22일 이후 "슈타이너 군단"은 ''총통 벙커''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9]

2. 1. 베를린 공방전

1945년 4월 16일, 베를린 공방전이 시작되면서 독일군은 붕괴 직전에 놓였다.[3] 비슬라 집단군 사령관 고트하르트 하인리치는 슈타이너의 제3 (게르만) SS 기갑군단에서 가장 강력한 두 개 사단(제11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 제23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네덜란드")을 테오도어 부세가 지휘하는 제9군에 배속시켰다.[3] 제9군은 젤로 고지 전투와 할베 전투 등에서 소련군에게 큰 피해를 입었다.[3]

하인리치는 제3 SS 기갑군단에 3개 대대와 몇 대의 전차만 남기고, 피노 운하를 따라 방어선을 구축하여 제3 기갑군의 남쪽 측면을 소련 원수 게오르기 주코프의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라고 명령했다.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은 젤로 고지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베를린을 포위하고 있었다.[4][5]

4월 21일, 아돌프 히틀러는 슈타이너의 지휘 하에 들어온 잡다한 부대들을 "슈타이너 군단"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는 슈타이너에게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파로 생긴 거대한 돌출부의 북쪽 측면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동시에 돌출부 남쪽으로 밀려난 제9군은 북쪽으로 핀치 공격을 가해야 했다. 이 공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슈타이너는 제9군의 제CI 군단의 세 개 사단(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5 예거 사단, 제25 기갑척탄병 사단)과 베를린 동쪽에 있는 헬무트 바이들링의 제56 기갑군단을 배정받았다.[6][4][5]

북쪽에 있는 세 개 사단은 에베르스발데 (피노 운하에 위치, 베를린 동쪽 24km 지점)에서 제56 기갑군단을 향해 남쪽으로 공격하여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출부를 둘로 나누어야 했다. 슈타이너는 하인리치에게 전화하여 5 예거 사단과 25 기갑척탄병 사단이 방어적으로 배치되어 있었고 제2 해병 사단이 해안에서 도착하여 그들을 교대하기 전에는 재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고 알렸다. 이로 인해 4 SS 사단의 2개 대대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그들은 중화기 없이 권총과 기관단총만 가지고 있었다. 하인리치는 한스 크레브스 독일 육군 참모 본부 (OKH)의 참모장에게 전화하여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고 말하고 히틀러와 통화하고 싶다고 요청했지만, 히틀러가 너무 바빠서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4][5]

4월 22일 오후 회의에서 슈타이너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히틀러는, 그의 비서의 증언에 따르면, "오랫동안 침묵"했고, 여성들(에바 브라운포함)이 즉시 베를린을 떠나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그들은 거절했다). 그는 전쟁이 패배했다고 선언하고, 장군들을 비난했으며, 끝까지 베를린에 머물다가 자살하겠다고 발표했다.[7][8] 4월 22일 이후 "슈타이너 군단"은 ''총통 벙커''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9]

2. 2. 슈타이너 분견군의 편성

4월 21일, 아돌프 히틀러펠릭스 슈타이너에게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이 돌파하여 생긴 거대한 돌출부의 북쪽 측면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 이 공격을 위해 슈타이너는 제9군의 제CI 군단 소속 세 개 사단, 즉 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5 예거 사단, 제25 기갑척탄병 사단을 배정받았다.[6] 이들은 모두 피노 운하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6] 또한 베를린 동쪽에 있는 헬무트 바이들링의 제56 기갑군단도 슈타이너에게 배정되었는데, 제56 기갑군단의 북쪽 측면은 베르노이헨 바로 아래에 있었다.[4][5]

북쪽에 있는 세 개 사단은 에베르스발데 (피노 운하에 위치, 베를린 동쪽 24km 지점)에서 제56 기갑군단을 향해 남쪽으로 공격하여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출부를 둘로 나누어야 했다. 그러나 슈타이너는 육군 대장 고트하르트 하인리치에게 전화하여 제5 예거 사단과 제25 기갑척탄병 사단이 방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해병 사단이 해안에서 도착하여 그들을 교대하기 전에는 재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없다고 알렸다.[4][5] 이로 인해 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의 2개 대대만 사용할 수 있었고, 그들은 중화기 없이 권총과 기관단총만 가지고 있었다.[4][5]

22px
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6]

22px
제5 예거 사단[6]

22px
제25 기갑척탄병 사단[6]

2. 3. 히틀러의 반응과 분견군의 해체

4월 21일, 아돌프 히틀러펠릭스 슈타이너의 지휘 하에 들어온 부대들을 "슈타이너 군단"이라고 칭하고, 제1 백러시아 전선군의 돌출부 북쪽 측면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6] 그러나 슈타이너는 가용 병력 부족을 이유로 공격을 실행할 수 없었고, 이를 보고받은 히틀러는 격노하여 전쟁 패배를 선언하고 자살을 암시했다.[4][5][7][8] 이후 "슈타이너 군단"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9]

고트하르트 하인리치는 슈타이너의 제3 (게르만) SS 기갑군단에서 가장 강력한 두 개 사단인 제11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노르트란트"와 제23 SS 의용 기갑척탄병 사단 "네덜란드"를 테오도어 부세에게 배속시켰다. "노르트란트" 사단은 제56 기갑군단에 합류하여 제9 공수 사단이 지키는 구역을 강화하였고, "네덜란드"사단은 제5 SS 산악군단에 배속되어 할베 전투에서 파괴되었다.[3]

3. 편제

제3(게르만) SS 기갑군단

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5 예거 사단

제25 기갑척탄병 사단

3. 1. 주요 부대

제3(게르만) SS 기갑군단, 제4 SS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제5 예거 사단, 제25 기갑척탄병 사단 등이 슈타이너 분견군의 주요 부대였다.

4. 평가

참조

[1] 서적 Die Waffengattungen - Gesamtübersicht Biblio Verlag
[2] 간행물 OKW War Diary 1945-04-27
[3] 문서 Beevor p. 141
[4] 문서 Beevor pp. 267–268
[5] 문서 Ziemke pp. 87–88
[6] 문서 To assign units on the far side of an enemy salient from their own command to that of the local command is not unusual. For example in the [[Battle of the Bulge]] General [[Dwight D. Eisenhower|Eisenhower]] reassigned the [[First United States Army|US First]] and [[Ninth United States Army|US Ninth]] armies on the north side of the salient to the [[21st Army Group]] (also on the north side), because it was now fighting side by side with the armies of the 21st Army Group, while its parent army group (the [[12th Army Group|12th]]) was on the south side of the salient with the rest of the 12th's armies.
[7] 문서 Beevor p. 275
[8] 문서 Ziemke p. 89
[9] 문서 Beevor p. 298
[10] 문서 Beevor p.141
[11] 문서 Beevor pp.267-268
[12] 문서 Ziemke pp.87-88
[13] 문서 돌출부로 인해 분단된 부대의 통제권을 지구 사령관에게 인계하는 일은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기는 한다. 예를 들자면 [[벌지 전투]]에서 [[아이젠하워]] 대장은 돌출부 북익에 배치되어 있던 미국 [[제1군 (미국)|1 군]] 및 [[9 군 (미국)|9 군]]을 역시 같은 북익에 위치해 있던 [[영국 제21 집단군]]으로 전속했다. 왜냐하면 상급 부대인 [[미국 제12 집단군]]은 나머지 야전군과 함께 돌출부 남익에 위치한 채 있었고, 미국 제1군 및 제9군은 영국 제21 집단군의 야전군들과 나란히 싸우는 형국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14] 문서 Beevor p.275
[15] 문서 Ziemke p.89
[16] 문서 Beevor p.2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