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군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군 (독일 국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참전하여 지크프리트 선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이후 동부 전선에서 바르바로사 작전, 모스크바 전투, 르제프 전투, 쿠르스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바르샤바 방어전 등에 참여했다. 1945년에는 베를린 공방전에서 젤로 고지 방어를 맡았으나, 소련군의 공세에 밀려 할베 전투에서 와해되었고, 잔존 병력은 미군에게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 - 알베르트 케셀링
알베르트 케셀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선에서 활약한 독일 공군 원수로, 뛰어난 지휘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전후 전범으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 독일 국방군 -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은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서부 및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 전멸 후 재편성되었으나 종전 시 미국 육군에 항복, 전쟁 범죄에도 연루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 -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은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서부 및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 전멸 후 재편성되었으나 종전 시 미국 육군에 항복, 전쟁 범죄에도 연루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 - 제2군 (독일 국방군)
제2군(독일 국방군)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서부 전선, 폴란드 침공, 프랑스 공방전, 발칸반도 침공, 동부 전선 등 주요 전투에 참여 후 1945년 해산되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제9군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 | |
명칭 | 제9군 |
원어 명칭 | (독일어) |
약칭 | 해당사항 없음 |
창설일 | 1940년 5월 15일 |
해체일 | 1945년 5월 1일 |
국가 | (나치 독일) |
군종 | 독일 국방군 육군 |
유형 | 야전군 |
역할 | 해당사항 없음 |
규모 | 1942년 8월 10일: 352,867명 1943년 7월 1일: 334,552명 1945년 1월 1일: 110,930명 |
지휘 구조 | 해당사항 없음 |
주둔지 | 해당사항 없음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후원자 | 해당사항 없음 |
모토 | 해당사항 없음 |
상징색 | 해당사항 없음 |
군가 | 해당사항 없음 |
마스코트 | 해당사항 없음 |
주요 지휘관 | 해당사항 없음 |
식별 기호 | 해당사항 없음 |
식별 기호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식별 기호 2 | 해당사항 없음 |
식별 기호 2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참전 |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적색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 미인스크 전투 모스크바 침공 물소 작전 치타델레 작전 할베 전투 베를린 공방전 |
2. 1940년: 서부 전선
제9군은 프랑스 침공에 참전하여 지크프리트 선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이 부대는 전략 예비대로 유지되었으며, 전투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1]
1941년, 제9군은 대폭 강화되어 독소전쟁을 위해 중부 집단군에 배치되었다.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에 제4군은 비아위스토크에 배치된 소련군에 대한 대규모 포위 공격의 남쪽 협공을 형성했고, 제9군은 북쪽 협공을 형성했다.[3] 이후 스몰렌스크에서 소련군에 대한 또 다른 협공 작전을 실시하여 진격을 계속했다. 소련군을 포위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확보해야 할 거리가 멀어 많은 소련군이 포위망에서 탈출했다.[3]
3. 1941년: 독소전쟁 초기
아돌프 히틀러는 중부 집단군에서 기갑 부대를 북부 및 남부 전선으로 보내 소련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려 했다. 제9군은 1941년 7월 말부터 10월까지 히틀러가 마침내 모스크바 공격을 결정할 때까지 정체 상태로 있었다.[3]
제9군은 독일 제2, 제3, 제4 기갑군과 제4군이 모스크바 공격의 선봉에 서면서 북쪽 측면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 공격은 추운 날씨, 악화된 보급 상황, 완강한 소련의 저항으로 인해 실패했다. 독일군은 심각한 인명 손실을 입었고, 제9군의 병력 상당수가 소모된 다른 독일군에 재할당되었다.[3]
3. 1. 뱌지마-모자이스크 방어선
모스크바 전면에는 두 개의 정교한 방어선이 있었다. 첫 번째는 뱌지마 앞에 251km 뻗어 있었고, 두 번째는 모자이스크에 있었다.[3] 제9군은 북쪽에서 공격하여 뱌지마 방어선을 우회했고, 제3 기갑 집단, 제4 기갑 집단과 함께 뱌지마에서 소련군을 포위했다. 이것은 제9군이 수행한 마지막 주요 포위 작전이었다.[3]
4. 1942년: 르제프 전투
1942년에도 제9군은 모스크바 외곽 200마일 지점에 참호를 구축하고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독일군은 동부 전선 남부에서 공세를 집중했다.[1] 남부 러시아에서 전투의 흐름이 바뀌면서, 소련은 화성 작전을 시작했는데, 이는 중앙 집단군을 상대로 한 대규모 공세였다.[1] 잘 구축된 중앙 집단군의 방어선은 막대한 사상자를 내면서 소련의 공세를 격퇴했다.[1]
5. 1943년: 쿠르스크 전투
1943년, 독일군은 쿠르스크 돌출부에서 대규모 포위 기동을 개시하여 동부 전선의 주도권을 되찾으려 했다. 이는 소련군 전체 병력의 1/6이 배치된 곳이었다. 북쪽에서 진격을 이끈 제9군은 강력한 소련 방어선에 부딪혀 첫날 10km 이상 진격하지 못했다.[1]
제9군은 소련군의 반격인 쿠투조프 작전에 대처해야 했으며, 이를 저지하지 못하면 포위될 수도 있었다. 제9군은 1943년 남은 기간 동안 서쪽으로 후퇴하며 전투를 벌였다.[1]
5. 1. 포니리 전투
1943년 7월, 독일군은 쿠르스크 돌출부에서 대규모 포위 기동을 개시하여 동부 전선의 주도권을 되찾으려 했다. 북쪽의 제9군과 제2 기갑군, 남쪽의 제4 기갑군과 켐프 육군 집단이 선봉을 맡았다. 소련은 가장 강력한 공격이 북쪽에서 올 것이라고 믿고 제9군 정면의 전선을 대대적으로 강화했다.[1]발터 모델은 쿠르스크로 진격하기 위해 요새화된 중요한 포니리 기차역을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소련군은 도시 방어를 대대적으로 강화했고, 이는 공격자들이 막대한 손실을 보는 결과를 초래했다. 격렬한 전투가 일주일간 이어진 후, 제9군은 겨우 20km를 진격했다. 적의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실패한 후, 제9군은 소련의 반격에 대처해야 했다.[1]
6. 1944년: 바그라티온 작전과 바르샤바 방어전
1944년까지 제9군은 지쳐 있었지만, 절실히 필요했던 증원을 받았고 그 해 전반기에 바브루이스크 지역을 방어하고 있었다.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3주년이 되던 날, 소련은 집단군 중앙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거대한 바그라티온 작전을 시작했다. 제9군에 대한 공격은 바브루이스크 공세라고 불렸다. 제9군은 바그라티온 작전 동안 거의 8만 명의 사상자를 냈고, 이 중 6만 5천 명이 포로로 잡혔다.[1] 이후 제9군은 이탈리아 전선에서 재배치된 독일 부대에 의해 재건되었고, 1944년 가을과 겨울에 바르샤바 방어전에 참여했다.[1]
7. 1945년: 베를린 공방전
1945년 1월, 오데르 강 서쪽에서 방어선을 구축한 제9군은 젤로 고지 전투에서 소련군에 맞서 싸웠으나, 베를린으로 밀려났다. 이후 할베 전투에서 포위되어 괴멸되었고, 잔존 병력은 엘베 강을 건너 미국군에 항복했다.[1]
7. 1. 젤로 고지 방어
1945년 1월 12일, 소련 붉은 군대가 독일 영토로 진격하자, 제9군은 방어전을 수행하며 오데르강 서안까지 후퇴했다. 제9군은 베를린 방어의 마지막 거점인 젤로 고지 방어를 위해 3단계 방어선을 구축했다. 북쪽에는 제CI군단, 중앙에는 헬무트 바이트링의 제LVI 기갑군단, 남쪽 고지에는 제XI SS 기갑군단이 배치되었다. 프랑크푸르트 방어는 제V SS 산악군단과 프랑크푸르트 수비대가 담당했다. 제9군은 병력 10만 명, 전차·돌격포 800량을 보유한 반면, 소련 붉은 군대는 병력 100만 명 이상, 전차·자주포 1만 대를 투입했다.[1]1945년 4월 16일,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지휘하는 소련 붉은 군대 제1백러시아 전선군이 오데르 강을 건너면서 젤로 고지 전투가 시작되었다. 제9군은 3일 동안 전선을 유지했으나, 격렬한 전투 끝에 중앙 방어를 맡았던 제56기갑군단은 베를린으로 후퇴했다. 북쪽에서는 제1백러시아 전선군이 형성한 돌출부에 대해 제CI군단 대부분의 사단과 슈타이너 분견대가 반격했지만, 히틀러는 비현실적인 계획에 따라 제56기갑군단을 추가 투입하여 돌출부를 봉쇄하려 했다. 그러나 제56기갑군단은 베를린으로 밀려났고, 바이트링은 베를린 방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테오도어 부세와 제9군 잔존 병력은 젤로 고지 남쪽, 슈프레 강과 슈프레발트 숲,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서쪽에 위치한 포위망으로 밀려났다.[1]
7. 2. 할베 전투
1945년 1월 12일, 소련 붉은 군대가 독일 영토로 진격했고, 제9군은 방어전을 수행하면서 오데르강 서안까지 후퇴했다. 제9군은 베를린 방어의 마지막 거점인 젤로 고지 방어를 위해 방어선을 3단계로 나누어 북부에 제101군단, 중앙에 헬무트 바이트링의 제56기갑군단, 남부 고지에 제11SS기갑군단을 배치했다. 프랑크푸르트 방어는 제5SS군단과 프랑크푸르트 수비대가 담당했다. 병력 10만 명, 전차·돌격포 800량을 보유한 제9군은 병력 100만 명 이상, 전차·자주포 1만 대를 보유한 소련 붉은 군대와 맞섰다.1945년 4월 16일,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지휘하는 소련 붉은 군대 제1백러시아 전선군이 오데르 강을 건너면서 젤로 고지 전투가 시작되었다. 제9군은 3일 동안 전선을 유지했지만, 격전 끝에 중앙 방어를 맡은 제56기갑군단은 후퇴했다. 북쪽에서는 제1백러시아 전선군이 형성한 돌출부에 제101군단의 대부분 사단과 슈타이너 분견대가 반격했으나, 히틀러는 승리할 수 있다는 환상에 빠져 제56기갑군단을 추가하여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제56기갑군단은 베를린으로 후퇴했고, 바이트링은 베를린 방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테오도어 부세와 제9군 잔존 병력은 젤로 고지 남쪽 슈프레 숲에서 프랑크푸르트 서쪽에 이르는 지역에 포위되었다.
포위된 제9군은 제12군과 합류하기 위해 서쪽으로 퇴각하기 시작했다. 이 탈출 과정은 할베 전투로 불리며, 제9군은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제12군과 합류한 제9군 잔존 병력은 엘베강을 건너 미국군에게 항복했다.
8. 역대 지휘관
취임 | 퇴임 | 계급(당시) | 성명 |
---|---|---|---|
1940년 5월 15일 | 1940년 5월 29일 | 상급대장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1940년 5월 30일 | 1942년 1월 14일 | 상급대장 | 아돌프 슈트라우스 |
1942년 1월 15일 | 1943년 11월 3일 | 야전원수 | 발터 모델 |
1943년 11월 4일 | 1944년 5월 20일 | 상급대장 | 요제프 하르페 |
1944년 5월 20일 | 1944년 6월 26일 | 보병대장 | 한스 요르단 |
1944년 6월 27일 | 1944년 8월 31일 | 기갑대장 | 니콜라우스 폰 포르만 |
1944년 9월 1일 | 1945년 1월 19일 | 기갑대장 | 스밀로 프라이헤어 폰 뤼트비츠 |
1945년 1월 20일 | 1945년 5월 2일 | 보병대장 | 테오도르 부세 |
참조
[1]
간행물
Aussenstelle OKH/Gen. Qu. Befehlsstelle Mitte/Qu 1. Zahlengrundlagen. Stärken von 10.8.1942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3//182, fol. 345
1942-08-10
[2]
간행물
Armeeoberkommando 9, Ia Nr. 4006/43 g. Kdos. Betr.: Iststärkemeldung aller im Armeebereich vorhandenen Einheiten und Dienstellen des Heeres. Stand: 1.7.43
NARA T312, R322, F7890946
1943-07-01
[3]
문서
v. Tippelskirch
[4]
서적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5]
문서
Beevor, Antony
[6]
문서
Beevor, Anto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