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토카흐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토카흐 전투는 1799년 3월 25일, 프랑스 혁명 전쟁 중 남서부 독일에서 일어난 전투로,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의 격렬한 교전이 벌어졌다. 프랑스 총재정부의 도발적인 라인강 도하 이후, 오스트리아군은 카를 대공의 지휘 아래 슈토카흐와 엥겐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전략적 실패로 이어져 독일 남부에서의 영향력을 약화시켰으며, 이후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지휘권을 상실했다. 나폴레옹은 이 전투를 분석하며 주르당의 전략적 실수를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9년 3월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 1799년 3월 - 펠트키르히 전투
1799년 3월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앙드레 마세나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요한 폰 호체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펠트키르히를 공격했으나, 프란츠 젤라치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의 방어에 막혀 패배하며 전략적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 1799년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 1799년 신성 로마 제국 - 1799~1800년 콘클라베
1799년에서 1800년까지 베네치아에서 열린 콘클라베는 교황 비오 6세 사후 새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리아의 영향력과 후보 간의 교착 상태로 선출 과정이 길어진 끝에 이몰라 주교 바르나바 니콜로 마리아 루이지 키아라몬티가 교황 비오 7세로 선출되었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은 영국 지배에 대한 불만으로 아일랜드 통합단원회를 중심으로 가톨릭 해방과 의회 개혁을 요구하며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지원 실패와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아일랜드는 영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슈토카흐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분쟁 | 제2차 대프랑스 동맹 |
![]() | |
날짜 | 1799년 3월 25일 |
장소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토카흐 |
결과 | 오스트리아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총재정부 |
교전국 2 | 합스부르크 군주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프랑스 총재정부 | 장바티스트 주르당 |
합스부르크 군주국 | 카를 공작 |
병력 규모 | |
프랑스 총재정부 | 보병: 26,164명 기병: 7,010명 포병: 1,649명 총: 62문 전체: 34,823명 |
합스부르크 군주국 | 보병: 53,870명 기병: 14,900명 포병: 3,565명 총: 114문 전체: 72,335명 |
사상자 및 피해 | |
프랑스 총재정부 | 사망, 부상, 포로: 4,000명 총 손실: 1문 |
합스부르크 군주국 | 사망, 부상, 포로: 5,800명 총 손실: 2문 |
2. 배경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간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프랑스 총재정부는 오스트리아의 소극적인 태도에 불만을 품고 독일 남서부와 이탈리아 북부에서 새로운 군사 작전을 계획했다.[45]
1799년 초, 프랑스 총재정부는 오스트리아가 시간을 끄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판단했다. 나폴리에서 발생한 봉기와 스위스에서의 최근 프랑스군의 성공은 이탈리아 북부와 독일 남서부에서 새로운 군사 작전을 펼칠 좋은 기회로 여겨졌다.[6]
1799년 겨울, 장바티스트 주르당 장군이 지휘하는 25,000명의 프랑스 도나우 군은 바젤과 켈 사이의 라인강을 건넜다. 이는 캄포포르미오 조약을 위반하는 행위였다.[47] 도나우 군은 4개 열로 검은숲을 통과하여 횔렌탈, 오버키르히, 프로이덴슈타트를 거쳐 숲 남쪽 끝으로 진격했다.[10] 주르당은 신중한 조언을 따르지 않고, 로트바일과 투틀링겐 사이에 진지를 구축하고 다뉴브 평야를 가로질러 진격했다.[11]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레흐 강 동쪽에서 겨울을 보내며 프랑스군에 대응할 준비를 했다. 카를 대공의 군대는 8만 명에 달했고, 프리드리히 폰 호체 휘하의 26,000명이 포어아를베르크를, 하인리히 폰 벨레가르데 백작 휘하의 46,000명이 티롤 백국을 방어했다. 또한, 러시아의 파벨 1세 황제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에게 6만 명의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12]
2. 1. 오스트라흐 전투 (1799년 3월 21일)
도나우 군은 이전 상부(남쪽) 슈바비아의 제국 도시였던 풀렌도르프와 오스트라흐로 진격했다. 오스트라흐는 보덴호에 있는 영향력 있고 부유한 교회 영지인 잘렘 제국 수도원에 속한 인근 마을(300명 거주)이었다. 주르당의 목표는 단순하고 직접적이었다. 독일 남서부 국가와 스위스의 경계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차단하여 연합군이 중부 유럽과 남부 유럽 사이의 육로로 스위스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었다.[52] 두 전역을 고립시키면 오스트리아군이 서로를 돕지 못하게 했다. 게다가 프랑스군이 스위스 내륙통로를 보유하고 있다면 이 경로를 사용하여 두 전역 사이에서 자체 병력을 이동할 수 있었다.[53]풀렌도르프 고지대와 마을 사이에는 평평하고 넓은 평야가 있으며 곳곳에 습지가 있고 낮은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마을 이름에서 따온 작은 지류로 주름져 있었다.[54] 오스트라흐 자체는 이 평야의 거의 북쪽 끝에 있지만, 다뉴브강을 기준으로 약간 남쪽에 있었다. 3월 7일, 첫 번째 프랑스군이 그곳에 도착했고, 오스트리아군은 하루 정도 늦게 도착했다. 다음 주에 양측의 추가 병력이 도착했고, 두 군대는 이 계곡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쳤다.[55]
프랑스군은 도나우강에서 보덴호까지 길게 늘어서 있었다.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가 지휘하는 3사단은 맨 왼쪽 측면에 위치했고, 도미니크 방담의 분리 부대는 슈투트가르트 근처에서 정찰을 마치고 돌아와 강의 북쪽 해안을 배회했다.[56]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는 풀렌도르프 아래 경사면에 위치하는 진군을 지휘했고, 2사단의 조제프 수함은 그의 뒤에 위치했다. 피에르 마리 바르텔레미 페리노의 1사단은 카를 대공의 군대가 포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최남단 측면을 지켰다. 주르당은 풀렌도르프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장-조셉 앙즈 도풀은 수함의 북쪽과 서쪽에 약간 서 있었다.[57]
19일 말까지 오스트리아군과 프랑스군은 30시간 이상 전초기지에서 접전을 벌였고, 전투는 점점 더 격렬해졌다. 21일 이른 시간에, 르페브르 장군은 주르당에게 오스트리아군이 그의 모든 진지를 공격하고 있으며, 전체 교전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알렸다. 24시간의 전투 끝에 오스트리아군은 르페브르와 생시르의 군대를 풀렌도르프 고지로 후퇴시켰다. 공병이 오스트라흐 강의 주요 다리를 폭파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은 어쨌든 개울을 건넜다. 그들은 오른쪽 측면에서 생시르 장군의 군대를 거의 압도하고 중앙에서 르페브르의 군대를 측면 공격했으며, 본체에서 남쪽 측면의 일부를 차단했다. 생시르의 군대는 간신히 후퇴했지만, 완전히 차단되었다. 마침내 프리드리히 폰 호체 장군은 펠트키르히에서 온 10,000명의 병사와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여 남쪽에서 페리노의 1사단을 위협했다.[58]
3. 슈토카흐-엥겐 전투 (1799년 3월 25일)
1799년 3월 25일, 오스트라흐 전투 이후 장바티스트 주르당이 이끄는 프랑스군은 슈토카흐와 엥겐으로 후퇴하여 방어선을 구축했다.[61] 주르당은 슈토카흐 근처에 본부를 설치하고,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 바르텔레미 페리노 등에게 주요 지휘를 맡겼다.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는 부상으로 인해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 못했다.[61] 주르당은 병력이 넓게 퍼져있다고 판단하여, 엥엔으로 병력을 집중시키려 했다.[61]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은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이전 전투보다 그 차이가 줄어들어 2:1 정도였다.[60] 카를 대공 역시 전선을 좁혔고, 프리드리히 요제프 폰 나우엔도르프 백작이 지휘하는 중앙군과 함께 3개 열로 접근했다.[63]
주르당은 도미니크 반담과 생시르에게 오스트리아 우익을, 조제프 수함과 페리노에게 좌익을 공격하게 하고, 주력 부대로는 중앙을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다.[62]
3. 1. 전투 경과
3월 25일, 슈토카흐 전투는 잔인하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64] 새벽 5시경, 생시르는 오스트리아 우익에 정면 공격을 가하며 전투를 시작했고, 이는 수함과 페리노의 오스트리아 좌익 공격과 조율되었다. 맹렬한 공격으로 오스트리아군은 전날 밤 주둔했던 숲에서 쫓겨나 슈반도르프 마을로 가는 길로 밀려났다. 카를 대공은 자신의 부대가 측면 공격을 받을 것을 우려하여, 오스트리아 우익에 있는 메르벨트 장군의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제1연대 6개 기병대를 투입했다.[65] 이 시점에서, 3월 24일 밤에 진지를 점령한 반담의 소규모 군단이 후방에서 공격을 가했다. 생시르의 부대는 오스트리아군이 '끔찍한 숲'이라고 명명한 슈토카흐 외곽의 숲을 장악했고,[66][67] 그곳의 전투는 "고집과 유혈충돌"로 묘사되었다.[68] 카를 대공은 헝가리 척탄병 6개 대대와 흉갑기병 12개 중대와 함께 도착하여 그들을 전투에 투입했다. 노련하고 전투로 단련된 그의 척탄병들은 그의 노출에 반대했고 한 척은 실제로 카를 대공의 말 굴레를 잡아 그를 막았다. 카를 대공이 말에서 내려 부하들을 도보로 이끌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카를 알로이스 추 퓌르슈텐베르크는 자원하기 위해 앞으로 나섰고, 대공이 그런 위험에 빠지기 전에 자신이 먼저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를 알로이스 추 퓌르슈텐베르크가 후사르와 척탄병을 이끌고 반격을 가하는 동안 그는 프랑스군의 총격에 맞아 사망했다. 카를 대공은 결국 척탄병을 이끌었고, 프랑스군의 기세는 저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역전되었다. 안할트의 왕자도 전투에서 사망했다. 생시르는 방담의 공격까지 진전을 이루지 못했지만, 대공의 대응으로 둘 다 위축되었다. 그 아수라장에서 생시르의 제3여단장인 클로드 저스테 알렉상드르 르그랑은 옆에 있던 형제와 보좌관을 모두 잃었고, 주르당 자신도 자신의 군대를 집결시키려 할 때 짓밟혀 죽거나 포로가 되는 것을 겨우 피할 수 있었다. 다수의 오스트리아군이 합스부르크 중앙에 대한 프랑스군의 주요 공격을 저지했다.[69]프랑스군 우익에서 페리노 장군은 먼저 대포로 오스트리아군을 밀어내려고 시도했고, 뒤이어 아쉬와 슈토카흐 사이 도로 양쪽의 숲을 통한 공격이 이어졌다. 2개 종대가 2번의 공격을 가했고, 둘 다 격퇴되었다. 마침내, 페리노는 그의 세 번째 열을 돌격에 추가했고, 이는 오스트리아군이 전선을 재편성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중앙에서 무거운 포를 발사하는 대포를 발사했다. 페리노는 포병 탄약이 떨어졌기 때문에 대응할 수 없었다. 프랑스군은 착검을 하고, 발비스 마을로 돌격하여 점령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야간공격을 버티지 못했고, 결국 후퇴했다.[70]
3. 2. 전투 결과
프랑스군은 슈토카흐와 엥겐에서 철수하여 검은 숲 방면으로 후퇴했다.[71] 3월 31일까지 프랑스군 다뉴브 군대는 노이슈타트,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 프로이덴슈타트, 쉴타흐에 자리를 잡았다. 주르당은 호른베르크에 지휘 본부를 설치했고, 기병대는 산에서 충분한 군마 사료를 찾을 수 없어 오펜부르크로 보내졌다.[73]주르당은 오스트리아군이 7,000명이 죽거나 부상당했으며, 4,000명의 포로와 여러 대포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프랑스군은 고기, 빵, 브랜디도 없이 전장에 머물렀고, 말에게도 마초를 먹이지 못했다고 한다. 주르당은 나중에 "우리가 승리를 얻었다는 것은 불의나 거짓이다."라고 썼다.[73]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19세기와 20세기 역사가들은 오스트리아군에게 승리를 인정했다.
프랑스 총재정부도 오스트리아군의 승리를 인정했다. 4월 중순, 신장염으로 고통받던 주르당은 참모장인 장 오귀스탱 에르누프 사령관에게 지휘권을 넘겨주고 병력과 보급품 부족에 대해 불평하기 위해 파리로 돌아갔다. 그러나 주르당은 동정을 거의 받지 못했고, 아프다며 총재정부에 사직서를 제출하자 바로 접수되었다.[73]
15년 후, 엘바에서 망명한 나폴레옹은 슈토카흐 전투와 프랑스의 패배를 분석했다. 그는 그 원인이 조르당의 사단에 있다고 결론지었다. 나폴레옹은 주르당이 북서쪽, 즉 검은 숲으로 후퇴한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앙드레 마세나의 잘 배치된 헬베티아 군대와 합류하기 위해 남쪽으로 퇴각했어야 했는데, 그곳에서 헬베티아 군대와 다뉴브 군대가 합치면 합스부르크 군대를 물리칠 수 있었다고 한다. 주르당의 잘못된 전반적인 전략으로 나폴레옹은 프랑스군이 승리의 문턱에서 패배를 당했다고 주장했다.[73]
4. 전투의 영향
슈토카흐 전투와 엥겐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의 전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군의 패배로 독일 남부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이 약화되었다.[38] 오스트리아군은 스위스 방면으로의 진격을 저지하고,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었다.[36]
프랑스 총재정부는 주르당 장군의 전략에 불만을 품고 그를 해임했다. 주르당은 병력과 보급품 부족, 오스트리아군의 규모와 경험 등을 패배의 원인으로 지적했지만, 총재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40][41]
나폴레옹은 훗날 이 전투를 분석하며 주르당의 전략적 실수를 비판했다. 그는 주르당이 병력을 분산시켜 오스트리아군에게 각개격파 당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프랑스군 우익의 공격이 늦어진 것과 주르당이 북쪽이 아닌 남쪽으로 후퇴했어야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42]
5. 한국의 관점에서의 고찰
슈토카흐 전투와 엥겐 전투는 18세기 말 유럽의 국제 정세와 강대국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당시 조선은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에 직면하고 있었으며, 이 전투는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과 힘의 논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 전투를 통해 강대국 간의 균형 외교와 자주 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진보 진영의 관점에서는 전쟁의 참혹함과 평화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5. 1. 주요 인물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프랑스 도나우 군의 사령관이었으나, 슈토카흐 전투에서 패배한 후 해임되었다.[46][48] 카를 대공은 오스트리아군 총사령관으로서, 슈토카흐-엥겐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승리를 이끌었다.[51] 카를 알로이스 추 퓌르슈텐베르크는 오스트리아군 지휘관이었으나, 전투 중 프랑스군의 총격에 맞아 전사했다.[69] 그는 카를 대공을 대신하여 척탄병을 이끌고 반격에 나섰다가 희생되었다. 프리드리히 폰 호체는 오스트리아군 장군으로, 오스트라흐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압박하는 데 기여했다.[58]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 바르텔레미 페리노, 도미니크 방담은 프랑스군 장군으로, 슈토카흐-엥겐 전투에서 각각 주요 지휘, 우익 지휘, 별동대를 이끌고 오스트리아군 후방 공격을 담당했다.[56][57]참조
[1]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Greenhill Napoleonic Wars Data Book: Actions and Losses in Personnel, Colours, Standards and Artillery, 1792–1815
Stackpole Books
[3]
문서
There was a second battle the following year—see [[Second Battle of Stockach]]. Some older English sources refer to this as the '''Battle of Stochach''' and some French chronicles as '''Battle of Liptingen''' (or Leibtengen).
[4]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Wars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7]
서적
A History of the Commencement,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Late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which continued from the first day of February 1793 to the first of October 1801
Turnbull
[8]
서적
[9]
서적
A Memoir of the operations of the army of the Danube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Jourdan, taken from the manuscripts of that officer
Debrett
[10]
간행물
Napoleon's great adversaries: Archduke Charles and the Austrian Army 1792–1814
Spellmount
[11]
서적
[12]
서적
The Austro-Hungarian army of the Napoleonic wars.
Osprey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8]
서적
Data Book
[19]
서적
[20]
간행물
"Die Schlacht von Stockach am 25. März 1799"
Öst. Milizverlag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A History of Franc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A. Fullarton
[26]
서적
Databook
[27]
웹사이트
"Feldmarschall-Leutnant Fürst zu Fürstenberg,"
http://www.napoleon-[...]
2009-10-07
[28]
서적
[29]
서적
[30]
웹사이트
Fürstenberg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Napoleon: A History of the Art of War
Houghton Mifflin Co
1904
[43]
문서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A History of the Commencement,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Late War between Great Britain and France which continued from the first day of February 1793 to the first of October 1801
Turnbull
1802
[47]
서적
[48]
서적
A Memoir of the operations of the army of the Danube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Jourdan, taken from the manuscripts of that officer
Debrett
1799
[49]
서적
Napoleon's great adversaries: Archduke Charles and the Austrian Army 1792–1814
Spellmount
[50]
서적
[51]
서적
The Austro-Hungarian army of the Napoleonic wars.
Osprey
1973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Napoleon's enfant terrible: General Dominique Vandamm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8
[57]
서적
[58]
서적
[59]
간행물
"Die Schlacht von Stockach am 25. März 1799"
Öst. Milizverlag
2006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A History of France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A. Fullarton
1882
[65]
서적
[66]
웹사이트
"Feldmarschall-Leutnant Fürst zu Fürstenberg,"
http://www.napoleon-[...]
2009-10-07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Jourdan, p. 204
[72]
서적
Alison, p. 115; Blanning, p. 232; Gallagher, p. 124
[73]
서적
Jourdan, p. 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