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펠트키르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트키르히 전투는 1799년 3월 7일과 23일에 벌어진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스위스 전역의 전투이다. 프랑스 총재정부의 팽창 정책으로 인해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이 결성되었고, 프랑스는 스위스를 침공하여 헬베티아 공화국을 수립했다. 앙드레 마세나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1차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2차 전투에서 프란요 옐라치치의 오스트리아군에게 패배했다. 펠트키르히 전투는 오스트라흐 전투와 슈토하 전투에서의 프랑스군 패배와 맞물려 전략적 의미를 잃었으며, 이후 마세나는 다뉴브 군을 지휘하게 되고, 옐라치치는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9년 오스트리아 - 제2차 취리히 전투
    제2차 취리히 전투는 1799년 9월 프랑스군이 러시아군과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여 프랑스가 스위스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 전투이다.
  • 1799년 오스트리아 - 제1차 취리히 전투
    제1차 취리히 전투는 1799년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스위스 취리히에서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에 벌어졌으며, 오스트리아군의 공격에도 프랑스군이 저항하여 취리히를 포기하고 퇴각하는 결과를 낳았다.
  • 1799년 3월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 1799년 3월 - 슈토카흐 전투
    슈토카흐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이 슈토카흐 근교에서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퇴각하며 오스트리아군이 전술적 우위를 점하고 카를 대공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1799년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라흐 전투
    오스트라흐 전투는 1799년 3월 21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라흐 인근에서 프랑스 도나우 군이 오스트리아 군에게 저지당해 슈토카흐로 후퇴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고 이후 전투에 영향을 미쳤다.
  • 1799년 신성 로마 제국 - 슈토카흐 전투
    슈토카흐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군과 오스트리아군이 슈토카흐 근교에서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퇴각하며 오스트리아군이 전술적 우위를 점하고 카를 대공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펠트키르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투명펠트키르히 전투
일강은 펠트키르히 근처의 험준한 지형을 통해 흐른다.
일강은 펠트키르히 근처의 험준한 지형을 통해 흐른다.
날짜1799년 3월 23일
장소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주 펠트키르히
결과오스트리아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오스트리아
교전국 2프랑스
지휘관
지휘관 1프란츠 옐라치치
지휘관 2앙드레 마세나
병력 규모
병력 15,500명의 정규 보병, 2개 전대, 알려지지 않은 수의 민병대 또는 4,500명의 정규군, 3,000명의 민병대
병력 212,000–13,000명의 정규 보병
사상자 규모
사상자 1900명
사상자 21,500–3,000명
관련 전투 상자
null
Campaignbox French Revolutionary Wars in Switzerland
null
Campaignbox Second Coalition
지리 정보
기타 정보

2.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과 헬베티아 공화국 수립

프랑스 총재정부는 구스위스 연방이 보 주 주민들을 학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1798년 스위스를 침공했다. 그러나 실제 목적은 베른에 있는 스위스 재정을 확보하려는 것이었다.[24] 프랑스군은 기욤 브륀과 발타자르 알렉시스 앙리 샤우엔부르크의 지휘 아래 스위스를 점령하고 1798년 3월 5일 베른에 입성했다. 이후 프랑스는 막대한 양의 스위스 자금을 약탈하여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 자금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 침공으로 스위스에는 프랑스의 위성국인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많은 스위스인들의 반발에 부딪혔으며, 프랑스에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 대항하여 방어해야 할 새로운 국경선을 만들어 전략적 부담을 안겨주었다.[6]

2. 1.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 배경

프랑스 총재정부스위스 침공을 명령한 표면적인 이유는 연방이 보 주 주민들을 학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이유는 프랑스 정부가 베른에 있는 스위스 재무부를 장악하려는 욕망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

헬베티아 군의 지휘관으로 임명된 기욤 브륀은 이탈리아 군 예하 사단을 이끌고 1798년 1월 1일 북쪽으로 진군을 시작했다. 동시에 발타자르 알렉시스 앙리 쇼엔부르크가 지휘하는 15,000명 규모의 사단은 라인 군에서 분리되어 북쪽에서 베른으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는 스위스를 기만하기 위한 거짓 협상을 벌였다. 1798년 2월 5일, 브륀은 쇼엔부르크 사단과 필리프 로맹 메나르가 지휘하게 된 자신의 이전 부대까지 통합하여 지휘하게 되었다. 두 사단은 베른을 향해 진격하여 산발적인 교전 끝에 3월 5일 베른에 입성했다.[2]

1798년 4월 12일 이후 헬베티아 공화국 지도
1798년 4월 12일 헬베티아 공화국


1798년 3월 8일, 브륀은 이탈리아 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3월 29일 새로운 부임지로 떠났고, 쇼엔부르크가 스위스 주둔 프랑스군의 새로운 사령관이 되었다. 프랑스군은 베른 점령 후 상당의 현금과 금을 압수했으며, 이 중 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시리아 원정 자금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대포 293문, 곡사포 38문, 박격포 32문을 탈취하여 위닝과 카루주로 옮겼다. 1798년 8월 19일, 프랑스와 스위스는 동맹을 맺었지만, 많은 스위스인들은 프랑스의 지배에 불만을 품었다. 프랑스군은 발레 주를 비롯한 여러 주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3] 쇼엔부르크는 재임 기간 동안 니콜라 우디노를 자신의 군대로 편입시켰다. 그는 뛰어난 조직가였으나, 그의 후임자인 앙드레 마세나만큼 뛰어난 야전 지휘관은 아니었다. 1798년 12월 11일, 쇼엔부르크는 마세나에게 지휘권을 넘기고 보병 감찰관 직책을 맡았다. 당시 헬베티아 군은 1,600명의 기병을 포함하여 총 24,000명의 숙련된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4]

스위스를 침공함으로써 프랑스 정부는 의도치 않게 연합군에게 프랑스를 침공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열어주게 되었다. 벨기에독일 방면의 국경은 요새 지대로 잘 방어되어 있었지만, 스위스와의 국경인 쥐라 산맥 지역은 주 요새와 살랭레뱅 등 몇몇 요새만이 프랑슈콩테 지역을 방어하고 있을 뿐이었다.[5] 라자르 카르노는 스위스가 중립일 때는 프랑스가 국경 방어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었지만, 스위스가 적대국이 되면서 프랑스는 스위스를 점령하거나 국경을 감시하기 위해 40,000명의 병력을 추가로 배치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지적했다.[6]

2. 2. 헬베티아 공화국 수립

프랑스 총재정부스위스 침공을 명령한 표면적인 이유는 연방이 보 주의 사람들을 학대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제 이유는 프랑스 정부가 베른에 있는 스위스 재무부를 차지하려는 욕망일 가능성이 높았다.[1] '헬베티아 군' 지휘관으로 임명된 기욤 브륀은 '이탈리아 군'의 사단과 함께 1798년 1월 1일에 북쪽으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한편, 발타자르 알렉시스 앙리 샤우엔부르크의 15,000명 규모의 사단은 '라인 군'에서 분리되어 북쪽에서 베른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스위스를 오도하기 위한 가짜 협상이 진행되었다. 1798년 2월 5일, 브륀은 여전히 분리된 샤우엔부르크의 사단과 현재 필리프 로맹 메나르가 지휘하는 그의 이전 부대의 지휘를 공식적으로 맡았다. 베른으로 합류하면서 두 사단은 산발적인 전투 후 3월 5일에 도시에 입성했다.[2]

1798년 3월 8일, 브륀은 '이탈리아 군'을 지휘하도록 임명되었다. 그는 3월 29일에 새로운 지휘를 위해 떠났고 샤우엔부르크는 새로운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한편, 가치의 현금과 금이 압수되었으며, 그 중 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시리아 원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293문의 대포, 38문의 곡사포, 32문의 박격포가 위닝과 카루주로 옮겨졌다. 1798년 8월 19일에 두 나라는 동맹이 되었지만, 이는 사실상 스위스가 프랑스의 위성국이 된 것을 의미했으며 많은 스위스인들은 새로운 프랑스 지배자들에게 만족하지 않았다. 프랑스 군인들은 발레와 다른 주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느라 바빴다.[3] 샤우엔부르크는 재임 기간 동안 니콜라 우디노를 자신의 군대로 전출시켰다. 샤우엔부르크는 훌륭한 조직가였지만 그의 후임자만큼 일류 장군은 아니었다. 12월 11일, 그는 앙드레 마세나에게 지휘권을 넘겨주고 보병 감찰관 역할을 맡았다. 이 시점에서 '헬베티아 군'은 1,600명의 기병을 포함하여 24,000명의 베테랑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4]

스위스를 침공함으로써 프랑스 정부는 의도치 않게 연합군이 프랑스를 침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다. 벨기에독일과의 국경을 따라 프랑스는 요새 벨트로 잘 보호받고 있었다. 그러나 스위스 국경의 쥐라 산맥에는 주 요새와 살랭레뱅과 같은 몇몇 장소만이 프랑슈콩테 지역을 지키고 있었다.[5] 라자르 카르노는 스위스가 중립국이었을 때 프랑스는 그들의 공통 국경을 무시할 수 있었지만, 스위스가 교전국이 되면서 프랑스는 해당 국가를 점령하거나 국경을 감시하기 위해 40,000명의 군인을 배치해야 하는 전략적 부담을 안게 되었다고 지적했다.[6]

3.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발발과 스위스 전역

프랑스 총재정부는 구스위스 연방이 보주 주민들을 억압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스위스 침공을 명령했다. 그러나 실제 이유는 베른에 보관된 스위스 연방의 막대한 금고를 확보하려는 경제적 동기였을 가능성이 높다.[24] 1798년 초, 기욤 브륀과 샤우엔부르크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남북에서 스위스로 진격하여 그해 3월 5일 베른을 점령했다.

점령 직후 프랑스군은 스위스에서 막대한 자원을 약탈했다. 약 상당의 현금과 금이 압수되었으며, 이 중 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시리아 원정 자금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수백 문의 대포와 군수물자가 프랑스로 옮겨졌다. 프랑스는 1798년 8월 19일 스위스와 동맹 조약을 강제로 체결했지만, 많은 스위스인들은 프랑스의 지배에 반감을 품고 저항했으며, 프랑스군은 발레주 등지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 1798년 12월, 앙드레 마세나가 샤우엔부르크의 뒤를 이어 스위스 주둔 프랑스군(헬베티아군)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은 예상치 못한 전략적 결과를 가져왔다. 이전까지 중립국 스위스는 프랑스의 동쪽 국경을 자연스럽게 방어해주는 역할을 했으나, 프랑스가 스위스를 점령하면서 오히려 쥐라산맥 일대의 방어선이 취약해졌다. 라자르 카르노가 지적했듯이, 중립 상태였던 스위스 국경은 프랑스가 신경 쓰지 않아도 되었지만, 이제 프랑스는 스위스를 방어하거나 국경을 감시하기 위해 상당한 병력을 할애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에게 프랑스를 공격할 새로운 경로를 열어주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프랑스의 팽창주의적 정책은 주변국들의 반발을 사 동맹 결성을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3. 1. 제2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

스위스, 이집트, 네덜란드, 몰타, 피에몬테 왕국, 교황령에 대한 프랑스의 침략 행위는 주변국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영국이 주도하여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나폴리 왕국, 포르투갈 왕국, 오스만 제국 등을 동맹국으로 끌어들였다. 동맹국 중 하나인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트 1세는 1798년 11월 선제적으로 공격을 개시하여 잠시 로마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장 에티엔 샹피오네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은 곧 반격에 나서 나폴리군을 격파했고, 1799년 1월 23일까지 나폴리를 정복했다. 이로 인해 페르디난트 1세는 시칠리아로 피신해야 했다.[7]

앙드레 마세나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스 총재정부는 전쟁이 임박했음을 분명히 인식하고 20만 명의 징집병을 소집하며 전쟁 준비에 나섰다. 당시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군을 제외한 프랑스군은 장비가 부족한 상태로 5개의 군대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앙드레 마세나는 3만 명의 병력으로 스위스에 주둔했고, 브룬은 2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네덜란드를 방어했다.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3만 7천 명의 병력으로 알자스 지역을 지켰으며, 셰레는 5만 8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부 이탈리아에 배치되었다. 자크 마크도날은 샹피오네의 뒤를 이어 3만 명의 병력으로 중부 및 남부 이탈리아를 담당했다. 또한,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가 지휘하는 예비군이 만하임과 필립스부르크 일대에서 활동하며 오스트리아를 견제했다.[8]

프랑스 총재정부는 각 군 지휘관에게 구체적인 작전 목표를 하달했다. 마세나에게는 포어아를베르크와 그라우뷘덴을 점령하고 티롤 백국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주르당은 라인강을 건너 검은 숲 지역을 통과한 후, 그의 우익 부대를 마세나의 좌익 부대와 연결시키라는 지시를 받았다. 셰레는 베로나 근처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저지하면서 마세나의 우익 부대와 연결하도록 지시받았다.

이에 맞서는 오스트리아군은 다음과 같이 배치되었다. 파울 크라이가 이끄는 7만 5천 명의 병력이 북부 이탈리아에, 하인리히 폰 벨레가르데 백작이 이끄는 1만 8천 명의 병력이 티롤에, 프리드리히 폰 호체 남작이 이끄는 2만 6천 명의 병력이 포어아를베르크와 그라우뷘덴에 주둔했다. 그리고 카를 대공이 지휘하는 주력 부대인 8만 명의 병력이 남부 독일의 레흐 강 유역에 배치되어 프랑스군의 공세에 대비하고 있었다.[9]

3. 2. 스위스 전역의 전략적 중요성



스위스, 오스만 이집트, 네덜란드, 몰타,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 교황령에 대한 프랑스의 침략은 영국을 중심으로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나폴리 왕국, 포르투갈 왕국, 오스만 제국 등이 참여하는 제2차 대프랑스 동맹 결성을 촉발했다. 동맹국 중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트 1세가 1798년 11월 선제공격을 감행하여 잠시 로마에서 프랑스군을 몰아냈으나, 장 에티엔 샹피오네가 이끄는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나폴리군은 곧 격파되었다. 1799년 1월 23일까지 프랑스군은 나폴리를 점령했고, 페르디난트 1세는 시칠리아로 피신해야 했다.[7]

전쟁이 임박했음을 인지한 프랑스 총재정부는 20만 명의 징집병을 소집했다. 당시 이집트 원정에 파견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군대를 제외하고, 프랑스군은 장비가 부족한 상태로 5개 군대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이들 군대의 배치는 프랑스가 스위스를 전략적으로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보여준다. 총재정부는 각 군대에 구체적인 작전 목표를 하달했다.

  • 스위스 방면군: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3만 명의 병력이 스위스에 주둔했다. 마세나는 오스트리아 영토인 포어아를베르크와 그라우뷘덴(그리종)을 점령하고 동쪽의 티롤 백국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는 알프스 산맥을 넘어 오스트리아 중심부로 향하는 길목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목표였다.
  • 라인강 방면군: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3만 7천 명의 병력으로 알자스 지역을 담당하며, 라인강을 건너 검은 숲을 통과한 후 자신의 우익 부대를 마세나의 좌익 부대와 연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는 독일 남부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견제하며 스위스의 마세나 군과 연계 작전을 펼치기 위함이었다.
  • 이탈리아 방면군: 바르텔레미 루이 조제프 셰레는 5만 8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북부 이탈리아에 배치되어, 베로나 근처에서 오스트리아군에 맞서면서 마세나의 우익 부대와 연결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한편, 자크 마크도날은 샹피오네의 뒤를 이어 3만 명의 병력으로 중부 및 남부 이탈리아를 담당했다. 이는 이탈리아 전선에서 오스트리아군을 묶어두고 남쪽 방향에서 마세나 군을 지원하려는 의도였다.
  • 기타 병력: 브룬은 2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네덜란드 방어를 맡았고,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가 지휘하는 예비군은 만하임과 필립스부르크를 위협하며 라인강 중부 전선을 담당했다.[8]


프랑스군의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오스트리아군 역시 주요 길목에 병력을 집중 배치했다.

  • 이탈리아 북부: 파울 크라이 휘하 7만 5천 명
  • 티롤: 하인리히 폰 벨레가르데 백작 휘하 1만 8천 명
  • 포어아를베르크 및 그라우뷘덴: 프리드리히 폰 호체 남작 휘하 2만 6천 명
  • 남부 독일 (레흐 강 일대): 카를 대공 휘하 8만 명[9]


오스트리아는 특히 프랑스군의 주공 방향으로 예상되는 티롤, 포어아를베르크, 그라우뷘덴 등 스위스 인접 지역에 상당한 병력을 배치하여 프랑스의 알프스 장악 및 오스트리아 본토 진격 시도를 저지하고자 했다. 이처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양측의 병력 배치와 작전 계획은 알프스 산맥을 통제하고 북부 이탈리아와 남부 독일을 잇는 지리적 위치에 있는 스위스가 당시 유럽 전역에서 차지하는 전략적 중요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4. 펠트키르히 전투

펠트키르히 전투는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초기인 1799년 3월, 현재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 주의 펠트키르히 근교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 헬베티아 공화국 주둔군과 프리드리히 폰 호체 및 프란츠 젤라치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 사이에서 벌어졌다.

전투는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3월 초, 마세나는 공세를 시작하여 라인강을 건너고 쿠어를 점령하는 등 초기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니콜라 우디노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펠트키르히 북쪽에서 호체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1차 펠트키르히 전투).[11][13]

그러나 3월 23일, 마세나가 직접 지휘하여 펠트키르히 시를 점령하려 시도한 두 번째 주요 공격(2차 펠트키르히 전투)은 프란츠 젤라치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의 견고한 방어에 막혀 실패로 돌아갔다.[19][21] 젤라치치는 수적으로 우세한 프랑스군의 반복적인 공격을 성공적으로 격퇴하며 펠트키르히를 지켜냈다.

이 전투들은 스위스 전역의 초기 전황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젤라치치의 성공적인 방어는 이후 오스트리아군의 사기 진작에 기여했다.

4. 1. 쿠어 전투와 1차 펠트키르히 전투

1800년대 초 화려한 군복을 입은 남자의 흑백 조각상
니콜라 우디노


1799년 2월, 앙드레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의 우익은 클로드 르쿠르브 사단이 맡았으며, 그 극우는 벨린초나에 위치했다. 메스나르의 중앙 사단은 콘스탄스 호수 남쪽, 글라루스슈비츠 근처에 배치되었다. 니콜라 우디노 여단을 포함한 샤를 앙투안 자인트레유의 좌익 사단은 콘스탄스 호수에서 바젤까지 라인강을 방어했다.[10] 오스트리아군은 프리드리히 폰 호체브레겐츠펠트키르히에 2만 명의 병력을, 프란츠 자베르 폰 아우펜베르크가 쿠어에 4,500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었다.

전쟁이 선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장바티스트 주르당은 마세나에게 3월 1일에 라인강을 건너 6일까지 콘스탄스 호수 근처에 도착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따라서 마세나는 3월 6일, 호체와 아우펜베르크 군대 사이에 위치한 루지엔슈타이크에서 라인강을 공격하여 건넜다. 오스트리아의 방어는 강력했고 강 수위도 상승했지만, 프랑스군은 마침내 저녁에 그곳을 점령했다.[11] 마세나는 이 전투에 5,000명의 병력을 투입하여 300명의 사상자를 냈다. 오스트리아군은 그 지역에 4,200명의 병력을 배치했지만, 예비군 없이 분산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400명의 전사자와 부상자 외에 1,450명의 병사, 12문의 대포, 세 개의 기를 잃었다.[12] 다른 자료에 따르면 오스트리아군은 1,100명의 포로와 5문의 대포만 잃었다고 한다.[11]

다음 날인 3월 7일, 마세나는 남쪽으로 방향을 돌려 쿠어에서 아우펜베르크를 공격했다. 그는 경보병을 오스트리아군의 우익으로 보내 플레수르 계곡을 통해 도주를 막았다. 한 자료에 따르면 아우펜베르크는 3,000명의 포로, 16문의 대포, 그리고 보급 창고를 잃었다.[11] 다른 자료에서는 오스트리아군이 총 2,400명 중 1,000명의 포로와 4문의 대포를 잃었다고 한다. 프랑스군은 9,600명의 병사 중 100명만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12]

같은 날, 우디노 여단은 라인강을 수레 다리로 건너 펠트키르히 북쪽으로 이동했다. 호체는 펠트키르히 밖에서 우디노를 공격했으며, 병력은 동등했다. 전투는 장 토마 기욤 로르주가 마세나가 보낸 지원군과 함께 도착할 때까지 균형을 이루었다. 저녁 무렵, 우디노는 기병 돌격을 이끌어 호체를 도시 안으로 몰아냈다. 프랑스군은 1,000명의 오스트리아군 병사와 4문의 대포를 포획했다.[13] 다른 자료에서는 프랑스군의 사상자가 9,000명 중 200명, 오스트리아군의 사상자는 6,000명 중 1,100명이라고 밝혔다.[12] 모든 프랑스군이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생 고타르 고개에서 진군하던 루이 앙리 루아종의 여단은 디젠티스 근처에서 오스트리아-스위스군에 의해 심하게 공격받았다.[13]

4. 2. 2차 펠트키르히 전투

1799년 3월 초, 마세나스위스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초기 성공을 거두었으나, 프랑스 총재정부는 3월 9일 그를 주르당의 지휘 하에 두었다. 이에 불만을 품은 마세나는 사임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결국 지휘권을 유지했다.[16]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세나는 펠트키르히의 오스트리아 방어선을 정찰했고, 오스트리아 지휘관 호체의 부재를 기회로 판단했다. 우디노 역시 펠트키르히 공격을 제안했으며, 3월 22일에는 주르당으로부터 공격 명령이 도착했다.[15]

마세나는 당초 브레겐츠에 대한 기만 공격과 함께 펠트키르히를 주력으로 공격할 계획이었으나, 계획보다 하루 빠른 1799년 3월 23일에 공격을 개시했다. 이로 인해 브레겐츠 기만 작전의 효과는 사라졌다. 공격은 우디노가 이끄는 부대와 마세나가 직접 지휘하는 부대를 포함하여 총 4개 열로 진행되었다.[18]

그러나 펠트키르히는 프란츠 젤라치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이 일 강을 따라 구축한 견고한 참호선과 요새로 방어하고 있었다.[19] 프랑스군은 여러 방향에서 공격을 시도했다. 일 강을 건너 방어선 뒤를 노리거나(노플레스 방면), 고지를 점령하려 하거나(블라젠베르크), 숲을 통해 접근하거나(성 미카엘 숲), 주요 도로를 따라 정면 돌파를 시도했지만, 젤라치치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병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모든 공격을 막아냈다. 특히 프랑스군의 주력 공격은 젤라치치 부대의 마지막 반격으로 격퇴되었다.[19] 전투 초반 프랑스군이 약 500명의 포로를 잡으며 잠시 우세를 점하는 듯했으나, 오스트리아군의 격렬한 사격과 돌을 던지는 저항에 부딪혀 결국 후퇴해야 했다.[21] 이 2차 펠트키르히 전투는 프랑스군의 명백한 패배로 끝났다.

4. 2. 1. 프랑스군의 공격 계획

1799년 3월 9일, 프랑스 총재정부는 여러 독립적인 군대를 운영하는 것의 비효율성을 인지하고 마세나주르당의 지휘 하에 두었다. 이에 격분한 마세나는 3월 16일 사임을 제출했으나, 정부의 확고한 결정에 결국 지휘권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의 갈등이 이후 며칠간 마세나를 다소 공격적인 성향으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16] 3월 19일까지 주르당의 군대는 마세나의 군대와 나란히 진격하고 있었고, 페리노가 이끄는 우익 사단은 보덴 호에 위치했다. 주르당은 마세나에게 브레겐츠에서 페리노와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15] 한편, 오스트리아의 카를 대공은 3월 20일 호체에게 포어아를베르크에서 10,000명의 병력을 차출하여 자신의 군대를 증원하라고 명령했다.[17]

마세나는 펠트키르히의 견고한 오스트리아 방어선을 정찰한 후, 호체의 부재를 공격 기회로 판단했다. 이전인 3월 15일 이전에 우디노가 펠트키르히 공격을 제안했으며, 3월 22일에는 주르당으로부터 펠트키르히를 공격하라는 명령이 도착했다.[15] 마세나는 올리비에 자크 자콥, 자작 드 샹트라이유(fr)에게 브레겐츠를 공격하는 척하여 오스트리아 군을 기만하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주력 부대로 펠트키르히를 직접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18]

German map: Treffen bei Feldkirch (Battle of Feldkirch)
1799년 3월 23일 펠트키르히 전투 지도. 북쪽 화살표 아래 오른쪽에 노플레스(Nofels)가 있고, 펠트키르히 바로 위 왼쪽에 블라젠베르크(Blasenberg) 언덕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세나는 계획된 공격일보다 하루 앞선 1799년 3월 23일에 공격을 개시했다. 이로 인해 브레겐츠에 대한 기만 작전은 효과를 잃게 되었다. 공격은 총 4개의 열로 진행되었으며, 이 중 하나는 우디노가, 다른 하나는 마세나가 직접 지휘했다.[18]

4. 2. 2. 오스트리아군의 방어

흑백 초상화: 흰색 군복을 입고 왼쪽 가슴에 훈장을 단 진지한 표정의 남성.
프란츠 젤라치치 – 승리자


펠트키르히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능력이 있고" "진정한 투지를 가진" 프란츠 젤라치치가 방어하고 있었다. 일 강에 위치한 이 마을은 주요 도로를 가로지르는 참호선과 그 뒤를 받치는 두 번째 방어선으로 보호되었다. 측면은 여러 개의 요새와 장애물로 방어력을 강화했다.[19] 젤라치치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은 총 5,500명 규모였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옐라치치 휘하 오스트리아군 병력 구성[19][20]
부대 종류세부 부대명규모
보병 연대카우니츠(Kaunitz) 제20연대제3대대
데 빈스(De Vins) 제37연대제3대대
그렌츠 보병페테르바르데이너(Peterwardeiner) 제9연대제3대대
성 조지(St. George) 제6연대제2대대
브로더(Broder) 제7연대제1대대
기병2개 중대
민병대지원 병력


4. 2. 3. 전투 결과



마세나는 4개 열로 공격을 시작했으며, 이 중 한 개 열은 우디노가, 다른 한 개 열은 마세나 자신이 직접 지휘했다.[18] 가장 좌익의 공격 부대는 이른 아침 노플레스 마을에서 일 강 하류를 건너 젤라치치의 방어선 뒤로 돌아가려 했으나 격퇴되었다. 좌익-중앙 부대는 블라젠베르크 고지를 공격했지만 역시 패배했다. 주요 도로 왼쪽에 있던 세 번째 부대는 성 미카엘 숲을 공격했으나 다른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실패했다. 마세나는 12개 대대를 동원하여 주요 도로로 돌격하는 동시에, 소규모 부대로 참호 측면을 우회하려 시도했다. 측면 공격 부대는 일부 진전을 보였으나 곧 교착 상태에 빠졌다.[19]

젤라치치는 수적으로 열세였던 5,500명의 병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방어에 성공했다. 마세나의 정면 공격은 실패했으며, 젤라치치 부대의 마지막 반격으로 프랑스군은 최종적으로 패배했다.[19] 전투 초반 프랑스군은 약 500명의 오스트리아군 포로를 잡으며 승기를 잡는 듯 보였으나, 오스트리아군의 격렬한 방어 사격과 심지어 돌을 던지는 저항에 부딪혀 결국 후퇴했다.[21]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명백한 패배로 끝났다.

5. 전투의 결과와 영향

펠트키르히 전투는 오스트리아군의 성공적인 방어로 끝났으나,[20] 거의 동시에 다른 전선에서 주르당이 지휘하던 프랑스 다뉴브 군이 오스트라흐 전투와 슈토카흐 전투에서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에게 연이어 패배하면서 전략적 중요성은 크게 줄어들었다.[18] 이 패배로 프랑스군은 엥가딘 계곡 등 일부 점령지에서 철수해야 했으며,[18] 마세나가 주르당을 대신해 다뉴브 군의 지휘를 맡는 등 지휘 체계 개편이 이루어졌다.[18][22] 오스트리아 측에서는 방어를 성공시킨 옐라치치가 공로를 인정받았다.[23] 결국 펠트키르히에서의 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스위스 전역과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초기 국면에서 프랑스군의 후퇴를 막지는 못했다.

5. 1. 스위스 전역에 미친 영향

펠트키르히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은 900명이 사망, 부상, 실종되었다.[20] 프랑스군의 사상자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리는데, 한 자료는 1,500명으로 기록했지만,[18] 다른 두 자료에서는 3,000명으로 추산했다.[19][20]

펠트키르히 전투 직후인 3월 24일, 마세나주르당이 지휘하는 프랑스 다뉴브 군이 3월 21일 오스트라흐 전투에서 카를 대공에게 패배하여 후퇴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는 펠트키르히에서의 전술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으로 큰 의미를 갖기 어렵게 만들었다. 설상가상으로 주르당의 다뉴브 군은 3월 25일 슈토카흐 전투에서도 다시 패배했다. 주르당 군의 전면 후퇴로 카를 대공이 취리히를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상황이 되자, 마세나는 르쿠르브에게 엥가딘 계곡을 포기하고 철수하라고 명령했다.[18]

이러한 상황 변화 속에서 지휘 체계에도 변동이 있었다. 4월 5일, 마세나는 패배한 주르당을 대신하여 다뉴브 군 전체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그는 기존에 지휘하던 헬베티아 군의 지휘권을 메스나르에게 넘기고 스트라스부르로 이동했으며, 이후 페리노가 메스나르를 교체했다.[18] 한편, 펠트키르히 전투에서의 공로로 우디노는 사단장으로 승진하는 영예를 안았다.[22] 오스트리아 측에서는 전투를 성공적으로 방어한 옐라치치가 1799년 4월 6일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기사십자 훈장을 받으며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이후 1800년 10월 29일에 펠트마르샬-로이테난트로 승진했으며, 1802년 1월 1일에는 제62 보병연대의 연대장(인하버)으로 임명되었다.[23]

5. 2.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에 미친 영향

오스트리아군은 900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거나 실종되었다.[20] 프랑스군의 사상자에 대해서는 한 자료에서 1,500명으로 기록했지만,[18] 다른 두 자료에서는 3,000명으로 추산했다.[19][20]

펠트키르히 전투 자체는 오스트리아의 승리였으나, 전쟁 전체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전투 다음 날인 3월 24일, 마세나주르당이 지휘하는 프랑스 ''다뉴브 군''이 3월 21일 오스트라흐 전투에서 샤를 대공에게 패배하여 후퇴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이는 펠트키르히에서의 방어 성공이 전략적으로 큰 의미를 갖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을 뜻했다. 게다가 주르당의 ''다뉴브 군''은 3월 25일 슈토하 전투에서도 다시 패배했다. 주르당의 군대가 전면 후퇴하면서 샤를 대공은 취리히를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이에 마세나는 르쿠르브에게 엥가딘 계곡을 포기하라고 명령했다.[18]

이후 지휘 체계에도 변화가 있었다. 4월 5일, 마세나는 주르당을 대신하여 ''다뉴브 군''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그는 메스나르에게 ''헬베티아 군''의 지휘를 임시로 맡기고 스트라스부르로 떠났으며, 곧 페리노가 메스나르를 대신하여 지휘권을 인수했다. 한편, 펠트키르히 전투에서 활약한 우디노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사단장으로 승진했다.[22] 오스트리아 측에서는 뛰어난 방어전을 펼친 옐라치치가 1799년 4월 6일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기사십자 훈장을 받았다. 그는 이후 1800년 10월 29일에 펠트마르샬-로이테난트(중장)로 승진했으며, 1802년 1월 1일에는 제62보병연대의 인하버(연대장)로 임명되었다.[23]

6. 한국의 관점과 교훈

주어진 원본 소스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Volume V The Armies Of The Rhine In Switzerland, Holland, Italy, Egypt, and The Coup D'Etat of Brumaire (1797–1799) Pickle Partners Publishing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Eagles Over the Alps: Suvarov in Italy and Switzerland, 1799 The Emperor's Press
[6] 서적
[7] 서적 Warfare in the Age of Napoleon: The Egyptian and Syrian Campaigns and the Wars of the Second and Third Coalitions, 1798–1805 Leonaur Ltd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The Napoleonic Wars Data Book Greenhill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웹사이트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l Austrian General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ary and Napoleonic Wars, 1792–1815: Jellachich von Buzim, Franz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13-02-13
[24] 서적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Volume V The Armies Of The Rhine In Switzerland, Holland, Italy, Egypt, and The Coup D'Etat of Brumaire (1797–1799) Pickle Partner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