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티어는 에스와티니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는 에스와티니의 4개 행정 지역에 따라 방언이 구분되며, 표준적인 변종과 비표준적인 변종이 존재한다. 특히 에스와티니 남부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푸말랑가 지역의 방언은 줄루어의 영향을 받거나 표준 스와티어와 다른 특징을 보인다. 스와티어는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높음, 중간, 낮음의 세 가지 성조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동사, 그리고 접두사와 접미사를 활용한 다양한 문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자유 소프트웨어 번역 프로젝트를 통해 소프트웨어 번역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와티니의 언어 - 총가어
총가어는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의 일종으로, 199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에 공식 언어로 등록되었으며, 다양한 방언과 반투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에스와티니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소토어
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서 사용되는 남부 반투어의 일종으로, 세소토어를 지칭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공용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언어 - 츠와나어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바통투어족 언어로, 19세기 초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고유한 음운 체계와 문법을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현대 철자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스와티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와지어 |
고유 이름 | siSwati |
발음 | /sísʷaːtʼi/ |
사용 국가 | 에스와티니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모잠비크 |
사용자 수 | 1차 화자: 약 231만 4500명 (2013–2019년) 2차 화자: 240만 명 (2013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
어파 | 대서양콩고어파 |
어군 | 볼타콩고어군 |
어지군 | 베누에콩고어군 |
어계 | 반투제어군 |
하위 어계 | 남부반투제어군 |
어족 | 반투어군 |
하위 어족 | 남부반투어군 |
어군 | 응구니어군 |
하위 어군 | 테켈라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로마자 (스와지 문자) 스와지 점자 디테마 차 디노코 |
사용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스와티니 |
언어 코드 | |
ISO 639-1 | ss |
ISO 639-2 | ssw |
ISO 639-3 | ssw |
링구아스피어 | 99-AUT-fe |
글롯토로그 | swat1243 |
기타 | |
수화 | 스와지 수화 |
2. 방언
에스와티니에서 사용되는 스와티어는 국가의 4개 행정 지역인 호호(Hhohho), 루봄보, 마니지니, 시셀웨니(Shiselweni)에 해당하는 4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스와티어에는 적어도 두 가지 변종이 있는데, 하나는 주로 국가의 북부, 중부, 남서부에서 사용되는 표준적인 권위 있는 변종이고, 다른 하나는 그 외 지역에서 사용되는 권위가 덜한 변종이다.
극남부, 특히 흘랑가노(Nhlangano)와 흘라티쿨루(Hlatikhulu)와 같은 도시에서는 이지줄루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언어 변종이 사용된다. 이 변종을 사용하는 남부 지역 사람들을 포함한 많은 스와지인들(emaSwatiss 복수, liSwatiss 단수)은 이것을 '적절한' 스와티어로 간주하지 않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주로 음푸말랑가(Mpumalanga) 주와 소웨토(Soweto)에 거주)의 상당수의 스와지어 사용자들은 에스와티니 스와지어 사용자들에 의해 비표준적인 형태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에스와티니 남부의 변종과 달리 음푸말랑가 변종은 줄루어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표준 스와티어에 더 가까운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 음푸말랑가 변종은 독특한 억양과 어쩌면 독특한 높낮이 패턴으로 구분된다. 음푸말랑가 스와티어의 억양 패턴은 종종 스와지어 사용자들에게 불협화음으로 여겨진다. 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변종의 스와티어는 스와티어와 가까운 다른 남아프리카 공화국 언어의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간주된다.
표준적인 권위 있는 스와티어의 특징은 느리고 강하게 강조된 발음의 왕실 양식으로, 듣는 사람들에게 '감미로운' 느낌을 준다.
3. 음운
3. 1. 모음
wikitable
앞모음 | 뒤모음 | |
---|---|---|
높은 모음 | i | u |
중간 모음 | ɛ~e | ɔ~o |
낮은 모음 | a |
3. 2. 자음
스와질어는 폐쇄음의 조음 위치를 구분하지 않는다. 치경음(IPA: [ǀ])이거나 치경음/치조음(IPA: [ǃ])일 수 있다. 그러나 스와질어는 5개 또는 6개의 조음 방법과 발성을 구분하는데, 무성음, 유성음, 유기음, 비음, 유기 비음이 포함된다.[2]/ts/, /k/, /ŋɡ/ 자음은 각각 두 가지 소리를 갖는다. /ts/와 /k/는 모두 격렬음인 [tsʼ]와 [k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인 형태는 [tsʰ]와 [k̬]이다. /ŋɡ/는 어근의 시작 부분에서는 [ŋ]으로, 단어 내부에서는 일반적으로 [ŋɡ]로 다르게 나타난다.[2][3][4]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찰흡착음/ 치경흡착음 | 측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무성음 | 비음 | 무성음 | 비음 | ||||||
흡착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숨소리 | |||||||||
비음 | |||||||||
파열음 | 방출음 | ||||||||
유성음 | |||||||||
숨소리 | |||||||||
내파음 | colspan="2" | | ||||||||
파찰음 | 무성음 | ||||||||
유성음 | |||||||||
마찰음 | 무성음 | ||||||||
유성음 | |||||||||
접근음 | colspan="2" | |
3. 3. 성조
스와티어는 높음, 중간, 낮음의 세 가지 성조를 지닌다.[5] 일반적인 표기법에는 성조가 표시되지 않는다.[5] 전통적으로는 높음과 중간 성조만 음소적으로 존재하고, 낮음 성조는 저하 자음에 의해 조건화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Bradshaw (2003)는 세 가지 성조 모두 기저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음조에 작용하는 음운론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비높음 음조를 가진 어근이 기저적으로 높음 음조를 가진 접두사를 받으면, 이 높음 음조가 전전최종모음(혹은 전전최종모음의 음절 첫소리가 저하 자음일 경우 전최종모음)으로 이동한다.
- 높음 확산: 두 높음 음조 사이의 모든 음절은 저하 자음이 개입하지 않는 한 높음이 된다. 이 현상은 단어 내부뿐만 아니라 동사와 목적어 사이의 단어 경계를 넘어서도 발생한다.
저하 자음은 를 제외한 모든 유성 파열음이다. 의 동소변이체 는 일부 규칙에서는 저하 자음으로 작용하지만 다른 규칙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5]
4. 문법
4. 1. 명사
스와티어 명사 (libitoss)는 접두사 (sicaloss)와 어근 (umsukass)의 두 가지 필수 요소로 구성된다.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사를 명사류로 그룹화할 수 있으며, 다른 반투어족 언어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명사의 성과 수는 접두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다음은 단수-복수 쌍에 따라 정렬된 스와티어 명사류의 개요이다.
명사류 | 단수 | 복수 |
---|---|---|
1/2 | um(u)- | ba-, be- |
1a/2a | Ø- | bo- |
3/4 | um(u)- | imi- |
5/6 | li- | ema- |
7/8 | s(i)- | t(i)- |
9/10 | iN- | tiN- |
11/10 | lu-, lw- | tiN- |
14 | bu-, b-, tj- | |
15 | ku- | |
17 | ku- |
4. 2. 동사
스와티어의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에 따라 접사를 사용한다. 인칭 및 계급에 따라 접두사와 중간접사가 달라진다.인칭/계급 | 접두사 | 중간접사 |
---|---|---|
1인칭 단수 | ngi- | -ngi- |
2인칭 단수 | u- | -wu- |
1인칭 복수 | si- | -si- |
2인칭 복수 | ni- | -ni- |
1 | u- | -m(u)- |
2 | ba- | -ba- |
3 | u- | -m(u)- |
4 | i- | -yi- |
5 | li- | -li- |
6 | a- | -wa- |
7 | si- | -si- |
8 | ti- | -ti- |
9 | i- | -yi- |
10 | ti- | -ti- |
11 | lu- | -lu- |
14 | bu- | -bu- |
15 | ku- | -ku- |
17 | ku- | -ku- |
재귀 | -ti- |
동사의 접미사는 주어와 목적어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며, 위 표와 동일한 규칙을 따른다.
5. 문자
== 모음 ==
스와티어에는 5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a는 영어의 ''father''에서 ''a''와 같이 발음한다. e는 프랑스어 ''très''에서 ''è''와 같이 발음한다. i는 영어의 ''see''에서 ''ee''와 같이 발음한다. o는 영어의 ''for''에서 ''o''와 같이 발음한다. u는 영어의 ''too''에서 ''oo''와 같이 발음한다.
- 아 - [a]
- 에 - [ɛ~e]
- 이 - [i]
- 오 - [ɔ~o]
- 우 - [u]
== 자음 ==
스와티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6]
- b: [ɓ]
- bh: [bʱ]
- c: [ᵏǀ]
- ch: [ᵏǀʰ]
- d: [dʱ]
- dl: [ɮ]
- dv: [dv]
- dz: [dz]
- f: [f]
- g: [gʱ]
- gc: [ᶢǀʱ]
- h: [h]
- hh: [ɦ]
- hl: [ɬ]
- j: [dʒʱ]
- k: [kʼ, k̬]
- kh: [kʰ]
- kl: [kɬ]
- l: [l]
- m: [m]
- mb: [mb]
- n: [n]
- nc: [ᵑǀ]
- nch: [ᵑǀʰ]
- ndl: [ⁿɮ]
- ng: [ŋ, ŋɡ]
- ngc: [ᵑǀʱ]
- nhl: [ⁿɫ]
- p: [pʼ]
- ph: [pʰ]
- q: [kʼ, k̬]
- s: [s]
- sh: [ʃ]
- t: [tʼ]
- tf: [tf]
- th: [tʰ]
- tj: [tʃʼ]
- ts: [tsʼ, tsʰ]
- v: [v]
- w: [w]
- y: [j]
- z: [z]
- zh: [ʒ]
- dvʷ: [dvʷ]
- kʰʷ: [kʰʷ]
- lʷ: [lʷ]
- ᵑkʰʷ: [ᵑkʰʷ]
- ᵑ(g)ʷ: [ᵑ(g)ʷ]
- sʷ: [sʷ]
- vʷ: [vʷ]
5. 1. 모음
스와티어에는 5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a는 영어의 ''father''에서 ''a''와 같이 발음한다. e는 프랑스어 ''très''에서 ''è''와 같이 발음한다. i는 영어의 ''see''에서 ''ee''와 같이 발음한다. o는 영어의 ''for''에서 ''o''와 같이 발음한다. u는 영어의 ''too''에서 ''oo''와 같이 발음한다.- 아 - [a]
- 에 - [ɛ~e]
- 이 - [i]
- 오 - [ɔ~o]
- 우 - [u]
5. 2. 자음
스와티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6]- b: [ɓ]
- bh: [bʱ]
- c: [ᵏǀ]
- ch: [ᵏǀʰ]
- d: [dʱ]
- dl: [ɮ]
- dv: [dv]
- dz: [dz]
- f: [f]
- g: [gʱ]
- gc: [ᶢǀʱ]
- h: [h]
- hh: [ɦ]
- hl: [ɬ]
- j: [dʒʱ]
- k: [kʼ, k̬]
- kh: [kʰ]
- kl: [kɬ]
- l: [l]
- m: [m]
- mb: [mb]
- n: [n]
- nc: [ᵑǀ]
- nch: [ᵑǀʰ]
- ndl: [ⁿɮ]
- ng: [ŋ, ŋɡ]
- ngc: [ᵑǀʱ]
- nhl: [ⁿɫ]
- p: [pʼ]
- ph: [pʰ]
- q: [kʼ, k̬]
- s: [s]
- sh: [ʃ]
- t: [tʼ]
- tf: [tf]
- th: [tʰ]
- tj: [tʃʼ]
- ts: [tsʼ, tsʰ]
- v: [v]
- w: [w]
- y: [j]
- z: [z]
- zh: [ʒ]
- dvʷ: [dvʷ]
- kʰʷ: [kʰʷ]
- lʷ: [lʷ]
- ᵑkʰʷ: [ᵑkʰʷ]
- ᵑ(g)ʷ: [ᵑ(g)ʷ]
- sʷ: [sʷ]
- vʷ: [vʷ]
5. 3. 이중문자
6. 어휘
6. 1. 월 이름
wikitable영어 | 스와티어/스와지어 |
---|---|
1월 | nguBhimbidvwaness |
2월 | yiNdlovanass |
3월 | yiNdlovulenkhuluss |
4월 | nguMabasass |
5월 | yiNkhwekhwetiss |
6월 | yiNhlabass |
7월 | nguKholwaness |
8월 | iNgciss |
9월 | iNyoniss |
10월 | iMphalass |
11월 | Lwetiss |
12월 | yiNgongoniss |
7. 예문
모든 인간은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8]
Bantfu bonkhe batalwa bakhululekile balingana ngalokuphelele ngesitfunti nangemalungelo. Baphiwe ingcondvo nekucabanga kanjalo nembeza ngakoke bafanele batiphatse futsi baphate nalabanye ngemoya webuzalwane.ss[7]
8. 소프트웨어
스와질란드어는 자유 소프트웨어 번역 프로젝트를 통해 번역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스와티어판 OpenOffice.org와 모질라용 스와티어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NA Approves South African Sign Language as the 12th Official Language - Parliament of South Africa
https://www.parliame[...]
[2]
서적
Handbook of siSwati
J.L. van Schaik
1991
[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wazi (Siswati) Languag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Linguistics
1991
[4]
서적
A Grammar of the Swati Language: siSwati
J.L. van Schaik
1976
[5]
학술지
Consonant-tone interaction in Siswati
http://www.dbpia.co.[...]
2019-05-11
[6]
웹사이트
Swati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s://omniglot.com[...]
2021-07-10
[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Siswati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20-05-28
[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en.wikisourc[...]
2018-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