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게이트 (장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게이트는 공상 과학 영화, TV 시리즈 등에서 등장하는 가상의 장치로, 멀리 떨어진 두 지점 사이에 웜홀을 생성하여 순간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장치는 영화 《스타게이트》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여러 시리즈에서 발전된 설정을 보여준다. 스타게이트는 링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39개의 문자와 9개의 셰브론을 사용하여 주소를 지정하고 웜홀을 생성한다. 웜홀을 통해 물질은 분해 및 재구성을 거쳐 이동하며, 웜홀의 지속 시간은 에너지에 따라 달라진다. 영화 소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시각 효과를 통해 웜홀을 구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물건 - 모노리스 (스페이스 오디세이)
모노리스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1:4:9 비율의 검은색 직육면체 기둥 형태 인공물로, 인간 이외의 지적 생명체의 도구로서 생물의 진화 촉진, 멸종 유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인류의 진화와 우주의 비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 가공의 물건 - 액션가면
액션가면은 만화 《짱구는 못말려》에 등장하는 극중극 히어로로, 신노스케가 동경하는 존재이며, 액션 빔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다양한 관련 상품이 출시되었다. - 스타게이트 - 스타게이트 SG-1
스타게이트 SG-1은 영화 스타게이트의 설정을 기반으로, 스타게이트 사령부의 SG-1 팀이 스타게이트를 통해 외계 행성을 탐험하며 고아울드와 같은 외계 세력에 맞서는 모험과 갈등을 그린 SF TV 시리즈이다. - 스타게이트 - 스타게이트: 진실의 상자
《스타게이트 SG-1》의 오라이 아크를 마무리하는 2008년 DVD 출시 영화 《스타게이트: 진실의 상자》는 SG-1 팀이 오라이 은하계에서 오라이 전사들의 십자군 원정을 막을 수 있는 유물인 '진실의 상자'를 찾는 여정을 그린다. - 웜홀을 소재로 한 작품 - 시간의 주름
《시간의 주름》은 매들린 렝글의 SF 판타지 소설로, 시간 여행을 소재로 하며, 순응과 개성, 선과 악의 대립 등을 다루며, 1963년 뉴베리 메달을 수상했다. - 웜홀을 소재로 한 작품 - 스타게이트: 진실의 상자
《스타게이트 SG-1》의 오라이 아크를 마무리하는 2008년 DVD 출시 영화 《스타게이트: 진실의 상자》는 SG-1 팀이 오라이 은하계에서 오라이 전사들의 십자군 원정을 막을 수 있는 유물인 '진실의 상자'를 찾는 여정을 그린다.
스타게이트 (장치) | |
---|---|
스타게이트 | |
![]() | |
개요 | |
출처 | 스타게이트 |
장르 | 과학 소설 |
유형 | 웜홀 |
용도 | 항성 간 여행 |
첫 등장 | 스타게이트 (1994년) |
2. 개념
스타게이트의 기본 개념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최소 두 개의 장치를 설치하고 활성화했을 때, 각 장치의 고리가 두 위치 사이를 잇는 물리적이고 단일한 통로, 즉 문틀과 같은 웜홀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이 개념은 장편 영화 《스타게이트》의 작가인 딘 데블린과 롤랜드 에머리히가 발전시켰다. 이와 유사한 장치는 이전 SF 소설에서도 등장한 바 있다.[4]
영화와 TV 시리즈에 묘사된 스타게이트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이 장치의 작동 방식은 이론 천체물리학, 특히 블랙홀과 웜홀에서 영감을 얻었다. 웜홀은 종종 공상 과학 소설에서 우주를 가로지르는 "지름길"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존재할 수는 있지만, 인간을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5] 웜홀은 블랙홀과 같이 과도한 중력에 의해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 잠재적인 여행자를 파괴할 수 있다.[6]
3. 역사 및 설정
3. 1. 영화
영화 《스타게이트》는 1928년, 캐서린 랭포드가 아버지인 고고학자 폴이 기자에서 외계 장치(스타게이트)를 발견하고 발굴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7] 1939년, 미국 함선 ''아킬레스''는 스타게이트가 나치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으로 가져왔다.[7] 이후 미국 공군은 스타게이트를 워싱턴 D.C.를 포함한 여러 장소에 보관했다.[8] 스타게이트는 1940년대에 잠재적인 무기로 연구된 후 보관되었다.
영화는 빠르게 1994년으로 넘어가고, 이집트학 이론으로 비웃음을 산 고고학자 다니엘 잭슨을 캐서린 랭포드가 샤이엔 산의 최고 기밀 군사 기지로 데려가 덮개석에 있는 독특한 이집트 상형 문자를 해독하도록 지시한다. 다니엘 잭슨은 해독할 수 없는 상형 문자가 실제 단어가 아니라 별자리의 이미지라는 것을 깨닫고, 6개의 별자리를 식별하면 우주의 위치를 추론할 수 있음을 알아낸다. 그는 스타게이트 자체를 보고, 자신이 이해한 새로운 지식을 사용하여 7번째 기호(경로를 추론할 수 있는 원점)를 식별하고, 게이트가 처음으로 열린다.
당시에는 지구와 영화에서 방문한 아비도스 행성, 그리고 알려진 우주의 반대편에 있는 수십억 광년 떨어진 칼리암 은하에 위치해 있다고 잘못 믿어졌던 두 개의 스타게이트만 존재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스타게이트 SG-1》 시리즈가 시작될 때, 아비도스 유적에 새겨진 많은 추가 유효 좌표가 발견되었다. 수백만 년에 걸쳐 축적된 별의 이동 때문에, 사만다 카터가 지구의 다이얼링 시스템을 이 이동을 고려하여 개편하기 전까지는 다른 주소를 걸 수 없었다. 그 후, 방대한 네트워크의 연결이 가능해졌다.
3. 2. TV 시리즈
스타게이트 SG-1에서는 고아울드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미국 공군이 SGC를 설립했다. SGC는 스타게이트를 통해 탐험 임무를 수행하며, 주요 팀인 SG-1의 모험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
고아울드가 스타게이트 네트워크 건설자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고대인이라는 멸종된 종족의 유물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SG-1 시즌 6에서 다니엘 잭슨은 아틀란티스가 고대인의 잃어버린 도시임을 발견하고, 시즌 7에서는 이를 찾는 과정이 그려진다. 스타게이트 아틀란티스는 SG-1 시즌 8과 동시에 시작되며, 페가수스 은하에서 아틀란티스가 발견되고, 8개의 셰브론을 통해 원정대가 파견된다. 그들은 새로운 스타게이트 네트워크와 고대인의 숙적인 Wraith를 만나게 된다. 진실의 방주에서는 상승하기 전 고대인인 아멜리우스가 스타게이트와 웜홀 여행의 개념을 창시했다는 것이 밝혀진다.[1]
스타게이트 유니버스에서는 은하수 은하의 모델보다 앞선 세 번째 세대의 스타게이트가 발견되었다. 아홉 번째 셰브론을 해제하여 고대 연구선 ''데스티니''가 발견되었고, 이 배는 수백만 년 동안 무인으로 우주를 횡단해 왔다. 고대인들은 스타게이트 시드 선박을 통해 우주에 스타게이트를 배치하고, ''데스티니''를 통해 각 행성의 데이터를 수집하려 했다. 이 "프로토타입" 스타게이트는 제한된 범위를 가지며, 다이얼링 시 링 전체가 회전하고, 웜홀의 사건 지평선은 은색으로 나타난다. 행성 DHD는 존재하지 않으며, ''데스티니'' 탐험가들은 고대 리모컨을 사용하여 게이트에 주소를 다이얼한다.[1]
4. 작동 방식
스타게이트는 멀리 떨어진 두 지점 사이에 웜홀을 생성하여, 마치 문을 통과하는 것처럼 순식간에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개념은 이론 물리학의 블랙홀과 웜홀 이론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실제로 인간이 안전하게 웜홀을 통과할 수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5]
스타게이트는 행성 간 및 은하 간 여행을 가능하게 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어떤 스타게이트와도 연결될 수 있다.[9] 목적지를 선택하려면 원주를 따라 배치된 9개의 "셰브론"에 7~9개의 기호를 순서대로 입력해야 한다. 이 "주소"는 다음 기호가 올바르게 정렬될 때까지 링을 회전시켜 선택하며, 다음 셰브론과 연결된다. 8번째 셰브론은 다른 은하를, 처음 6개의 셰브론은 해당 은하 내의 공간점을 삼각 측량하여 물리적 위치를 나타낸다.[12] 7번째는 특정 게이트에 고유한 기호로 출발점을, 9번째는 특별한 목적지를 위해 예약되어 있다.
thumb.]]
일반적으로 각 스타게이트에는 링에 새겨진 기호와 동일한 기호가 새겨진 제어판(DHD)이 있어, 이 기호를 눌러 게이트에 전원을 공급하고 내부 링을 회전시켜 주소를 입력한다. 링을 수동으로 각 위치로 강제로 이동하여 게이트를 다이얼할 수도 있다.
유효한 주소를 입력하면 스타게이트는 자체와 상대 장치 사이에 안정적인 웜홀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용돌이는 "Kawoosh"라고 불리며, 닿는 모든 물질을 분자 수준에서 소멸시킨다.[23] 이후 스타게이트 내부 링 안에 "사건의 지평선"이라 불리는 수직적인 물웅덩이 모양의 포털이 나타나며, 이 포털을 통해 물질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단방향 이동만 가능하다.[25]
스타게이트 웜홀을 통과하는 것은 마치 공간 터널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시각 효과로 묘사되며, 평균 이동 시간은 3.2초이다.[26] 웜홀은 최대 38분 동안 유지될 수 있다.[28]
4. 1. 구조
스타게이트는 직경 6.7m, 무게 29ton의 원형 장치이다. 외부 고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9개의 셰브론(chevron)이 있고, 내부 고리에는 39개의 문자가 양각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재질은 나콰다라는 가상의 물질이며, 초전도체 역할을 한다.[41]4. 2. 주소 체계
스타게이트 주소는 7개(우리 은하), 8개(페가수스 은하) 또는 9개(데스티니)의 문자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각 문자는 특정한 별자리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목적지의 좌표를 설정한다.[11]우리 은하의 스타게이트는 39개의 문자를 사용하며, 이 중 6개는 도착 지점을 나타내는 좌표이고 나머지 1개는 출발 지점을 나타낸다. 지구를 나타내는 문자는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
1 | -- | 기원 문자 (지구) | 14 | 현미경자리 | 27 | 황소자리 | ||
2 | 술잔자리 | 15 | 염소자리 | 28 | 마차부자리 | |||
3 | 처녀자리 | 16 | 남쪽물고기자리 | 29 | 에리다누스자리 | |||
4 | 목자자리 | 17 | 조랑말자리 | 30 | 오리온자리 | |||
5 | 센타우루스자리 | 18 | 물병자리 | 31 | 큰개자리 | |||
6 | 천칭자리 | 19 | 페가수스자리 | 32 | 외뿔소자리 | |||
7 | 뱀자리 | 20 | 조각가자리 | 33 | 쌍둥이자리 | |||
8 | 직각자자리 | 21 | 물고기자리 | 34 | 바다뱀자리 | |||
9 | 전갈자리 | 22 | 안드로메다자리 | 35 | 살쾡이자리 | |||
10 | 남쪽왕관자리 | 23 | 삼각형자리 | 36 | 게자리 | |||
11 | 방패자리 | 24 | 양자리 | 37 | 육분의자리 | |||
12 | 궁수자리 | 25 | 페르세우스자리 | 38 | 작은사자자리 | |||
13 | 독수리자리 | 26 | 고래자리 | 39 | 사자자리 |
페가수스 은하의 스타게이트는 36개의 문자를 사용하며, 8개의 주소 중 6개는 도착 지점 좌표, 1개는 '은하계의 지역 번호', 1개는 출발 지점을 나타낸다. 36개 문자로 1,168,675,200개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문자는 아래 표와 같다.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
1 | 13 | 25 | 살마(Salma) | |||||
2 | 14 | 26 | ||||||
3 | 알루라(Alura) | 15 | 27 | |||||
4 | 조각칼자리? | 16 | 28 | |||||
5 | 17 | 29 | ||||||
6 | 에크루미그(Ecrumig) | 18 | 30 | |||||
7 | 궁수자리? | 19 | 수비도(기원 문자)† | 31 | ||||
8 | 20 | 르데이(Rdehi) | 32 | 글리틴(Gilltin) | ||||
9 | 지구 | 21 | 33 | |||||
10 | 22 | 34 | ||||||
11 | 23 | 35 | ||||||
12 | 아라미(Arami) | 24 | 36 |
데스티니의 스타게이트는 9개의 주소를 사용하며, 36개의 문자로 1,168,675,200개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 마지막 문자는 마지막 셰브론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문자는 모스 부호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위치 | 문자 | 별자리 |
---|---|---|---|---|---|---|---|---|---|---|---|
1 | ![]() | A | 10 | ![]() | J | 19 | ![]() | S | 28 | ![]() | 2 |
2 | ![]() | B | 11 | ![]() | K | 20 | ![]() | T | 29 | ![]() | 3 |
3 | ![]() | C | 12 | ![]() | L | 21 | ![]() | U | 30 | ![]() | 4 |
4 | ![]() | D | 13 | ![]() | M | 22 | ![]() | V | 31 | ![]() | 5 |
5 | ![]() | E | 14 | ![]() | N | 23 | ![]() | W | 32 | ![]() | 6 |
6 | ![]() | F | 15 | ![]() | O | 24 | ![]() | X | 33 | ![]() | 7 |
7 | ![]() | G | 16 | ![]() | P(기원 문자) | 25 | ![]() | Y | 34 | ![]() | 8 |
8 | ![]() | H | 17 | ![]() | Q | 26 | ![]() | Z | 35 | ![]() | 9 |
9 | ![]() | I | 18 | ![]() | R | 27 | ![]() | 1 | 36 | ![]() | 0 |
4. 3. 다이얼링 및 웜홀 생성
스타게이트를 작동시키려면 다이얼 홈 장치(DHD)를 사용하거나, 내부 링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DHD는 둥근 경사형 제어판이 있는 받침대 모양의 장치로, 윗부분에 두 개의 동심원 모양 "키"와 중앙에 반투명한 빨간색(은하수) 또는 파란색(페가수스) 반구가 있다. 이 키들은 스타게이트 가장자리에 있는 기호들을 나타내며, 여행자는 이 키를 눌러 목적지 주소를 만든다. 중앙 반구는 "Enter" 키 역할을 하여, 목적지가 입력되면 스타게이트를 활성화시킨다.[19]
아틀란티스 DHD는 실제 DHD보다는 지구의 다이얼링 컴퓨터와 더 비슷하며, 일련의 크리스탈 패널처럼 생겼다. 특정 게이트 주소를 차단할 수 있으며,[20] 다이얼링 시퀀스 동안 여덟 번째 셰브론을 다이얼할 수 있는 추가 제어 크리스탈이 있다. 이것은 지구를 다이얼할 수 있는 페가수스 은하의 유일한 DHD이다.[21] 퍼들 점퍼에도 유사한 DHD가 사용되며, 사용된 기호 세트는 퍼들 점퍼가 있는 은하에 해당한다. Wraith는 다트라고 불리는 소형 우주선을 통해 스타게이트로 이동하며, 고대 함선과 유사하게 원격으로 다이얼하는 기능이 있다.[19]
모든 스타게이트는 원래 게이트 바로 앞에 위치하고 그것을 마주보는 자체 DHD를 가지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DHD는 손상되거나 손실되었다. DHD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스타게이트의 내부 링을 직접 돌려 주소를 선택하고 외부 전원을 사용해야 한다. 링은 에너지가 없으면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페가수스 은하 스타게이트에는 움직이는 링이 없어서 수동 다이얼링이 불가능하다. 스타게이트 사령부에 있는 것과 같은 다이얼링 컴퓨터를 통해 DHD를 에뮬레이션할 수도 있다. Goa'uld 및 아스가르드와 같은 여러 종족이 다양한 에피소드에서 원격 다이얼러를 사용했다.
유효한 주소가 입력되면, 스타게이트는 자체와 상대 장치 사이에 안정적인 웜홀을 만든다. 웜홀 생성 과정에는 약 2초 동안 지속되는 "물웅덩이" 포털이 만들어지고, 물이나 수은이 솟구치는 것과 비슷한 불안정한 에너지 소용돌이("Kawoosh")가 방출되면서 완료된다. 이 소용돌이는 스타게이트 힘의 상징으로, 등장인물들에게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22] 소용돌이와 닿는 모든 물질은 분자 수준에서 소멸된다.[23]
스타게이트의 실제 포털은 주소가 올바르게 입력될 때 내부 링 안에 나타난다. 이것은 "사건의 지평선"을 나타내는 수직적인 물웅덩이 모양을 하고 있다.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이나 웜홀 주변의 경계로, 그 너머에서는 특이점의 중력이 너무 강해 극복할 수 없다. 물의 특징적인 흔들림은 "사건의 지평선에서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24]
물질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단방향 이동만 가능하다. "뒤로" 이동하려는 시도는 여행자를 파괴한다.[25] 물질은 전체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한 후에야 스타게이트를 통해 전송되므로, 완전히 들어가기 전에는 사건의 지평선에서 회수할 수 있다.
스타게이트 웜홀을 통과하는 것은 공간 터널을 통과하는 시각 효과로 묘사된다. 스타게이트 간 평균 이동 시간은 3.2초이다.[26] 일반적인 상황에서 웜홀은 38분 이상 유지될 수 없다.[28]
5. 소품 제작
영화 《스타게이트》를 위해 두 개의 완전한 스타게이트 소품이 제작되었다. 하나는 강철과 유리 섬유로 만들어졌으며 지름은 약 6.71m이다. 이 주요 소품은 완전 자동화되어 회전하고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원형 기어와 8 마력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내부 링을 회전시켰다. 상단 7개의 셰브론은 레이저 펄스를 방출하여 게이트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했다.[37]
TV 시리즈에서는 시각 효과를 통해 스타게이트와 웜홀을 구현했다. 초기에는 실제 물탱크에 고압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했다. 이 영상은 컴퓨터 편집을 통해 스타게이트 중앙에 배치되었다.[37] 이후에는 디지털 방식으로 효과를 복제하여 유연성을 높였다.
비용 절감을 위해, 스타게이트가 열리는 장면은 종종 직접 보여주지 않고 소리와 빛 효과를 통해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 마일러 시트에 빛을 반사시켜 "이벤트 지평선" 효과를 만들었다.[39]
파란색 또는 녹색 배경을 사용하여 촬영한 후, 소용돌이 이미지나 컴퓨터 생성 "이벤트 지평선 잔물결 효과"를 덧씌웠다. 웜홀만 보이는 장면에서는 백라이트 화면을 사용하기도 했다.[39] 움직이거나 우주에 있는 스타게이트는 컴퓨터 생성 모델로 대체되기도 했다. 시리즈 프로듀서인 로버트 C. 쿠퍼는 현장에 스타게이트를 설치하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외부 게이트 장면은 완전히 시각 효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40]
참조
[1]
Youtube
Stargate: Instructional videos by Daniel Jackson
https://www.youtube.[...]
[2]
백과사전
STARGATES
http://www.sf-encycl[...]
Gollancz
2011-10-11
[3]
서적
2001 A Space Odyssey
The New American Library, Inc
[4]
웹사이트
Litigation Analysis: Oklahoma Western District Court 5:95cv00090
http://www.legalmetr[...]
LegalMetric
2010-09-07
[5]
학술지
A Quantum Constraint for the Physical Viability of Classical Traversable Lorentzian Wormholes
[6]
웹사이트
Black Holes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List
http://cosmology.ber[...]
2006-03-25
[7]
문서
Stargate: Continuum
[8]
방송에피소드
1969
[9]
방송에피소드
Children of the Gods
[10]
방송에피소드
The Torment of Tantalus
[11]
방송에피소드
Avenger 2.0
[12]
문서
Stargate
[13]
방송에피소드
The Fifth Race
[14]
방송에피소드
Rising
[15]
방송에피소드
Point of View
[16]
방송에피소드
Letters from Pegasus
[17]
방송에피소드
Camelot
[18]
웹사이트
Universe deals with ninth chevron
https://gateworld.ne[...]
GateWorld
2007-03-25
[19]
방송에피소드
The Lost Boys
[20]
방송에피소드
Before I Sleep
[21]
방송에피소드
Home
[22]
방송에피소드
The Scourge
[23]
방송에피소드
Prisoners
[24]
방송에피소드
Children of the Gods
[25]
방송에피소드
A Hundred Days
[26]
방송에피소드
Insiders
[27]
방송에피소드
Shades of Grey
[28]
방송에피소드
Thirty-Eight Minutes
[29]
방송에피소드
A Matter of Time
[30]
방송에피소드
First Strike
[31]
기타
DVD commentary for the Stargate film
[32]
기타
Stargate Magic: Inside The Lab. Special feature on Stargate SG-1 DVD Volume 37 (Lost City).
[33]
기타
Audio commentary for "The Ties That Bind", SG-1.
[34]
기타
Audio commentary for Stargate: Continuum
[35]
방송에피소드
Beachhead
[36]
episode
The Return
[37]
웹사이트
Production notes for ''Stargate SG-1''
http://www.rdanderso[...]
[38]
웹사이트
Wright on target: An Interview With Brad Wright
https://gateworld.ne[...]
2020-11-27
[39]
episode
The Pegasus Project (DVD Commentary)
[40]
웹사이트
Directing the Future: An Interview With Robert C. Cooper
https://gateworld.ne[...]
2020-11-27
[41]
문서
V자 모양 마크
[42]
문서
블랙홀의 바깥 경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