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털링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털링 수는 조합론과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수의 한 종류로, 제1종 스털링 수와 제2종 스털링 수로 구분된다. 제1종 스털링 수는 n개의 원소를 k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나타내며, 제2종 스털링 수는 n개의 원소를 k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나타낸다. 스털링 수는 점화식, 생성 함수, 역행렬 관계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며, 조합론적인 의미를 갖는다. 라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음의 정수 값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열 - 레비치비타 기호
레비치비타 기호는 n차원 공간에서 정의되는 완전 반대칭 텐서로, 순열의 부호에 따라 +1, -1, 0의 값을 가지며 벡터곱, 행렬식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순열 - 완전순열
완전순열은 집합의 순열 중 모든 원소가 원래 위치에 있지 않은 순열, 즉 고정점이 없는 순열을 의미하며, 크기가 n인 집합의 완전순열의 수는 준계승 !n으로 나타내고, 점화식 또는 포함-배제 원리로 계산하며, 몽모르 수라고도 불린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이항 정리
이항 정리는 이변수 다항식 (x + y)ⁿ을 전개하는 공식으로, 이항 계수를 사용하며, 조합론적 증명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이항 급수, 다항 정리 등 일반화된 형태가 존재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스털링 수 | |
---|---|
기본 정보 | |
종류 | 수열 |
분야 | 조합론 |
제1종 스털링 수 | |
기호 | s(n, k) 또는 c(n, k) |
정의 | n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을 k개의 순환 순열로 나누는 방법의 수 |
로마자 표기 | s(n, k) 또는 c(n, k) |
다른 이름 |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 |
관련 함수 | 계승 멱 |
제2종 스털링 수 | |
기호 | S(n, k) 또는 {nk} |
정의 | n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을 k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 |
로마자 표기 | S(n, k) 또는 {nk} |
관련 함수 | 지수 멱 |
2. 정의
스털링 수는 제1종 스털링 수와 제2종 스털링 수로 나뉜다.
제1종 스털링 수는 순열과 관련된 개념으로,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와 부호 있는 제1종 스털링 수로 정의된다.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는 n개 원소의 순열 가운데 정확히 m개 순환으로 구성된 순열들의 수를 나타내며, 부호 있는 제1종 스털링 수는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에 을 곱하여 정의한다.
제2종 스털링 수는 집합의 분할과 관련된 개념으로, n개 원소의 집합을 m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를 나타낸다.
2. 1. 제1종 스털링 수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unsigned 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영어)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12]
: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는 으로 쓰기도 하며, 대괄호를 쓰는 표기법은 도널드 커누스가 도입하였다.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는 ''n''개의 원소의 순열 가운데, 정확히 ''m''개의 순환(cycle)들로 구성된 순열들의 수이다. (이 경우, 고정점은 길이 1의 순환으로 간주한다.)
'''(부호 있는) 제1종 스털링 수'''((signed) 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영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의 값은 아래 표와 같다.
n \ m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0 | 1 | ||||||||||
1 | 0 | 1 | |||||||||
2 | 0 | 1 | 1 | ||||||||
3 | 0 | 2 | 3 | 1 | |||||||
4 | 0 | 6 | 11 | 6 | 1 | ||||||
5 | 0 | 24 | 50 | 35 | 10 | 1 | |||||
6 | 0 | 120 | 274 | 225 | 85 | 15 | 1 | ||||
7 | 0 | 720 | 1764 | 1624 | 735 | 175 | 21 | 1 | |||
8 | 0 | 5040 | 13068 | 13132 | 6769 | 1960 | 322 | 28 | 1 | ||
9 | 0 | 40320 | 109584 | 118124 | 67284 | 22449 | 4536 | 546 | 36 | 1 | |
10 | 0 | 362880 | 1026576 | 1172700 | 723680 | 269325 | 63273 | 9450 | 870 | 45 | 1 |
제1종 스털링 수(:en: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 는 상승 계승 멱 를 의 멱급수로 표현했을 때의 전개 계수로 정의된다.
:
이 정의에서는 이다. 또한, 편의상 로 정의한다. 제1종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제1종 스털링 수 중에서 간단한 수식으로 쓸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참고로, 는 이항 계수(이항 정리)이다.
위에 제시한 점화식에 따라 제1종 스털링 수는 아래 표와 같이 계산된다.
n \ k | 0 | 1 | 2 | 3 | 4 | 5 | 6 | 7 |
---|---|---|---|---|---|---|---|---|
0 | 1 | |||||||
1 | 0 | 1 | ||||||
2 | 0 | 1 | 1 | |||||
3 | 0 | 2 | 3 | 1 | ||||
4 | 0 | 6 | 11 | 6 | 1 | |||
5 | 0 | 24 | 50 | 35 | 10 | 1 | ||
6 | 0 | 120 | 274 | 225 | 85 | 15 | 1 | |
7 | 0 | 720 | 1764 | 1624 | 735 | 175 | 21 | 1 |
하강 계승 멱 도 제1종 스털링 수를 포함하는 전개 계수를 갖는데, 이를 의 멱급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즉, 전개 계수는 제1종 스털링 수에 부호 보정 를 더한 값이다.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
:
제1종 스털링 수는 베르누이 수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제1종 스털링 수 는 조합론에서 개의 원소를 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의 수를 나타낸다. 순환 순열은 반복되는 원소를 나타내는 데이터 열이다. 예를 들어, 야마노테선 역처럼 순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순환 순열을 과 같이 표기한다. 순환 순열은 순열이지만 과 처럼 원소를 순환 치환한 것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의 조합은 가지이다.
4개의 원소를 2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은 다음과 같이 11가지이다.
:
2. 2. 제2종 스털링 수
'''제2종 스털링 수'''(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스털링 넘버스 오브 더 세컨드 카인드영어)는 개의 원소를 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이다. 또는 으로 표기하며, 중괄호를 쓰는 표기법은 도널드 커누스가 도입하였다.[12]이는 다음의 전개식으로 정의된다.
:
제2종 스털링 수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제2종 스털링 수의 값은 다음과 같다.
n \ m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0 | 1 | ||||||||||
1 | 0 | 1 | |||||||||
2 | 0 | 1 | 1 | ||||||||
3 | 0 | 1 | 3 | 1 | |||||||
4 | 0 | 1 | 7 | 6 | 1 | ||||||
5 | 0 | 1 | 15 | 25 | 10 | 1 | |||||
6 | 0 | 1 | 31 | 90 | 65 | 15 | 1 | ||||
7 | 0 | 1 | 63 | 301 | 350 | 140 | 21 | 1 | |||
8 | 0 | 1 | 127 | 966 | 1701 | 1050 | 266 | 28 | 1 | ||
9 | 0 | 1 | 255 | 3025 | 7770 | 6951 | 2646 | 462 | 36 | 1 | |
10 | 0 | 1 | 511 | 9330 | 34105 | 42525 | 22827 | 5880 | 750 | 45 | 1 |
스털링 수는 생성 함수, 점화식, 합 공식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진다. 제1종 및 제2종 스털링 수는 서로 역행렬 관계이며, 이항 계수와 유사한 성질을 많이 가지고 있다.
3. 성질
제1종 및 제2종 스털링 수는 서로 역행렬 관계로, 다음 식을 만족한다.[5]
:
전개 계수는 제1종 스털링 수에 부호 보정 를 더한 값이다.
:
첫 번째 관계식은 에서 유도된다.
제1종 스털링 수는 베르누이 수 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첫 번째 관계식은 상승 계승의 합 공식:
:
에서 유도할 수 있다.
제2종 스털링 수 의 급수로 전개했을 때의 전개 계수로 정의된다.
:
거듭제곱 은 상승 계승 멱 으로 전개한 경우에도 제2종 스털링 수를 포함하는 전개 계수를 가진다.
:
전개 계수는 제2종 스털링 수에 부호 보정 를 더한 값이다.
3. 1. 생성함수
스털링 수는 다음과 같은 생성함수를 갖는다.
:
:
3. 2. 점화식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을 만족한다.
:
:
또한, 다음과 같은 공식이 존재한다.
:
제1종 스털링 수 | 제2종 스털링 수 | |
---|---|---|
제1종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제2종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3. 3. 합 공식
다음은 스털링 삼각형에서 각 열을 더한 값이다.[4]:
: 에서 유도된다. 두 번째 관계식은 에서 유도된다. 세 번째 관계식은 에 관하여 이기 때문에 유도된다.
3. 4. 특별한 값
이면 스털링 수는 0이다.:
인 경우 스털링 수는 크로네커 델타 이다.
:
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
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조화수이다.
:
:
인 경우 스털링 수는 항상 1이다.
:
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
4. 조합론적 의미
제1종 및 제2종 스털링 수는 조합론적으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제1종 스털링 수 는 ''n''개의 원소를 ''k''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의 수를 나타낸다. 순환 순열은 야마노테 선 역처럼 반복되는 원소를 나타내는 데이터 열이다. 예를 들어 순환 순열 은 0, 2, 1, 3 순서로 숫자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순환 순열의 경우, 과 처럼 원소를 순환 치환한 것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의 조합은 가지이며, 은 1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4개의 원소를 2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경우, 구성 원소가 1개와 3개인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과 2개와 2개인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이 있다. 전자는 4개의 원소 중 1개를 선택하고 나머지 3개의 원소로 순환 순열을 만드는 조합으로, 4 × 2 = 8가지이다. 후자는 4개의 원소 중 2개를 선택하는 조합이 6가지이고, 2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은 1가지뿐이지만, 동일한 순환 순열 2개가 생기므로 6/2 = 3가지이다. 따라서 4개의 원소를 2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은 총 8 + 3 = 11가지이며, 이는 와 일치한다.
제2종 스털링 수 는 ''n''개의 원소를 ''k''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이다.
4. 1. 제1종 스털링 수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는 ''n''개의 원소의 순열 가운데, 정확히 ''m''개의 순환(cycle)들로 구성된 순열들의 수이다. (이 경우, 고정점은 길이 1의 순환으로 간주한다.)[12] 예를 들어 인데, 이는 4개의 원소를 2개의 순환으로 분할하는 방법이 11가지임을 의미한다.4개의 원소를 2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11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제1종 스털링 수 는 조합론에서 개의 원소를 개의 순환 순열로 분할하는 조합의 수를 나타낸다. 순환 순열은 야마노테 선 역처럼 반복되는 원소를 나타내는 데이터 열이다. 예를 들어, 순환 순열 은 0, 2, 1, 3 순서로 숫자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순환 순열의 경우, 과 처럼 원소를 순환 치환한 것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의 조합은 가지이다. 은 1개의 원소로 구성된 순환 순열로 간주한다.
제1종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되는 제1종 스털링 수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이항 계수이다.
부호 없는 제1종 스털링 수의 값은 아래 표와 같다.
n \ m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0 | 1 | ||||||||||
1 | 0 | 1 | |||||||||
2 | 0 | 1 | 1 | ||||||||
3 | 0 | 2 | 3 | 1 | |||||||
4 | 0 | 6 | 11 | 6 | 1 | ||||||
5 | 0 | 24 | 50 | 35 | 10 | 1 | |||||
6 | 0 | 120 | 274 | 225 | 85 | 15 | 1 | ||||
7 | 0 | 720 | 1764 | 1624 | 735 | 175 | 21 | 1 | |||
8 | 0 | 5040 | 13068 | 13132 | 6769 | 1960 | 322 | 28 | 1 | ||
9 | 0 | 40320 | 109584 | 118124 | 67284 | 22449 | 4536 | 546 | 36 | 1 | |
10 | 0 | 362880 | 1026576 | 1172700 | 723680 | 269325 | 63273 | 9450 | 870 | 45 | 1 |
'''(부호 있는) 제1종 스털링 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4. 2. 제2종 스털링 수
'''제2종 스털링 수'''(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영어)는 ''n''개의 원소를 ''m''개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으로 나누는 방법의 수이다. 도널드 커누스가 도입한 중괄호 표기법 또는 으로 쓴다.[12]제2종 스털링 수는 다음 점화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제2종 스털링 수의 값은 아래 표와 같다.
n \ k | 0 | 1 | 2 | 3 | 4 | 5 | 6 | 7 |
---|---|---|---|---|---|---|---|---|
0 | 1 | |||||||
1 | 0 | 1 | ||||||
2 | 0 | 1 | 1 | |||||
3 | 0 | 1 | 3 | 1 | ||||
4 | 0 | 1 | 7 | 6 | 1 | |||
5 | 0 | 1 | 15 | 25 | 10 | 1 | ||
6 | 0 | 1 | 31 | 90 | 65 | 15 | 1 | |
7 | 0 | 1 | 63 | 301 | 350 | 140 | 21 | 1 |
제2종 스털링 수 는 을 하강 계승 멱 의 급수로 전개했을 때의 전개 계수로 정의된다.
:
5. 역행렬 관계
제1종 스털링 수와 제2종 스털링 수는 서로 역행렬 관계를 갖는다.[1]
:
:
여기서 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이 두 관계는 행렬 역관계로 이해될 수 있다.[1]
6. 라 수 (Lah Numbers)
7. 역사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이 1730년에 《미분법: 무한급수의 합과 보간에 대한 논문》(Methodus differentialis, sive tractatus de summatione et interpolatione serierum infinitarumla)이라는 책에서 도입하였다.[13][14] 닐스 닐센(Niels Nielsen)이 1965년에 이 수들을 "스털링 수"라고 이름붙였다.[14][15]
8. 기타
스털링 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공식과 관련되어 있다.[5][6]
두 수열
:
모든 정수
:
이 두 수열 간의 역 관계는 지수 생성 함수 간의 함수 방정식으로 표현되며, 이는 스털링 (생성 함수) 변환으로 주어진다.
:
:
:
\begin{align}
(xD)^n &= \sum_{k=0}^n S(n, k) x^k D^k \\
x^n D^n &= \sum_{k=0}^n s(n, k) (xD)^k = (xD)_n = xD(xD - 1)\ldots (xD - n + 1)
\end{align}
함수
:
:
Abramowitz와 Stegun은 제1종 및 제2종 스털링 수와 관련된 다음 대칭 공식을 제시한다.[7]
:
:
\left\{{n \atop k}\right\} = \sum_{j=n}^{2n-k} (-1)^{j-k} \binom{j-1}{k-1} \binom{2n-k}{j} \left[{j-k \atop j-n } \right]
스털링 수는 음의 정수 값으로 확장될 수 있지만, 모든 저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확장하는 것은 아니다.[8][9][10] 제1종 및 제2종 스털링 수는 다음 관계를 갖는다.
:
\biggl\{{\!n\! \atop \!k\!}\biggr\} = \biggl[{-k \atop -n}\biggr]
도널드 커누스는 점화식을 모든 정수로 확장하여 보다 일반적인 스털링 수를 정의했다. 데이비드 브랜슨은 양의 정수 ''n''과 ''k''에 대해
참조
[1]
서적
Concrete Mathematics
Addison-Wesley
1988
[2]
학술지
Two Notes on Notation
https://www.jstor.or[...]
1992
[3]
서적
A Course in Enumera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4]
서적
Handbook of Number Theory II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Publishers
[5]
문서
Concrete Mathematics exercise 13 of section 6. Note that this formula immediately implies the first positive-order Stirling number transformation given in the main article on [[generating function transformation#Derivative transformations|generating function transformations]].
[6]
학술지
NIST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https://www.nist.gov[...]
2010
[7]
간행물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with Formulas, Graphs, and Mathematical Tables, 10th printing
Dover
[8]
학술지
A generalization of the Stirling numbers
[9]
웹사이트
An extension of Stirling numbers
http://www.fq.math.c[...]
1994-08
[10]
문서
1992
[11]
문서
Combinatorial Methods in Discrete Distributions
John Wiley & Sons, Inc.
2005
[12]
저널
[13]
서적
http://gallica.bnf.f[...]
[14]
저널
[15]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