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SAN)는 1990년대 후반 파이버 채널 기술 발전과 함께 등장한,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이다. SAN은 여러 서버가 스토리지를 공유하여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중앙 집중식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DAS(직접 연결 스토리지)의 단일 실패 지점 문제를 해결하고 백업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SAN은 호스트 계층, 패브릭 계층, 스토리지 계층으로 구성되며, 파이버 채널, iSCSI, iSER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SAN은 블록 레벨 스토리지를 제공하며, 파일 공유를 위해서는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이 필요하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며, 스토리지 가상화를 통해 여러 벤더의 디스크 어레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거리 통신망 - 가상 랜
가상 랜(VLAN)은 물리적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확장성, 보안,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 IEEE 802.1Q 표준을 통해 이더넷 프레임에 VLAN 태그를 삽입하여 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유연한 네트워크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 근거리 통신망 - Open vSwitch
- 전산장비 -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와 디지털 기기를 작동시키는 명령어의 집합으로, 에이다 러브레이스의 설계에서 시작되어 1940년대 컴퓨터 등장과 함께 발전했으며, 다양한 유형과 배포 방식을 가지는 동시에 개발 방법론과 품질 보증을 통해 유지보수되고 저작권으로 보호받으며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 전산장비 - 데이터 센터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장비와 지원 인프라를 수용하는 시설로, 기술 발전에 따라 규모와 중요성이 확대되었으며, 에너지 효율과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 및 운영되고, TIA-942 표준에 따른 티어 분류와 친환경 기술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 기억 장치 - EPROM
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MOSFET의 부유 게이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하여 소량 생산에 사용되었으나 EEPROM과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대체되었다. - 기억 장치 - 정적 램
정적 램(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며, 갱신 회로가 필요 없고 빠른 접근 속도를 가지는 휘발성 메모리 유형이다.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 | |
---|---|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 | |
![]() | |
계층 4. 프로토콜 매핑 | |
계층 3. 공통 서비스 | |
계층 2. 네트워크 | |
계층 1. 데이터 링크 | |
계층 0. 물리 |
2. 역사
스토리지와 서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구상은 1995년경 파이버 채널의 실용화에 대한 전망이 보이면서 시작되었고, 1998년경에 SAN이라는 명칭이 정착되었다.[3] 이 명칭은 LAN(Local Area Network)을 의식하여 명명되었다. NAS는 SAN을 의식하여 명명되었다. SAN 관련 제품들은 1999년 이후에 출시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실용화되었다.
3. 특징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SAN)는 때때로 "서버 뒤의 네트워크"라고 불리며[2], 역사적으로 자체 데이터 네트워크를 갖춘 중앙 집중식 데이터 스토리지 모델에서 발전했다. SAN은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전용 네트워크이며, 데이터의 자동 백업과 스토리지 및 백업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3] SAN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이다.[3]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크 어레이 또는 JBOD(just a bunch of disks)를 서버에 연결하는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가 개발되었다. DAS 아키텍처에서는 스토리지 장치를 추가하여 용량을 늘릴 수 있지만, 스토리지 장치에 접근하는 서버는 단일 실패 지점이 되고 LAN 네트워크 대역폭의 상당 부분이 데이터 액세스, 저장 및 백업에 사용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서버가 동일한 스토리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직접 연결 공유 스토리지'' 아키텍처가 구현되었다.[3]
DAS는 최초의 네트워크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요구 사항이 크지 않은 경우에도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이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 서버 또는 스토리지 장치를 LAN에서 사용할 수 있는 NAS(network-attached storage) 아키텍처가 개발되었다.[3] NAS는 데이터 전송, 특히 백업 시 기존 LAN을 사용하기 때문에 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LAN 대역폭이 병목 현상이 된다.[3]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용 스토리지 네트워크가 LAN에 연결된 SAN이 개발되었으며, 테라바이트 단위의 데이터가 전용 고속 및 대역폭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SAN 내에서 스토리지 장치는 상호 연결되며, 백업과 같은 스토리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은 서버 뒤에서 투명하게 이루어진다.[3] NAS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IP(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SAN은 파이버 채널, iSCSI, 인피니밴드와 같은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따라서 SAN은 자체 네트워크와 스토리지 장치를 갖추고 구매, 설치 및 구성해야 하므로 NAS보다 비싸다.[3]
SAN 환경에서 서버 간 파일 공유가 필요한 경우, 파일 서버를 통해 LAN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SAN 파일 시스템을 도입하여 서버 간 상호 배타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3. 1. 장점
SAN의 주된 목적은 여러 개의 스토리지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버 간에 해당 리소스를 공유하는 것이다. 가장 단순한 서버와 스토리지 연결 형태는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인데, 서버와 스토리지가 1:1로 연결된다. 서버 수나 정보량이 증가하면 스토리지 수도 증가하여 관리가 복잡해진다. 그래서 전용 네트워크로 스토리지를 하나로 통합하여 가상적으로 n:1의 관계를 실현하는 것이 SAN이다.[10] 이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스토리지 용량이 줄고, 관리해야 할 장치 수도 줄어든다. 또한, 스위치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확장이 가능하며, 백업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백업에서는 고가이며 미사용 시간이 많은 테이프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진다.[11]
3. 2. 제공 형태
서버는 SAN에 연결된 스토리지를 마치 직접 연결된 장치(예: 로컬 디스크)처럼 다룰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는 여러 개의 물리 디스크를 논리 유닛 번호(LUN)로 분할하여 서버에 제공한다.[10] SAN은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와 달리 일반적으로 "파일"을 공유하지 않는다.
4. 구성 요소
SAN은 서버, 스토리지 장치,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스위치, 라우터 등)로 구성된다.[3] SAN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이며, 데이터 저장 외에도 데이터의 자동 백업과 스토리지 및 백업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허용한다.[3]
SAN은 자체 네트워킹 장치를 갖추고 있다. SAN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SAN 서버는 SAN 호스트 버스 어댑터(HBA)에 연결된다. SAN 내에서는 SAN 지원 디스크 배열, JBOD, 테이프 라이브러리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3]
4. 1. 호스트 계층 (Host Layer)
SAN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SAN 서버는 SAN 호스트 버스 어댑터(HBA)에 연결된다. SAN 및 해당 스토리지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서버는 SAN의 ''호스트 계층''을 형성한다고 한다. 이러한 서버에는 호스트 버스 어댑터(HBA)가 있으며, 이는 서버 마더보드의 슬롯(일반적으로 PCI 슬롯)에 연결되고 해당 펌웨어 및 장치 드라이버와 함께 실행되는 카드이다. 호스트 어댑터를 통해 서버의 운영 체제는 SAN의 스토리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4]
파이버 채널 구축에서 케이블은 기가비트 인터페이스 변환기(GBIC)를 통해 호스트 어댑터에 연결된다. GBIC는 SAN 내의 스위치 및 스토리지 장치에서도 사용되며 디지털 비트를 파이버 채널 케이블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광 펄스로 변환한다. 반대로 GBIC는 들어오는 광 펄스를 다시 디지털 비트로 변환한다. GBIC의 이전 버전은 기가비트 링크 모듈(GLM)이라고 불렸다.[4]
4. 2. 패브릭 계층 (Fabric Layer)
패브릭 계층은 SAN 스위치, 라우터, 프로토콜 브리지, 게이트웨이 장치 및 케이블을 포함하는 SAN 네트워킹 장치로 구성된다. SAN 네트워크 장치는 서버의 HBA 포트와 같은 ''이니시에이터''와 스토리지 장치의 포트와 같은 ''타겟'' 사이에서, 또는 SAN 내에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3]파이버 채널을 지원하는 장치로는 SAN이 처음 구축되었을 때 허브가 유일했지만, 파이버 채널 스위치가 개발되면서 현재 SAN에서는 허브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스위치는 모든 연결된 장치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허브보다 유리하며, 모든 포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용 링크를 제공한다.[4] SAN이 처음 구축되었을 때는 파이버 채널이 구리 케이블을 통해 구현되어야 했지만, 요즘에는 멀티모드 광섬유 케이블이 SAN에서 사용된다.[4]
SAN은 일반적으로 이중화로 구축되므로 SAN 스위치는 이중화 링크로 연결된다. SAN 스위치는 서버를 스토리지 장치에 연결하며, 일반적으로 논블로킹 방식으로 모든 연결된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4] SAN 스위치는 이중화 목적으로 메시 토폴로지로 설정된다. 단일 SAN 스위치는 8개에서 최대 32개의 포트를 가질 수 있으며 모듈식 확장을 지원한다.[4] 소위 디렉터급 스위치는 최대 128개의 포트를 가질 수 있다.[4]
스위치 SAN에서는 파이버 채널 스위치 패브릭 프로토콜 FC-SW-6이 사용되며, 이 프로토콜에 따라 SAN의 모든 장치는 WWN 주소를 호스트 버스 어댑터(HBA)에 하드코딩한다. 장치가 SAN에 연결되면 해당 WWN이 SAN 스위치 이름 서버에 등록된다.[4] WWN 또는 월드 와이드 포트 네임(WWPN) 대신 SAN 파이버 채널 스토리지 장치 공급업체는 월드 와이드 노드 네임(WWNN)을 하드코딩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장치의 포트는 종종 5로 시작하는 WWN을 가지며, 서버의 버스 어댑터는 10 또는 21로 시작한다.[4]
4. 3. 스토리지 계층 (Storage Layer)
SAN에서 디스크 어레이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RAID를 통해 결합하여 하나의 큰 저장 장치처럼 보이게 하고 작동하도록 만든다.[4] SAN의 다양한 스토리지 장치는 '스토리지 계층'을 형성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하드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스토리지 장치 또는 해당 스토리지 장치의 파티션에는 논리 장치 번호(LUN)가 할당된다. 이 번호는 SAN 내에서 고유하며, 서버 또는 다른 스토리지 장치와 같은 SAN의 모든 노드는 LUN을 참조하여 스토리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LUN을 사용하면 SAN의 스토리지 용량을 분할하고 액세스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4]하드 디스크와 자기 테이프가 주요 스토리지이다. 하드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RAID에서 사용한다. 파이버 채널(FC) HDD는 고가이므로 SAS나 SATA 등의 저렴한 HDD를 사용하여 서버를 구성하고, 이들 간을 FC로 연결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한 장비도 있다. 자기 테이프는 DDS, LTO, IBM 3592 등의 규격이 사용된다. 자기 테이프, 테이프 드라이브, 테이프 라이브러리가 주요 하드웨어이며, 백업이나 아카이브에 사용된다.
5. 네트워크 종류 및 프로토콜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SAN)는 서버와 스토리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스토리지망은 SCSI 규약을 사용하여 서버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망 형성을 위해 다른 프로토콜로의 매핑 계층을 사용한다.
SAN은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의 발전된 형태로, NAS(network-attached storage)와는 달리 전용 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LAN 대역폭 병목 현상을 해결한다. SAN은 자체 네트워크와 스토리지 장치를 갖추고 있어 NAS보다 구축 비용이 더 비싸다.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 이더넷을 통한 ATA(AoE): ATA를 이더넷을 통해 매핑한다.
-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FCP): SCSI를 파이버 채널을 통해 매핑한다.
- 이더넷을 통한 파이버 채널(FCoE)
- 파이버 채널을 통한 ESCON(FICON): 메인프레임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 HyperSCSI: SCSI를 이더넷을 통해 매핑한다.
- iFCP[6] 또는 SANoIP[7]: FCP를 IP를 통해 매핑한다.
- iSCSI: SCSI를 TCP/IP를 통해 매핑한다.
- RDMA를 위한 iSCSI 확장(iSER): iSCSI를 InfiniBand를 통해 매핑한다.
- Network block device: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장치 노드 요청을 TCP/IP와 같은 스트림 소켓을 통해 매핑한다.
- SCSI RDMA 프로토콜(SRP): 원격 직접 메모리 접근 (RDMA) 전송을 위한 또 다른 SCSI 구현이다.
SAS 및 SATA 기술을 사용하여 스토리지를 네트워크로 구축할 수 있다.
5. 1. 주요 프로토콜
대부분의 스토리지망은 서버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간의 자료 전송에 SCSI 규약을 사용한다. 망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로의 매핑 계층이 사용된다.- ATA 오버 이더넷 (AoE): 이더넷 위에 ATA를 매핑한다.
-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 (FCP): SCSI를 파이버 채널을 통해 매핑한다.[2]
- FCoE: 파이버 채널을 이더넷을 통해 매핑한다.
- ESCON 오버 파이버 채널 (FICON):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사용된다.
- 하이퍼SCSI: SCSI를 이더넷을 통해 매핑한다.
- iFCP 또는 SANoIP: FCP를 IP를 통해 매핑한다.
- iSCSI: SCSI를 TCP/IP를 통해 매핑한다.[2]
- iSER: iSCSI를 인피니밴드를 통해 매핑한다.
스토리지망은 SAS와 SATA 기술로도 구축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 ||||||
---|---|---|---|---|---|---|
SCSI 계층 | ||||||
FCP | FCP | FCP | FCP | iSCSI | iSER | SRP |
FCIP | iFCP | |||||
TCP | RDMA 전송 | |||||
FCoE | IP | IP 또는 인피니밴드 네트워크 | ||||
FC | 이더넷 | 이더넷 또는 InfiniBand 링크 |
5. 2. 기타 프로토콜
- ATA 오버 이더넷 (AoE) - 이더넷을 이용한 ATA 매핑
-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 (FCP)
- 파이버 채널 오버 이더넷 (FCoE)
- ESCON 오버 파이버 채널 (FICON) - 메인프레임 컴퓨터에서 사용
- 하이퍼SCSI
- 인터넷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iFCP) 또는 SANoIP
- iSCSI
- iSER
- SAS 및 SATA 기술을 사용한 스토리지망 구축도 가능
5. 3. IP-SAN
iSCS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SAN을 구성하는 방식을 IP-SAN이라고 한다. 파이버 채널을 IP 상에 탑재하기 위한 FCIP 및 iFCP[6] 프로토콜도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브로케이드(McDATA, CNT, Nishan 포함), 시스코 등에서 제공된다.응용 프로그램 | ||||||
---|---|---|---|---|---|---|
SCSI 계층 | ||||||
FCP | FCP | FCP | FCP | iSCSI | iSER | SRP |
FCIP | iFCP | |||||
TCP | RDMA 전송 | |||||
FCoE | IP | IP 또는 InfiniBand 네트워크 | ||||
FC | Ethernet | Ethernet 또는 InfiniBand 링크 |
6. 논리 유닛 (Logical Unit)
SAN의 디스크 공간 할당은 물리 디스크 또는 RAID 단위에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단위로 수행된다[12]. RAID 또는 물리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고 각각에 논리 유닛 번호(영]:] Logical Unit Number, '''LUN''')를 할당한다[13]. 서버는 이를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로
7.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네트워킹 산업 협회(SNIA)는 SAN을 "컴퓨터 시스템과 스토리지 요소 간의 데이터 전송이 주된 목적인 네트워크"로 정의한다.[2] 그러나 SAN은 통신 인프라뿐만 아니라, 서버, 스토리지 장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데이터 전송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관리 계층''도 갖추고 있다. SAN은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SAN 내의 스토리지 장치는 서버가 소유하고 관리하지 않는다.[2] SAN을 통해 서버는 대용량 데이터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 스토리지 용량은 다른 서버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2] 또한, SAN 소프트웨어는 최소한의 서버 개입으로 SAN 내의 스토리지 장치 간에 데이터가 직접 이동되도록 보장해야 한다.[2]
SAN 관리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서버에 설치되며, 스토리지 장치에는 관리 클라이언트가 설치된다. SAN 관리 소프트웨어에서는 인밴드(in-band) 및 아웃오브밴드(out-of-band) 관리의 두 가지 접근 방식이 개발되었다. 인밴드는 서버와 스토리지 장치 간의 관리 데이터가 스토리지 데이터와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전송됨을 의미한다. 반면 아웃오브밴드는 관리 데이터가 전용 링크를 통해 전송됨을 의미한다.[2] SAN 관리 소프트웨어는 스토리지 계층의 모든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에는 읽기 및 쓰기 실패, 스토리지 용량 병목 현상, 스토리지 장치 고장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SAN 관리 소프트웨어는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과 통합될 수 있다.[2]
1999년에 스토리지 장치 관리를 위한 개방형 표준인 공통 정보 모델(CIM)이 도입되어 상호 운용성을 제공했다. CIM의 웹 기반 버전은 웹 기반 엔터프라이즈 관리(WBEM)라고 불리며, SAN 스토리지 장치 객체 및 프로세스 트랜잭션을 정의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사용은 객체와 상호 작용을 관리하는 CIM 객체 관리자(CIMOM)를 포함하며, SAN 스토리지 장치의 중앙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SAN에 대한 기본적인 장치 관리는 또한 CIM 객체 및 프로세스가 디렉토리에 등록되는 스토리지 관리 인터페이스 사양(SMI-S)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하위 시스템은 이 디렉토리를 활용할 수 있다.[2] 또한 SAN 스토리지 장치를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관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예를 들어 구역 및 LUN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2]
궁극적으로 SAN 네트워킹 및 스토리지 장치는 많은 공급업체에서 제공되며, 모든 SAN 공급업체는 자체 관리 및 구성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다. 서로 다른 공급업체의 장치를 포함하는 SAN에서 공통 관리가 가능한 경우는 공급업체가 장치에 대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다른 공급업체에 제공하는 경우뿐이다. 이러한 경우, 상위 레벨 SAN 관리 소프트웨어는 다른 공급업체의 SAN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2]
8. 파일 시스템 지원
SAN은 블록 레벨 스토리지 및 작업만 제공하고, 데이터 파일 추상화를 제공하지 않는다. 서버 운영 체제는 SAN의 자체 전용, 비공유 LUN에 자체 파일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며, 마치 로컬에 있는 것처럼 작동한다. 여러 시스템이 단순히 LUN을 공유하면 서로 간섭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LUN 내에서 여러 컴퓨터가 데이터를 공유하려면 파일 레벨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SAN 소프트웨어와 함께 작동하도록 개발된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9.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활용
영상 편집 시스템은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매우 낮은 지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SAN은 비디오 워크플로우(수집, 편집, 재생) 데스크톱 클라이언트를 서버에 연결하는 대신 SAN에 직접 배치하는 구성 특성 때문에 종종 서버리스라고 불린다. 데이터 흐름 제어는 분산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노드별 대역폭 사용량 제어, 때로는 서비스 품질(QoS)이라고 불리며, 네트워크 전반에서 공정하고 우선순위가 지정된 대역폭 사용을 보장하므로 비디오 편집에서 특히 중요하다.
10. 서비스 품질 (QoS)
SAN 스토리지 QoS는 장치에 접근하는 네트워크 고객을 위해 원하는 스토리지 성능을 계산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SAN QoS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대역폭 -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처리 속도이다.
- 지연 시간 - 읽기/쓰기 작업 실행에 걸리는 시간 지연이다.
- 큐 깊이 - 기본 디스크(기존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에서 실행을 기다리는 미처리 작업의 수이다.
또는 과다 할당을 사용하여 최대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부하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 과다 할당은 결국 모든 대역폭을 완전히 소모시키고 지연 시간을 크게 증가시켜 SAN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11. 스토리지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는 물리적 스토리지를 논리적 스토리지로부터 추상화하는 과정이다. 물리적 스토리지 자원은 스토리지 풀로 통합되며, 이 풀로부터 논리적 스토리지가 생성된다. 이는 사용자에게 데이터 저장을 위한 논리적 공간을 제공하고, 이를 물리적 위치에 매핑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처리하며, 이는 위치 투명성이라는 개념으로 불린다. 이는 최신 디스크 어레이에서 구현되며, 종종 벤더 고유의 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스토리지 가상화의 목표는 네트워크 상에 분산된 여러 벤더의 여러 디스크 어레이를 단일 스토리지 장치로 묶는 것이다. 그런 다음 단일 스토리지 장치를 균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ter Panther Expanse SAN Series ! Enterprise Data Center Hard Drives & SSDs
https://waterpanther[...]
2022-07-18
[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torage Area Networks
https://www.redbooks[...]
Red Books, IBM
2011-09-15
[3]
서적
Special Edition: Using Storage Area Networks
Que Publishing
[4]
서적
Storage Area Networks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5]
서적
Storage Area Network Essentials: A Complete Guide to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SAN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6]
웹사이트
TechEncyclopedia: IP Storage
http://www.techweb.c[...]
2007-12-09
[7]
웹사이트
TechEncyclopedia: SANoIP
http://www.techweb.c[...]
2007-12-09
[8]
웹사이트
Virtual Storage
https://www.pcmag.co[...]
2017-10-17
[9]
웹사이트
SAN / NAS (ストレージ・エリア・ネットワーク/ネットワーク接続ストレージ)
https://xtech.nikkei[...]
2022-07-16
[10]
웹사이트
SAN(サン)とは
http://www.fujitsu.c[...]
[11]
웹사이트
SANのメリット
https://www.itmedia.[...]
[12]
웹사이트
SAN LUN
https://www.ibm.com/[...]
[13]
웹사이트
LUN
http://e-words.jp/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