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의 용어색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롱의 용어색인은 흠정역 성경의 히브리어 및 헬라어 단어에 부여된 일련의 번호 체계이다. 각 단어는 스트롱 번호에 따라 분류되어 원어 단어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용어색인은 구약의 8,674개 히브리어 단어와 신약의 5,624개 그리스어 단어를 포함하며, 언어 간 번역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롱의 성경 사전은 히브리어 및 칼데아어 사전과 신약 그리스어 사전을 포함하며, 성경 연구를 위한 색인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0년 책 - 황금가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는 전 세계 신화, 마술, 종교 의례를 비교 분석하여 인류 사고방식의 진화를 주장하고 신성왕, 희생양, 금기, 주술 등의 주제를 탐구한 저서로, 종교 비교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나 비판 또한 존재한다. - 1890년 책 - 경제학원론
경제학원론은 경제 현상 분석 및 이해를 위한 기본 원리와 개념을 다루는 학문으로, 앨프레드 마셜의 《경제학 원리》를 통해 경제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의 분배, 생산 요소, 수요와 공급, 가치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스트롱의 용어색인 | |
---|---|
스트롱의 용어 색인 | |
유형 | 성경 용어 색인 |
언어 |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
저자 | 제임스 스트롱 |
국가 | 미국 |
출판일 | 1890년 |
2. 스트롱 번호 (Strong's numbers)
''스트롱 성경 용어 색인''은 성경 색인을 제공하여, 성경에서 특정 단어가 나타나는 위치를 찾고 다른 곳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각 원어(히브리어 또는 헬라어) 단어에는 고유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를 "스트롱 번호"라고 부른다.[1] 스트롱 번호는 성경 원어 연구에 유용한 도구이며, 특히 다른 언어로 번역된 성경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성경 연구 자료는 영어 자료를 번역하여 만들어지기도 했다.[2]
2. 1. 스트롱 번호의 체계
각 원어(히브리어 또는 헬라어) 단어는 《스트롱의 용어색인》 뒷부분에 수록된 원어 단어 사전에 등재된 번호에 따라 분류되는데, 이것이 "스트롱의 번호"로 알려지게 되었다. KJV 성경에 등장하는 각 단어는 알파벳순으로 나열되고, 해당 단어가 성경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각 절을 나열하며, 주변 텍스트의 일부(해당 단어를 이탤릭체로 포함)를 제공한다. 성경 구절 참조의 오른쪽에 스트롱의 번호가 나타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뒷부분의 관련 사전에서 원어 단어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스트롱의 용어색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스트롱의 용어색인》에 있는 그리스어 단어는 1–5624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지만, 2717번과 3203–3302번은 "진행 중인 번호 매기기 변경"으로 인해 할당되지 않았다. 모든 개별 단어가 아닌 어근 단어에만 번호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αγαπησεις와 αγαπατε는 동일한 번호(G25, αγαπαω)로 분류된다.
스트롱의 번호 덕분에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용어색인을 번역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Thompson Study Bible에서 30,000개의 단어를 포함하는 러시아어 용어색인[1]은 Thompson Chain-Reference Bible의 영어 용어색인을 번역한 것이다.[2]
2. 2. 스트롱 번호의 활용
영어 킹제임스 성경(KJV)에 등장하는 각 단어를 알파벳순으로 나열하고, 해당 단어가 성경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각 절을 나열하며, 주변 텍스트의 일부를 함께 제공한다. 성경 구절 참조의 오른쪽에 스트롱 번호를 표기하여, 사용자가 원어 단어의 의미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돕는다.[1] 스트롱 번호 덕분에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일치 연구집을 번역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Thompson Study Bible이 있다.[2]3. 스트롱 성경 사전 (Strong's dictionaries)
1890년 판에서 스트롱은 자신의 성경 용어 사전에 "히브리어 및 칼데아어 사전"과 "신약 그리스어 사전"을 추가했다. 두 사전의 서문에서 스트롱은 이것들이 "간결하고 단순한" 사전이며, "더 풍부하고 정교한 사전"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그는 ''스트롱''이 참고한 사전의 예로 게세니우스와 퓌르스트를 언급한다. 그의 사전은 학생들이 단어를 빠르고 쉽게 찾아보고 그 의미에 대한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참조
[1]
서적
Новая учебная Библия Томпсона
La Buona Novella Inc, The Bible for everyone
2010
[2]
서적
The New Thompson Study Bible
La Buona Novella Inc. & B.B. Kirkbride Bible Company, Inc.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