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트루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루가는 북마케도니아의 오흐리드 호수 계곡에 위치한 도시로, "강바닥"을 의미하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엔칼론으로 불렸으며, 일리리아 부족인 엔켈레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스트루가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11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6세기에는 베네치아 대사에 의해 불가리아 도시로 묘사되기도 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며, 시인 밀라디노프 형제의 고향으로, 매년 스트루가 시의 밤 축제가 열린다. 주요 산업은 관광이며, 오흐리드 호수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조용하고 평화로운 휴식을 제공한다. 스트루가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곳이며, 여러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비톨라
    비톨라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드라고르 강을 끼고 있으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문화 도시로 번영했고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및 산업 중심지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오흐리드
    북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숫가에 위치한 오흐리드는 고대 도시 리크니도스의 역사를 잇는 도시이자 기독교 문화 중심지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키릴 문자가 고안된 곳으로 알려져 있고, 1991년 이후 북마케도니아의 일부로서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스트루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스트루가 조감도, 오흐리드 호수 & 블랙 드린 강
위에서부터, 스트루가 조감도, 중심가, 무스타파 첼레비 모스크의 미나레트와 마더 테레사 기념비
공식 명칭스트루가
현지 명칭mk: Струга (스트루가)
sq: Strugë/Struga (스트루거/스트루가)
별칭없음
표어없음
국가북마케도니아
지역남서부 통계 지역
지방 자치체스트루가
행정
시장라미즈 메르코 (DUI)
면적
총 면적483 제곱킬로미터
고도
해발 고도693 미터
인구
총 인구16,559 명 (2002년)
기타 정보
우편 번호6330
지역 번호+389 46
차량 번호판[[파일:Struga car plate.jpg|thumb|스트루가 차량 번호판]]
기후해양성 기후 (Cfb)
시간대CET (UTC+1)
여름 시간대CEST (UTC+2)
웹사이트스트루가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스트루가라는 이름은 11세기에 처음 언급되었다.[1] 이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으며,[2][3] "강바닥"을 의미한다.[4][5]

스트루가의 옛 거리.


도시의 고대 이름은 '''엔칼론'''(Εγχαλών)인데, 고대 그리스어장어를 의미하며, 이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일리리아 부족인 엔켈레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E. 햄프에 따르면, 알바니아어 'ngjalë'과의 연관성은 엔켈레라는 이름이 장어를 의미하는 일리리아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는 고대 그리스어와 관련이 있었을 수 있으며 그리스어 발음에 맞춰 조정되었을 수 있다. 폴리비우스는 '엔켈레'라는 단어를 무성 유기음 ''kh'', ''엔켈라네스''로 표기했으며, 므나세아스는 이를 유성 ''ng'', ''엥겔라네스''로 대체했는데, 이는 고대 마케도니아어와 북부 고대 발칸어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스트루가의 호칭은 원래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다. 호칭과 관련하여 세 가지 설이 있으며, 이는 스트루가 지역 주민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27]

  • 첫 번째 설은 도시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열린 계곡의 기슭에서 강한 바람이 부는 기후에서 유래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струже ветер (바람이 분다)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 두 번째 설은 마케도니아어로 교차를 의미하는 ''straga''가 있다는 것이다.
  • 오래된 도시의 명칭은 Ενχαλών ''Enchalon''으로, 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로 뱀장어를 의미하며, 오흐리드 호수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종류이다.
  • 세 번째 설은 물의 가지를 의미하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str'g''이다.

3. 역사

고대 시대에 오흐리드 호수 지역은 일리리아인의 엔첼레와 다사레티 부족이 거주했다.[6][7] 비아 에그나티아는 오흐리드 호수 지역을 통과했으며, 엔찰론(스트루가의 고대 명칭) 서쪽을 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8]

어원학자 케말 무라티는 스트루가-a라는 이름이 처음에는 마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고 믿고 있다. 이 이름은 14세기에 차르 두산의 문서에 스트루가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후 16~17세기에 슬렙찬 코덱스에는 'Strugi'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9]

16세기에 이 도시는 베네치아 대사 로렌조 베르나르도가 방문했는데, 그는 이곳을 작은 마을과 더 비슷한 불가리아의 도시로 묘사했다. 그는 이 도시를 밀 수송의 중요한 목적지, 비옥한 평원과 계곡을 가진 도시로 묘사했으며, 현지 장어와 송어를 높이 평가했다.[10]

헨리 판쇼 토저가 오스만 제국을 여행하면서 스트루가를 방문했는데, 그는 이 지역과 오흐리드 호수를 이탈리아 호수와 갈릴리 바다와 같은 성경적 장소에 비유하며 높이 평가했다. 그는 스트루가를 유럽 터키의 어업 본부로 간주했으며, 스트루가의 어업은 오스만 술탄의 소유였고, 그는 이를 지역 주민들에게 큰 돈을 받고 하청을 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고유종인 오흐리드 송어를 높이 평가했다. 그에 따르면, 이 지역의 늪지는 사무엘 (불가리아)이 오흐리드를 불가리아의 수도로 만들었을 때 거주 가능한 지역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는 현지 대규모 불가리아 학교를 방문했으며, 비잔틴 공주 안나 코메네가 도시의 수백 개의 수로, 제방, 수로에 대해 감탄했다고 언급했다.[11]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스트루가는 오스만 제국의 마나스티르 빌라예트의 일부였다.

스트루가는 밀라디노프 형제 시인들의 고향으로, 이들은 불가리아 민족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들을 기리기 위해 이 도시에서 스트루가 시의 밤 행사가 열린다.[12] 스트루가는 또한 IMARO 혁명가인 흐리스토 마토프와 같은 여러 인물의 출생지였다.

Flag of the Struga revolutionaries 1903
스트루가 혁명가들의 깃발 1903


스트루가는 1865년 이브라힘 테모가 태어난 곳으로, 그는 의사가 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개혁 운동인 통일진보위원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13]

스트루가는 1945년부터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으며, 1991년 마케도니아 독립 국민투표 이후 마케도니아가 연방에서 평화적으로 분리되었다.

4. 지리

스트루가는 오흐리드 호의 탁 트인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흑룡강(크른 드림)이 호수에서 시작하여 도시를 가로지른다.

5. 인구

스트루가의 인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집단이 함께 거주하고 있다. 2002년 인구 조사 결과, 스트루가 시의 인구는 16,559명이었다.

'''1948년부터 2021년까지 스트루가의 민족별 인구 변화[20]'''
민족1948년1953년1961년1971년1981년1994년2002년2021년
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
마케도니아인2,19443.93,42349.96,21554.28,00255.99,43358.98,90153.86,51743.4
알바니아인1,10922.21,64924.13,50830.64,14929.04,33027.05,29332.04,90332.7
튀르크인92718.699414.57306.48325.88875.59275.58105.4
로마니족1412.8200.0120.14212.91140.7970.61410.9
블라흐인53610.700.000.03372.354622.95503.34312.9
세르비아인420.9540.81060.9840.6910.6720.4490.3
보스니아인00.000.000.000.000.0160.1230.2
기타/미신고471.073710.89047.95003.57204.57234.45743.8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colspan="14" |1,56110.4
합계4,9234,9966,85711,47514,32516,03716,55915,009


5. 1. 민족 구성

16세기 스트루가는 오스만 제국의 오흐리드 산자크에 속해 있었다. 당시 오흐리드 나히야에는 기독교인 184가구, 미혼 남성 20명, 미망인 36명, 무슬림 8가구가 등록되었다.[14]

1900년 바실 칸초프의 통계에 따르면 스트루가에는 4,570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3,000명은 기독교 불가리아인, 1,000명은 터키인, 350명은 무슬림 알바니아인, 220명은 로마니족이었다.[15] 칸초프는 당시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스스로를 터키인이라고 주장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스트루가에서 스스로를 터키인이라고 밝힌 사람들은 "알바니아인의 혈통"이었지만, 오스만 제국의 침략 이후 이슬람교로 개종하면서 "터키화"되었다고 보았다.[16]

1915년 소피아 대학교 교수 요르단 이바노프는 알바니아인들이 독자적인 문자가 없어 국가적 의식이 부족하고, 외국의 선전에 영향을 받아 종교에 따라 스스로를 터키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으로 칭했다고 썼다. 그는 알바니아인들이 스트루가에서 모국어를 잃어가고 있었다고 덧붙였다.[16]

1943년 이탈리아 알바니아 보호령 (1939-1943) 인구 조사에서는 스트루가에 정교회 마케도니아인 2,876명, 무슬림 알바니아인 2,063명, 아로마니아인 443명, 세르비아인 14명, 러시아인 10명이 거주했다.[17]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트루가 시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8]

  • 마케도니아인: 8,901명 (53.7%)
  • 알바니아인: 5,293명 (32.0%)
  • 튀르크인: 907명 (5.5%)
  • 블라흐인: 550명 (3.3%)
  • 기타: 908명 (5.5%)


스트루가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들은 게그 방언과 토스크 방언을 모두 사용하며, 흑룡강을 경계로 나뉜다. 스트루가의 알바니아 방언은 중앙 게그 방언과 북부 토스크 방언 사이에 위치하며, 음운론과 형태론에서 차이를 보인다.[19]

20세기 후반까지는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알바니아 토스크 방언이 스트루가 알바니아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우세했다.[21] 스트루가의 지역 로마니족과 터키인도 남부 토스크 알바니아 방언을 사용한다.[21]

'''1948년부터 2021년까지 스트루가의 민족별 인구 변화'''[20]
민족1948년1953년1961년1971년1981년1994년2002년2021년
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인구%
마케도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2,19443.93,42349.96,21554.28,00255.99,43358.98,90153.86,51743.4
알바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1,10922.21,64924.13,50830.64,14929.04,33027.05,29332.04,90332.7
튀르크인align="right" |align="right" |92718.699414.57306.48325.88875.59275.58105.4
로마니족align="right" |align="right" |1412.8200.0120.14212.91140.7970.61410.9
블라흐인align="right" |align="right" |53610.700.000.03372.354622.95503.34312.9
세르비아인align="right" |align="right" |420.9540.81060.9840.6910.6720.4490.3
보스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00.000.000.000.000.0160.1230.2
기타/미신고align="right" |align="right" |471.073710.89047.95003.57204.57234.45743.8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colspan="14" |1,56110.4
합계4,9234,9966,85711,47514,32516,03716,55915,009


5. 2. 언어

1900년 바실 칸초프가 수집한 통계에 따르면 스트루가에는 4,570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3,000명은 기독교 불가리아인, 1,000명은 터키인, 350명은 무슬림 알바니아인, 220명은 로마니족이었다.[15] 불가리아 연구자 바실 칸초프는 1900년에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스스로를 터키인이라고 주장했다고 썼다. 소피아 대학교 교수 요르단 이바노프는 1915년에 알바니아인들이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적 의식이 부족하고 외국의 선전에 영향을 받아 종교에 따라 스스로를 터키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으로 칭했다고 썼다. 알바니아인들은 스트루가에서 모국어를 잃어가고 있었다.[16]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트루가 시의 거주민들의 모국어는 다음과 같았다.[18]

스트루가에 있는 알바니아인들은 게그토스크 방언을 모두 사용하며, 사용자는 흑룡강을 경계로 나뉜다. 스트루가의 알바니아 방언은 중앙 게그와 북부 토스크 사이 어딘가에 위치하며, 그들 사이에는 뚜렷한 특징이 많지 않다. 그들 간의 차이점은 주로 음운론과 형태론에 있으며, 어휘론 측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 또한, 토스크 방언과 오늘날의 현대어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전환적인 구어체인 시 방언 또한 존재한다.[19]

20세기 후반 수십 년 전까지 특히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알바니아 토스크 방언이 스트루가 알바니아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우세했다.[21] 스트루가의 지역 로마니족은 남부 토스크 알바니아 방언으로 말하고 노래하며, 지역 터키인도 그렇다.[21]

'''민족 집단별 스트루가시 인구 (1948–2021)[20]'''
민족
집단
1948년1953년1961년1971년1981년1994년2002년2021년
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
마케도니아인2,19443.93,42349.96,21554.28,00255.99,43358.98,90153.86,51743.4
알바니아인1,10922.21,64924.13,50830.64,14929.04,33027.05,29332.04,90332.7
터키인92718.699414.57306.48325.88875.59275.58105.4
로마니족1412.8200.0120.14212.91140.7970.61410.9
발라흐인53610.700.000.03372.354622.95503.34312.9
세르비아인420.9540.81060.9840.6910.6720.4490.3
보스니아인00.000.000.000.000.0160.1230.2
기타/미신고471.073710.89047.95003.57204.57234.45743.8
해당사항 없음colspan="14" |1,56110.4
합계4,9234,9966,85711,47514,32516,03716,55915,009


5. 3. 종교

16세기 스트루가는 오스만 제국의 오흐리드 산자크에 속해 있었으며, 당시 기독교인 가구와 무슬림 가구가 함께 등록되었다.[14] 1900년 통계에 따르면 스트루가에는 기독교 불가리아인, 터키인, 무슬림 알바니아인, 로마니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15] 불가리아 연구자 바실 칸초프는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스스로를 터키인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 이후 이슬람교로 개종하면서 "터키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6]

1943년 이탈리아 알바니아 보호령 (1939-1943) 인구 조사에서는 스트루가에 정교회 마케도니아인, 무슬림 알바니아인, 아로마니아인 등이 거주했다.[17]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트루가 시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8]

  • 정교회 기독교인: 9,197명 (55.5%)
  • 무슬림: 7,075명 (42.7%)
  • 기타: 287명 (1.7%)


스트루가에 있는 알바니아인들은 게그토스크 방언을 모두 사용하며, 흑룡강을 경계로 나뉜다.[19] 20세기 후반까지는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알바니아 토스크 방언이 스트루가 알바니아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우세했다.[21] 스트루가의 지역 로마니족과 터키인도 남부 토스크 알바니아 방언을 사용한다.[21]

민족 집단별 스트루가시 인구 (1948–2021)[20]
민족
집단
1948년 인구 조사1953년 인구 조사1961년 인구 조사1971년 인구 조사1981년 인구 조사1994년 인구 조사2002년 인구 조사2021년 인구 조사
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숫자%
마케도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2,19443.93,42349.96,21554.28,00255.99,43358.98,90153.86,51743.4
알바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1,10922.21,64924.13,50830.64,14929.04,33027.05,29332.04,90332.7
터키인align="right" |align="right" |92718.699414.57306.48325.88875.59275.58105.4
로마니족align="right" |align="right" |1412.8200.0120.14212.91140.7970.61410.9
발라흐인align="right" |align="right" |53610.700.000.03372.354622.95503.34312.9
세르비아인align="right" |align="right" |420.9540.81060.9840.6910.6720.4490.3
보스니아인align="right" |align="right" |00.000.000.000.000.0160.1230.2
기타/미신고align="right" |align="right" |471.073710.89047.95003.57204.57234.45743.8
PWDTFAS*colspan="14" |1,56110.4
합계4,9234,9966,85711,47514,32516,03716,55915,009


  • PWDTFAS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6. 문화

시내를 흐르는 흑 드림 강


스트루가는 북마케도니아에서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곳이며, 시인 콘스탄틴과 디미타르 밀라디노프의 출생지이다.

주로 관광을 통해 수입을 얻는다. 스트루가는 오흐리드 호에 면해 있어 오흐리드보다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스트루가 바자르, 오래된 교회 및 모스크, 그리고 3개의 해변이 있다.

6. 1. 스트루가 시의 밤

스트루가 시의 밤은 세계 최대 규모의 시 축제이자 스트루가 문화 생활의 주요 행사이다. 1966년 이후 여러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6. 2. 문화 유적

칼리슈타 수도원의 암석 교회 프레스코화


스트루가와 그 주변에는 여러 문화 유적이 있다.

  • '''칼리슈타 수도원'''은 시내 중심가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오흐리드 호 기슭에 있다. 16세기부터 14세기와 15세기의 프레스코화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라도즈다'''에 있는 또 다른 암석 교회에는 13세기와 14세기의 프레스코화가 있다.
  • '''브라니슈타'''에 있는 스베타 보고로디차 교회(성 마리아 교회)는 차르 사무엘이 즉위한 곳으로 여겨진다.
  • '''성 게오르기 교회'''는 시내에 있으며, 사무엘 교회 위에 지어졌고, 14, 15, 16세기의 많은 성화가 있다.[30]
  • '''라돌리슈타 마을''' 근처에서는 4세기의 바실리카가 발견되었으며, 모자이크가 있다.


스트루가의 오래된 건축물은 18세기와 19세기부터 시작되었다.

7. 스포츠

FC 스트루가와 FK 카라오르만 두 팀 모두 북마케도니아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세 번째 클럽인 블라즈니미는 현재 북마케도니아 3부 리그 (남서부 디비전)에서 활동하고 있다.

8. 경제

스트루가의 주요 수입원은 국내 관광이다. 오흐리드 호수에 위치한 스트루가는 번화한 오흐리드보다 조용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이 도시에서는 밀라디노브치 형제의 집, 오래된 바자, 수백 년 된 교회와 모스크 등 아름다움과 문화를 보여주는 여러 장소를 방문할 수 있다.

저녁에는 "남자 해변"(maška plaža), "여자 해변"(Ženska plaža), 갈매기(Galeb, "갈매기 해변")이라 불리는 세 종류의 해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 해변들은 크르니 드림 강(흑룡강)이 호수로 흘러드는 어귀 바로 앞에 위치하며, "갈매기 해변"은 "남자 해변"과 "여자 해변" 사이에 있다.

"남자 해변" 바로 앞, 크르니 드림 강 어귀에는 스트루가에서 가장 큰 5성급 호텔인 드림 호텔이 있다. 도시 외곽에는 비세르(Biser, 진주)라고 불리는 호수 근처의 또 다른 관광 명소이자 호텔이 있다.

매년 8월에는 "시의 다리"(Струшки Вечери на Поезијата|스트루슈키 베체리 나 포에시야타mk)에서 스트루가 시의 밤(SPE)이 열려 전 세계의 시인, 작가, 예술가들이 참석한다.[22]

8. 1. 관광



스트루가 수입의 상당 부분은 국내 관광을 통해 발생한다. 오흐리드 호수에 위치한 스트루가는 번화한 오흐리드보다 약간 더 조용하고 평화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북마케도니아의 이 조용한 도시를 방문하면 밀라디노브치 형제의 집의 점토 냄비, 오래된 바자, 수백 년 된 교회와 모스크와 같이 아름다움과 문화를 보여주는 몇몇 다른 장소들이 있다.

저녁 전에는 "남자 해변"(maška plaža), "여자 해변"(Ženska plaža), 갈매기(Galeb, "갈매기 해변")이라고 불리는 3종류의 해변에서 즐길 수 있는데, 이 해변들은 크르니 드림 강(흑룡강)이 자체 흐름으로 흘러드는 강 어귀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앞의 두 해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남자 해변" 바로 앞, 크르니 드림 강 어귀에는 스트루가에서 가장 큰 5성급 호텔 드림이 위치해 있다.

도시 외곽에는 비세르(Biser, 진주)라고 불리는 호수 근처의 또 다른 관광 명소가 있으며, 호텔이기도 하다.

매년 8월에는 "시의 다리"(Струшки Вечери на Поезијата|스트루슈키 베체리 나 포에시야타mk)에서 스트루가 시의 밤 (SPE)이 열리며 전 세계의 시인, 작가, 예술가들이 참석한다.

;교회[22]

  • 성 조지 교회 – 13세기;
  • 성 니콜라스 교회
  • 향유하는 여인들의 교회


9. 국제 관계

스트루가는 루마니아 망갈리아, 북키프로스 파마구스타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9. 1. 자매 도시

국가도시
터키Büyükçekmece|뷔윅체크메제tr[23]
루마니아Mangalia|망갈리아ro[24]
미국코네티컷주 워터베리[25]
북키프로스Famagusta|파마구스타tr[26]


참조

[1] 서적 Македонска тетрадка "СМ"
[2] 서적 The golden garland of the Struga nights of poetry
[3] 서적 Гласник на Институтот за национална историја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Slovene Language in the Digital Age
[5] 서적 Planinski terminološki slovar
[6]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7] 문서 Geography
[8]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9]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10] 웹사이트 1591 Lorenzo Bernardo: Journey of the Venetian Ambassador http://www.albanianh[...] 2022-09-04
[11] 웹사이트 1865 Henry Fanshawe Tozer: Researches in the Highlands of Turkey http://www.albanianh[...] 2022-09-04
[12] 웹사이트 STRUGA POETRY EVENINGS http://svp.org.mk/en[...] 2022-09-04
[13] 서적 İbrahim Temo'nun İttihad ve Terakki Anıları Arba
[14] 서적 Etnokultura e Fushëgropës së Ohrit https://www.botimpex[...] Çabej 2021-10-24
[15] 서적 Macedonia: Ethnography and Statistics http://www.promacedo[...] Sofia
[16] 간행물 DISA SHËNIME PËR SHQIPTARËT ORTODOKSË TË REKËS SË EPËRME
[17] 웹사이트 Ethnic/religious composition of Struga district http://pop-stat.mash[...] 2023-05-22
[18] 문서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Censuses of population 1948 - 2002 http://www.stat.gov.[...]
[19] 학술지 Tosk and Geg in the Spoken Albanian of Struga https://www.research[...] 2011
[20] 문서 Censuses of population 1948 – 2002 http://makstat.stat.[...]
[21] 서적 Ladorishti: Histori dhe Tradita https://books.google[...] Asdreni
[22] 서적 "Карта на верски објекти во Македонија" Менора – Скопје: Комисија за односи во верските заедници и религиозните групи
[23]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imiz https://www.bcekmece[...] 2021-09-13
[24] 웹사이트 Orase infratite Arhive https://mangalia.ro/[...] 2021-09-13
[25] 웹사이트 "Waterbury and Struga Agree To Become Sister Cities, O'Leary To Visit Macedonia Next Summer" https://web.archive.[...] The Waterbury Observer 2014-01-23
[26] 웹사이트 Gazimağusa Belediyesi https://www.gazimagu[...] 2023-05-20
[27] 서적 Macedon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09-10-03
[28] 문서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tat.gov.[...]
[2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web.archive.[...] 2013-07-31
[30] 서적 Карта на верски објекти во Македонија Менора - Скопје: Комисија за односи во верските заедници и религиозните груп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