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프리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프리기나는 에디아카라기에 살았던 3~5cm 크기의 생물로, 직사각형 모양에 체절화된 몸을 가졌다. 윗부분은 겹치는 큐티클 판으로 덮여 있으며, 앞의 두 마디는 머리를 형성한다. 속명은 에디아카라 생물군을 연구한 레그 스프리그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유일하게 인정받는 종은 스프리기나 플로운데르시이다. 스프리기나는 에디아카라기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계통 분류는 불분명하지만 환형동물, 절지동물 또는 별개의 분류군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에디아카라 생물군
    에디아카라 생물군은 선캄브리아 시대 말기 에디아카라기에 번성한 다세포 생물군으로, 해파리나 유연체와 유사한 형태의 화석으로 발견되며, 캄브리아기 폭발 이전 생명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고생물학 및 진화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작은껍질화석
    작은껍질화석은 1975년 명명된, 캄브리아기 이전과 초기에 번성하며 초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화석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스프리기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수 밀리미터 크기의 스프리기나 화석표본
학명Spriggina floundersi
분류
동물계
†전절동물문
†케팔로조아강
†스프리기나과
†스프리기나속
속 명명Glaessner, 1958
모식종Spriggina floundersi
모식종 명명Glaessner, 1958
화석 기록

2. 특징

스프리기나는 3~5cm까지 자라며,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다. 몸은 체절화되어 있고, 합쳐진 마디는 없으며, 때때로 마디가 휘어져 있다.[6] 스프리기나의 윗부분은 서로 겹치는 큐티클 판 한 줄로 덮여있으며, 그 아래에는 다른 판들이 짝을 지어 늘어서 있다.[6]

닐페나 에디아카라 국립공원(Nilpena Ediacara National Park)의 현장에서 관찰한 스프리기나의 표본


앞의 두 마디는 '머리'를 형성한다. 앞의 마디는 윗면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 한 쌍 있는 말발굽 모양이며 눈일 가능성으로 보고 있다.[6] 더듬이가 있을 수도 있다. 뒤이어 있는 마디들은 모두 환절이다.[6]

일부 화석에는 반원형 머리 중앙에 원형 입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보존되어 있는 큰 입자에 비해 이 생물의 크기가 너무 작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6] 다리는 보존되지 않았다.

관찰된 대칭 형태는 정확히 좌우대칭이 아니지만[6] 미끄럼반사(glide reflection)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맞은편의 마디가 간극의 반만큼 움직여져 있는 것을 뜻한다.[3] 일부 표본에서는 몸 마디가 뒤로 기울어져 얼추 V자 모양을 이루지만, 다른 표본에서는 다소 직선형이다.

3. 발견 및 명명

속명은 에디아카라 생물군을 발굴하고 이들을 다세포생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레그 스프리그의 성에서 따와 명명했다.[1] '''스프리기나 플로운데르시'''(''Spriggina floundersi'')는 스프리기나속에 유일하게 인정받은 종이다. 종소명 "''floundersi''"는 호주 남부 출신의 아마추어 화석사냥꾼 벤 플런더스(Ben Flounders)의 성에서 따왔다.[7] 스프리기나 오바바타(''Spriggina ovata'')는 현재 독자 속인 마리바데아(''Marywadea'')로 이동했다.[8]

스프리기나는 에디아카라기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약 16억 5천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빈디아 분지에서 출토된 화석은[10] '''스프리기나속'''으로 분류되었으나,[9] 미생물이 만들어낸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10]

스프리기나는 거칠지만 석회화되지 않은 몸을 지녔다. 이는 항상 화석이 있는 층의 아랫면에 있는 몰드와 같은 화석 보존의 예이다.

4. 계통 분류

스프리기나 화석의 디지털 강화 그림


에디아카라 생물군의 대부분처럼, 다른 계통과 스프리기나와의 연관성이 불분명하다. 현생 다모류인 토모프테리스(''Tomopteris'') 및 양목갯지렁이과와 닮은점이 있으나,[11] 다른 증거들과 함께 측지(chaeta)의 부족으로 인해, 스프리기나는 환형동물문에 속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12] 별개의 계 단위 분류군일지도 모르는 에디아카라 생물군의 엽상류 구성원인[13] 랑게오모르프[14]와도 비교된다. 정류 대칭 형태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면, 일부 다른 연구진은 스프리기나를 절지동물로 추정하기도 한다. 삼엽충과 외형상 닮은 점은 이 생물 강과 가까운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14] 삼엽충과의 이러한 유사점은 수렴진화의 한 예시일 수도 있다.[15] 스프리기나는 육식성일 수 있으며, 캄브리아기 전이기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맡았을지도 모른다.[16]

참조

[1] 저널 New Fossils from the Base of the Cambrian in South Australia http://www.samuseum.[...] 2007-09-29
[2] 저널 FOSSIL EMBLEM OF THE STATE OF SOUTH AUSTRALIA http://www.governmen[...] Department of the Premier and Cabinet 2017-02-16
[3] 저널 Vendian and Other Precambrian "Arthropods" https://www.research[...]
[4] 저널 The Late Precambrian Fossils from Ediacara, South Australia http://palaeontology[...] 2013-09-22
[5] 서적 The Rise of Animals: 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Kingdom Animalia https://books.google[...] JHU Press
[6] 저널 The Vendian (Ediacaran) in the geological record: Enigmas in geology's prelude to the Cambrian explosion
[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Ediacaran Biota The Geological Society
[8] 저널 A new genus of late Precambrian polychaete worms from South Australia. http://www.samuseum.[...] 2007-09-29
[9] 저널 Ediacara fossil assemblage in the upper Vindhyans of Central India and its significance
[10] 저널 The controversial "Cambrian" fossils of the Vindhyan are real but more than a billion years older
[11] 저널 Fossils explained 35: The Ediacaran biota
[12] 저널 Polychaete chaetae: Function, fossils, and phylogeny
[13] 저널 Vendobionta and Psammocorallia: lost constructions of Precambrian evolution http://jgs.lyellcoll[...] 2007-06-21
[14] 저널 "Spriggina" is a Trilobitoid Ecdysozoan http://gsa.confex.co[...] 2008-08-30
[15] 저널 The fossil record and the early evolution of the Metazoa http://jan.ucc.nau.e[...] 2016-08-04
[16] 서적 Predator-Prey Interactions in the Fossil Rec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