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레이프니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레이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여덟 다리를 가진 말이다. 《고 에다》와 《신 에다》를 비롯한 다양한 문헌에서 슬레이프니르가 언급되며, 오딘이 헬헤임으로 가는 여정 등에 등장한다. 로키가 암말로 변신하여 스바딜파리와의 사이에서 슬레이프니르를 낳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고학적 유물에서는 슬레이프니르를 묘사한 그림 석비가 발견되었으며, 신화 해석에 따르면 슬레이프니르는 죽음의 세계와 연관되어 있으며 샤먼의 말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현대에는 아이슬란드의 지형, 예술 작품, 문학, 그리고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슬레이프니르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드 신화의 말 - 스바딜파리
    스바딜파리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말로, 로키가 낳은 슬레이프니르의 아버지이며, 아스가르드 성벽 건설과 관련된 일화에서 건축가와의 계약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 노르드 신화의 말 - 그라니
    그라니는 노르드 신화 영웅 시구르드의 말로, 슬레이프니르의 친족으로 묘사되며 시구르드가 용 파프니르를 죽인 후 보물을 운반하는 말로 등장하고, 현대 문화에서도 다양한 작품에서 차용된다.
  • 로키 - 마스크 (1994년 영화)
    척 러셀 감독의 영화 마스크는 짐 캐리와 카메론 디아즈 주연의 1994년 미국 슈퍼히어로 코미디 영화로, 로키의 가면을 줍게 된 은행원 스탠리 입키스가 초능력을 가진 '마스크'로 변신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다크 호스 코믹스 원작의 작품이다.
  • 로키 - 로키 (마블 코믹스)
    로키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토르의 의붓형제이자 뛰어난 마법 능력과 변신술을 이용해 음모를 꾸미는 악당이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톰 히들스턴이 연기하여 인기를 얻었다.
  • 오딘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 오딘 - 궁니르
    궁니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드베르그가 만든 오딘의 창으로, 던지면 반드시 맞고 되돌아오는 강력한 무기이며 라그나로크에서 오딘이 사용할 것으로 예언되었다.
슬레이프니르
슬레이프니르
텡그비데 이미지 스톤에 묘사된 슬레이프니르
텡그비데 이미지 스톤에 묘사된 슬레이프니르
유형신화 속의 말
문화북유럽 신화
속성여덟 다리
아버지로키
어머니스바딜파리
주인오딘
어원
의미미끄러운 또는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
기타
관련 항목스레이프니르 (웹 브라우저)

2. 문헌상 출전

슬레이프니르는 《고 에다》와 《신 에다》를 비롯한 여러 북유럽 문헌에 등장한다. 아이슬란드어로 슬레이프니르(Sleipniris) 또는 스칸디나비아에서 말하는 슬레이프네르(Sleipnerse)는 옛날부터 북유럽에 전해지는 이름으로, 영어의 slip영어 등과 같은 어원의 단어이며, "활주하는 것" 등의 의미로 해석된다.[33] 로키가 암말로 변한스바딜파리와의 사이에서 낳았으며,[35][36] 오딘에게 헌상되어 그의 애마이자 군마가 되었다. 8개의 다리를 가진 가장 뛰어난 말로 묘사된다.[36]

2. 1. 고 에다

고 에다》에서 슬레이프니르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시그드리파가 말하기를〉, 〈발드르의 꿈〉, 〈휜들라의 음률시〉에 등장하거나 언급된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오딘이 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쓰고 아그나르 소년에게 세상의 여러 것들 중 제일인 것을 꼽아주는데, 말 중에서는 슬레이프니르가 제일이라고 한다.[39] 〈시그드리파가 말하기를〉에서는 발퀴랴 시그드리파가 영웅 시구르드에게 “슬레이프니르의 이빨과 썰매의 끈을 끊어낼” 을 말해준다.[40]

발드르의 꿈〉에서는 발드르가 악몽을 꾸자 오딘이 슬레이프니르에 안장을 얹고 말달려 헬헤임으로 간다.[41] 〈휜들라의 음률시〉의 한 부분인 〈무녀의 짧은 예언〉에서는 로키("뷜레이스트의 형제")가 앙그르보다와의 사이에서 늑대를 낳았고, 스바딜파리와의 사이에서 슬레이프니르를 낳았고, 마지막으로 어떤 여자의 심장을 구워먹고 “모든 괴물들 중 가장 끔찍한 것”을 낳았다고 한다.[42]

2. 2. 신 에다

신 에다》에서 슬레이프니르가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은 〈길피의 속임수〉 제15장이다. 높으신 분이 에시르가 매일 비프로스트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장면을 묘사하면서 에시르의 말들을 설명하는데, 그 중 필두가 슬레이프니르다. “가장 훌륭한 말은 슬레이프니르니, 그는 곧 오딘의 말이고, 다리가 여덟 개 달렸다.”[43] 제41장에서 높으신 분은 〈그림니르의 말〉을 인용해서 슬레이프니르 이야기를 한다.[44]

42장에서 슬레이프니르의 기원이 묘사된다. 강그렐리(책 앞부분에서 변장한 길피 왕으로 묘사됨)는 하에게 슬레이프니르가 누구의 말이며, 그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해줄 수 있는지 묻는다. 하는 강그렐리가 슬레이프니르와 그 기원에 대해 아는 것이 없는 것에 놀라움을 표한다. 하는 "신들이 미드가르드를 건설하고 발할라를 지었을 때, 신들의 정착이 시작될 무렵" 이름 없는 건축가가 세 계절 안에 신들을 위한 요새를 지어 침략자를 막아주는 대가로 여신 프레이야, 태양, 그리고 달을 요구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잠시 논쟁을 벌인 후, 신들은 이에 동의하지만 건축가에게 여러 제약을 가하는데, 남자의 도움 없이 세 계절 안에 작업을 완료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건축가는 단 한 가지 요청을 하는데, 그의 종마 스바딜파리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로키의 영향으로 이것이 허용된다. 스바딜파리는 건축가의 두 배의 힘을 발휘하며, 신들을 놀라게 할 정도로 거대한 바위를 운반한다. 건축가는 스바딜파리와 함께 벽을 빠르게 건설하여, 여름 마감일 3일 전에 요새 입구에 거의 다다랐다. 신들은 소집되어 책임을 따져 물었고, 대부분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로키가 비난받아야 한다는 만장일치의 결론이 내려졌다.[9]

신들은 건축가로 하여금 대가를 포기하게 만드는 계략을 찾지 못하면 로키가 끔찍한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그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로키는 두려워하며 대가를 포기하도록 하는 계략을 짜내겠다고 맹세했고, 그 대가가 무엇이든 감수하겠다고 했다. 그날 밤, 건축가는 종마 스바딜파리와 함께 돌을 가져오기 위해 나섰고, 숲에서 암말이 뛰쳐나왔다. 암말은 스바딜파리에게 울부짖었고, "어떤 종류의 말인지 깨달은" 스바딜파리는 흥분하여 울부짖고 굴레를 찢어 암말 쪽으로 달려갔다. 암말은 숲으로 달려갔고, 스바딜파리가 뒤따랐으며, 건축가는 쫓아갔다. 두 말은 밤새도록 뛰어다니며 건설 작업을 늦추었고, 건축가가 유지할 수 있었던 건설 작업의 이전 추진력은 지속되지 않았다.[10]

아시르 신들이 건축가가 흐림투르스임을 깨닫자, 건축가와의 이전 맹세를 무시하고 토르를 불렀다. 토르가 도착하여 망치 묠니르로 건축가의 머리를 산산조각 내어 죽였다. 그러나 로키는 스바딜파리와 "그런 관계"를 맺었고, "얼마 후" 로키는 다리가 여덟 개인 회색 망아지를 낳았는데, 이 망아지가 바로 "신들과 인간들 사이에서 가장 훌륭한 말"인 슬레이프니르였다.[10]

49장에서 하는 신 발드르의 죽음을 묘사한다. 헤르모드는 발드르를 돌려받기 위해 헬로 말을 타고 가기로 동의했고, "그때 오딘의 말 슬레이프니르를 데려와 앞으로 이끌었다." 헤르모드는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떠난다. 헤르모드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깊고 어두운 계곡에서 아홉 밤을 달린다. 두 사람은 강 기욜에 도착한 다음 기욜 다리로 계속 가서, 다리를 지키는 모드구드라는 처녀를 만난다. 헤르모드와 모드구드 사이에 몇 마디 대화가 오가는데, 모드구드는 최근에 그보다 덜한 소리를 내며 다섯 개의 죽은 병사 부대가 다리를 건너갔다고 언급한다. 슬레이프니르와 헤르모드는 헬로 가는 길에서 "아래쪽과 북쪽으로" 계속 가서 헬의 문에 도착한다. 헤르모드는 슬레이프니르에서 내려 슬레이프니르의 복대를 조이고, 다시 말에 올라 슬레이프니르를 채찍질한다. 슬레이프니르는 "너무 세게, 그리고 문 위로 뛰어넘어 결코 가까이 가지 못했다." 헤르모드는 홀까지 달려가 슬레이프니르에서 내린다. 발드르를 돌려달라는 헤르모드의 간청이 헬에 의해 조건부로 받아들여진 후, 헤르모드와 발드르는 그들의 길을 되돌아 아스가르드로 돌아온다.[11]

암말로 변한 로키스바딜파리의 자식이며,[35][36] 오딘에게 헌상된 후 그의 애마가 된다. 8개의 다리를 가진 가장 뛰어난 말이며,[36] 군마이다.

2. 3. 헤르보르와 헤이드레이크의 사가

로렌츠 프뢸리히가 그린 그림(1895)에는 오딘이 슬레이프니르 위에 앉아 있고, 그의 까마귀 후긴과 무닌과 늑대 게리와 프레키가 옆에 있다.


''헤르바라르 사가 오크 헤이드레크스''의 시 ''헤이드레크스의 수수께끼''에는 슬레이프니르와 오딘을 언급하는 다음과 같은 수수께끼가 있다.[16]



36. 게스툼블린디가 말하기를:

"누가 두 명인가


열 발로 달리는가?


눈이 셋이고,


꼬리는 하나뿐이라네.


자, 맞춰 보게


이 수수께끼를, 헤이드레크!"

헤이드레크가 말하기를:

"네 수수께끼 훌륭하네, 게스툼블린디,


맞혔다네:


그것은 오딘이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있는 것이라네."


2. 4. 볼숭 일족의 사가

볼숭 사가 13장에서 영웅 시구르드는 숲으로 가던 중 전에 본 적 없는 수염이 긴 노인을 만난다. 시구르드는 노인에게 말을 고르러 간다고 말하며 함께 가서 결정하는 것을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노인은 그들이 말을 부실티요른 강으로 몰아야 한다고 말한다. 둘은 말을 부실티요른의 깊은 곳으로 몰았고, 모든 말들이 헤엄쳐 육지로 돌아왔지만, 크고 젊고 잘생긴 회색 말 한 마리만은 아무도 타 본 적이 없었다. 수염이 흰 노인은 그 말이 "슬레이프니르의 친족"이며 "어떤 말보다 더 훌륭해질 것이기 때문에 조심해서 길러야 한다"라고 말한다. 노인은 사라진다. 시구르드는 그 말의 이름을 그라니라고 지었고, 이야기는 그 노인이 (신) 오딘이었다고 덧붙인다.[34]

전승에서는 오딘이 인간 영웅 시구르드에게 준 명마 그라니가 슬레이프니르의 자손이라고 한다.

2. 5. 데인인의 사적

슬레이프니르는 일반적으로 ''Gesta Danorum'' 제1권에 묘사된 일련의 사건에서 등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8]

제1권에서 젊은 하딩구스는 "한쪽 눈을 잃은 나이 많은 어떤 남자"를 만나 리세루스와 동맹을 맺는다. 하딩구스와 리세루스는 쿠를란트의 통치자 로케루스를 상대로 전쟁을 벌인다. 패배한 노인은 하딩구스를 그의 말에 태워 그의 집으로 도망가고, 둘은 기운을 북돋아주는 술을 마신다. 노인은 예언을 노래하고, 하딩구스를 그가 그를 만났던 곳으로 다시 데려간다. 돌아오는 길에 하딩구스는 노인의 망토 아래에서 떨며 구멍 밖을 내다본다. 하딩구스는 슬레이프니르가 바다 위를 달리고 있음을 깨닫는다. "그는 말의 발 앞에 바다가 놓여 있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금지된 것을 훔쳐보지 말라는 말을 듣고, 그는 자신이 여행하는 길의 끔찍한 광경에서 놀란 눈을 돌렸다."[19]

3. 고고학적 유물

8세기 스웨덴 고틀란드 섬에서 발견된 그림 석 2개에는 여덟 다리 말이 묘사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슬레이프니르로 보고 있다. 그 예로는 Tjängvide 그림 석과 Ardre VIII 그림 석이 있다.[21] 두 석비 모두 여덟 다리 말 위에 앉아 있는 기수를 묘사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오딘으로 본다. Tjängvide 그림 석의 기수 위에는 창을 든 수평 인물이 있는데, 이는 발키리일 수 있으며, 여성 인물이 기수를 컵으로 맞이한다. 이 장면은 기수가 죽은 자들의 세계에 도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21]

셰그비데 그림 석비(스웨덴 남부의 고틀란드 섬에서 유래, 현재는 스톡홀름에 있는 스웨덴 국립 역사 박물관이 소장)


7세기 중반의 에지아 석에는 오딘의 이름인 ''haras'' (고대 노르드어 '군대의 신')가 새겨져 있으며, 이를 슬레이프니르를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22] 일부 학자들은 영국 룬 비문 2 (11세기) 또한 슬레이프니르를 묘사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23]

4. 신화 해석

존 린도우는 슬레이프니르가 "죽음의 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시인 울프 우가손이 자신의 '후스드라파'에서 발드르의 장례식을 묘사하면서 "바다-슬레이프니르"를 사용한 것을 언급한다. 린도우는 슬레이프니르의 여덟 개의 다리에 대해 "빠른 속도를 나타내거나 어떤 불분명한 방식으로 숭배 활동과 연결되어 있다고 해석되어 왔다"고 덧붙였다.[21]

힐다 엘리스 데이비슨은 "오딘의 여덟 다리 말은 전형적인 샤먼의 말"이며, 샤먼이 하늘이나 지하 세계로 여행할 때 "보통 어떤 새나 동물에 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고 말한다. 데이비슨은 슬레이프니르가 신을 공중으로 데려갈 수 있는 능력은 "샤먼의 말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말하며,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샤머니즘 연구에서 부랴트 샤먼의 이야기에서 여덟 다리 망아지에 대한 예를 인용했다. 데이비슨은 "더 유익한 유사성은 네 명의 운반자가 장례 행렬에서 시신을 운반하는 상여에 있는 것 같다. 따라서 그는 여덟 다리가 달린 말에 탄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라고 하며, 인도의 곤드족에서 베리어 엘윈이 기록한 장례 애가에서 "여덟 다리가 달린 말 바그리 마로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노래에서 죽은 자의 상여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데이비슨은 오딘의 말의 여덟 다리 표현이 그러한 이미지에서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슬레이프니르가 죽은 자의 땅으로 그 기수를 데려갈 수 있는 말이라는 그림과 일치한다"고 덧붙였다.[24]

울라 루만드는 슬레이프니르와 하늘을 나는 말 호프바르프니르를 노르드 신화에서 말이 "땅과 하늘,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와 우트가르드 사이, 그리고 필멸의 인간 세계와 지하 세계 사이를 중재할 수 있는" "주요 예시"로 인용했다.[25]

'인도유럽 문화 백과사전'은 슬레이프니르의 여덟 다리가 인도유럽 문화에서 발견되는 말과 관련된 신성한 쌍둥이의 잔재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 종교에서 유래했다고 이론화한다. 백과사전은 "[...] 슬레이프니르는 다리가 추가로 한 세트가 더해져 태어났으며, 이는 원래 한 쌍의 말을 나타낸다. 프레이르와 뇨르드처럼, 슬레이프니르는 죽은 자를 다른 세계로 데려가는 역할을 한다."라고 명시한다.[26]

5. 현대의 영향

아이슬란드 민속에 따르면, 아이슬란드 북부 Jökulsárgljúfur 국립 공원에 위치한 말발굽 모양의 협곡 아스비르기는 슬레이프니르의 발굽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한다.[27] 슬레이프니르는 노르웨이 오슬로 오슬로 시청 외부에 있는 다그핀 베렌스키올드의 나무 부조 ''오딘 온 슬레이프니르''(1945–1950)에서 오딘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28]

슬레이프니르는 북유럽에서 배의 이름으로 인기가 있었다. 러디어드 키플링의 단편 소설 ''Sleipner, late Thurinda''(1888)에는 슬레이프니르라는 이름의 말이 등장한다.[29][27] 잉글랜드 웨드네스베리에는 슬레이프니르 동상(1998)이 서 있는데, 이 도시는 오딘의 앵글로색슨 이교 버전인 Wōden에서 이름을 따왔다.[30] --

일본 기업 펜릴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 소프트웨어 "Sleipnir"는 신마 슬레이프니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JRA에서는 2019년부터 슬레이프니르 스테이크스가 신설되었다.

참조

[1] 서적 Orchard 1997
[2] 서적 Kermode 1904
[3] 서적 Larrington 1999
[4] 서적 Larrington 1999
[5] 서적 Larrington 1999
[6] 서적 Larrington 1999
[7] 서적 Faulkes 1995
[8] 서적 Faulkes 1995
[9] 서적 Faulkes 1995
[10] 서적 Faulkes 1995
[11] 서적 Faulkes 1995
[12] 서적 Faulkes 1995
[13] 서적 Faulkes 1995
[14] 서적 Faulkes 1995
[15] 서적 Faulkes 1995
[16] 서적 Hollander 1936
[17] 서적 Byock 1990
[18] 서적 Lindow 2001
[19] 서적 Grammaticus & Elton 2006
[20] 서적 Grammaticus & Elton 2006
[21] 서적 Lindow 2001
[22] 서적 Simek 2007
[23] 서적 Viking Empires 2005
[24] 서적 Davidson 1990
[25] 서적 Loumand 2006
[26] 서적 Mallory. Adams 1997
[27] 서적 Simek 2007
[28] 웹사이트 Yggdrasilfrisen http://www.oslo.komm[...] 2001-06-26
[29] 서적 Abaft the Funnel https://books.google[...] B. W. Dodge & Company 1909
[30] 서적 Noszlopy, Waterhouse 2005
[31] 서적 谷口幸男訳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などに見られる[[仮名 (文字)|仮名]][[転写 (言語学)|転写]]形
[32] 서적 山室静訳 『北欧神話と伝説』などに見られる仮名転写形
[3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7] 서적 Orchard 1997
[38] 서적 Kermode 1904
[39] 서적 Larrington 1999
[40] 서적 Larrington 1999
[41] 서적 Larrington 1999
[42] 서적 Larrington 1999
[43] 서적 Faulkes 1995
[44] 서적 Faulkes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