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바키아의 대통령은 슬로바키아의 국가 원수이며, 1993년 슬로바키아의 독립 이후 헌법에 의해 제정되었다. 초대 대통령은 미할 코바치였으며, 1998년에는 대통령 선출 실패로 인해 권한 대행 체제가 운영되기도 했다.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은 국민 투표로 선출되며, 페테르 펠레그리니가 2024년 6월 15일 현재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대통령은 주로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총리 임명, 법안 거부권 행사 등의 권한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 정부 - 슬로바키아의 총리
슬로바키아의 총리는 의원내각제하에서 국민의회의 신임을 받아 내정을 책임지는 정부수반으로, 각료 임명에 대해 대통령에게 조언하며 슬로바키아 국민이자 국민의회 의원이어야 한다. - 슬로바키아 정부 -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민의회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민의회는 슬로바키아의 유일한 헌법 및 입법 기관으로, 4년 임기의 의원을 비례대표제로 선출하며 헌법 및 법률 제정, 예산 승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페테르 펠레그리니
슬로바키아 정치인 페테르 펠레그리니는 은행, 투자, 금융을 전공하고 국민의회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재무차관, 교육부 장관, 국회의장, 총리를 거쳐 2024년 대통령에 당선, 슬로바키아 역사상 대통령, 총리, 국회의장을 모두 역임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요제프 티소
슬로바키아의 가톨릭 사제이자 정치인인 요제프 티소는 슬로바키아 인민당 지도자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괴뢰국인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으나,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사형당해 그의 행적은 슬로바키아 내에서 논쟁적이다.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직위 | 슬로바키아 공화국 대통령 |
원어 명칭 | Prezident Slovenskej republiky |
![]() | |
현직 | 페테르 펠레그리니 |
현직 취임일 | 2024년 6월 15일 |
관저 | 브라티슬라바 구시가지 그라살코비흐 궁전 |
호칭 | 대통령 각하 (비공식) 각하 (외교) |
유형 | 국가 원수 |
임명 방식 | 국민 투표 |
임기 | 5년, 1회 연임 가능 |
성립 | 슬로바키아 헌법 |
초대 | 미할 코바치 (1993년 3월 2일) |
계승 | 계승 순위 |
연봉 | 약 204,000 € (2024년 기준) |
전직 대통령 연금 | 약 48,000 € (2024년 기준) |
웹사이트 | 슬로바키아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계승 순위 | 미정 |
2. 역사
슬로바키아의 대통령직은 1993년 1월 1일 슬로바키아 헌법에 의해 제정되었는데, 이는 슬로바키아가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 독립한 결과였다. 초대 대통령인 미할 코바치는 1993년 3월 2일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민의회에서 선출되었다.
그러나 1998년 국민의회는 코바치의 후임자를 선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코바치의 임기가 만료된 1998년 3월부터 반년 동안 대통령직은 공석이었고, 그 권한은 당시 총리와 국민의회 의장에게 위임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헌법이 개정되어 대통령을 국민 투표로 선출하게 되었다. 이후 대통령 선거는 1999년, 2004년, 2009년, 2014년, 2019년, 2024년에 치러졌다.
2. 1. 슬로바키아(1939~1945년)
요제프 티소는 1939년 10월 26일부터 1945년 4월 3일까지 슬로바키아의 대통령을 역임했다.2. 2. 1993년 이후
요제프 모라브치크 (1994-1998)블라디미르 메치아르 (1994-1998)




로베르트 피초 (2006-2010)
이베타 라디초바 (2010-2012)

페테르 펠레그리니 (2018-2020)

이고르 마토비치 (2020-2021)
에두아르드 헤게르 (2021-2023)
류도비트 오도르 (2023)
로베르트 피초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