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립 (공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립(Slip)은 재료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결정 재료의 소성 변형, 즉 영구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주요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결정 구조 내에서 원자 면들이 서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슬립은 슬립 시스템과 슬립 밴드로 분류된다. 슬립 시스템은 면심 입방(FCC), 체심 입방(BCC), 육방 밀집 구조(HCP) 등 결정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슬립 밴드는 특정 면에서의 집중적인 슬립으로 인해 발생한다. 슬립 활성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슬립 흔적 분석, 중성자 회절, 전자 후방 산란 회절, 투과 전자 현미경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 - 원자 모형
원자 모형은 원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다양한 모델들의 변천사로, 돌턴 모형, 톰슨 모형, 러더퍼드 모형, 보어 모형을 거쳐 현대 원자 모형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다. - 원자 - 원자핵
원자핵은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전하 입자로,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핵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양성자 수는 원소 종류, 중성자 수는 동위원소를 결정하고 핵융합 및 핵분열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합금 -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금속 합금으로, 의료, 항공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니켈-티타늄 합금이 대표적이다. - 합금 - 연철
연철은 탄소 함량이 낮고 슬래그를 포함하며, 청동을 대체하여 농기구, 무기 등에 사용되다가 강철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문화재 복원 등에 사용된다. - 금속 - 중금속
중금속은 과학적 정의가 불분명한 용어로, IUPAC는 모호성과 오해의 소지를 지적하며 독성 및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미나마타병,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중독 사례가 있는 물질이다. - 금속 - 부식
부식은 재료가 외부 환경과 반응하여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변질되는 현상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재료에서 발생하며 사회기반시설 손상 및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므로, 도금, 도장, 음극방식 등의 방법으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슬립 (공학) | |
---|---|
재료 과학에서의 슬립 | |
개요 | |
정의 | 결정 내에서 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결정학적 면을 따라 변위되는 것 |
기호 | b |
관련 개념 | 전위 결정 구조 |
설명 | |
현상 | 재료의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주요 메커니즘 중 하나 |
슬립면 | 결정 구조 내에서 원자 밀도가 가장 높은 면 |
슬립 방향 | 슬립면 내에서 원자들이 가장 가깝게 배열된 방향 |
특징 | 특정 결정 시스템에서 슬립면과 슬립 방향은 제한됨 슬립 시스템: 슬립면과 슬립 방향의 조합 |
슬립 시스템 | |
면심 입방 결정 (FCC) | 슬립면: {111} (4개) 슬립 방향: <110> (각 면에 3개) 총 12개의 슬립 시스템 |
체심 입방 결정 (BCC) | 슬립면: {110} (6개) 슬립 방향: <111> (각 면에 2개) 총 12개의 슬립 시스템 다른 슬립 시스템도 활성화 가능 ({211}, {321}) |
조밀 육방 결정 (HCP) | 슬립면: {0001} (1개) 슬립 방향: <1120> (각 면에 3개) 총 3개의 슬립 시스템 슬립 시스템 수가 적어 소성 변형이 제한적임 |
영향 요인 | |
온도 | 온도가 증가하면 슬립이 더 쉽게 발생함 |
불순물 | 불순물은 슬립을 방해하여 재료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 |
결정립 크기 | 결정립 크기가 작을수록 슬립이 더 어렵게 발생함 (결정립계면 강화) |
공학적 중요성 | |
재료 설계 | 슬립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특정 응용 분야에 적합한 재료를 설계하는 데 중요함 |
강도 강화 | 슬립을 방해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예: 냉간 가공, 합금 강화) |
2. 슬립 시스템
2. 1. 면심 입방 결정 (FCC)
면심 입방 (fcc) 결정에서의 슬립은 조밀하게 쌓인 면을 따라 발생한다.[3] 슬립 면은 {111} 유형이며, 방향은 <10> 유형이다. 오른쪽 그림에서 특정 면과 방향은 각각 (111) 및 [10]이다.
슬립 면 유형과 방향 유형의 순열을 고려할 때, fcc 결정은 12개의 슬립 시스템을 갖는다. 이는 높은 연성을 나타내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3] fcc 격자에서 버거스 벡터, b의 노름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4]
:[4]
여기서 a는 단위 세포의 격자 상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포스코 등 철강 기업을 중심으로 FCC 구조를 가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슬립 시스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 2. 체심 입방 결정 (BCC)
체심 입방 격자(bcc) 결정의 슬립은 가장 짧은 버거스 벡터 평면을 따라 발생한다. 그러나 면심 입방 구조(fcc)와 달리, bcc 결정 구조에는 진정한 조밀하게 쌓인 면이 없다. 따라서 bcc에서 슬립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열이 필요하다.[3]일부 bcc 재료(예: α-Fe)는 최대 48개의 슬립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유형 {110}의 슬립면 6개가 있으며, 각 면에는 두 개의 <111> 방향이 있다(12개 시스템). 24개의 {123} 면과 12개의 {112} 면이 각각 하나의 <111> 방향을 가집니다(총 48개의 시스템 중 36개 시스템). bcc 결정에서 가능한 슬립 시스템의 수가 fcc 결정보다 훨씬 많지만, 증가된 격자 마찰 응력으로 인해 연성이 반드시 더 높지는 않다.[3] {123} 면과 {112} 면은 {110} 면과 활성화 에너지에서 정확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에너지에서 매우 가깝기 때문에 모든 의도와 목적을 위해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에서 특정 슬립면과 방향은 각각 (110) 및 [11]이다.[4]
:[4]
2. 3. 육방 밀집 구조 (HCP)
육방 밀집 구조(HCP) 금속에서의 슬립은 체심 입방 구조 및 면심 입방 구조의 결정 구조에서보다 훨씬 제한적이다.[6] 일반적으로 HCP 결정 구조는 조밀하게 쌓인 기저면(0001)에서 0>}} 방향으로 슬립을 허용한다. 다른 슬립 면의 활성화는 c/a 비율과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진다.[6]기저 면에는 2개의 독립적인 슬립 시스템만 있기 때문에 임의의 소성 변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슬립 또는 트윈 시스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훨씬 더 높은 분해 전단 응력을 필요로 하며, 일부 HCP 다결정체의 취성 거동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 티타늄과 같은 다른 HCP 재료는 많은 슬립 시스템을 통해 높은 연성을 보인다.[6]
카드뮴,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베릴륨은 {0001} 슬립 면과 0>}} 슬립 방향을 가지며, 총 3개의 슬립 시스템을 갖는다.[7]

슬립을 유도할 수 있는 결정 내에는 엣지 전위와 스크류 전위 두 가지 유형의 전위가 있다. 엣지 전위는 버거스 벡터의 방향이 전위 선에 수직인 반면, 스크류 전위는 버거스 벡터의 방향이 전위 선에 평행하다. 생성되는 전위 유형은 주로 가해지는 응력의 방향, 온도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스크류 전위는 다른 슬립 면에 버거스 벡터의 방향이 포함되어 있으면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쉽게 크로스 슬립될 수 있다.[2]
3. 슬립 밴드
슬립 밴드의 형성은 특정 면에서 집중적인 단방향 슬립이 발생하여 응력 집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슬립 밴드는 표면 단차(즉, 영구 슬립 밴드로 인한 피로 중 거칠기) 및 균열 핵 생성 부위가 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유발한다. 슬립 밴드는 경계에 부딪힐 때까지 확장되며, 해당 경계에 대한 전위 축적으로부터 생성된 응력은 작동하는 슬립을 멈추거나 전달한다.[9][10]
사이클 조건 하에서 슬립 밴드의 형성은 영구 슬립 밴드 (PSB)로 언급되며, 단조 조건 하에서의 형성은 전위 평면 배열(또는 간단히 슬립 밴드)로 언급된다.[11] 슬립 밴드는 혀 모양 및 리본 모양 압출로 나타나는 PSB의 높은 소성 변형 국소화(복잡성)가 없는 전위 글라이딩으로 인한 경계 슬라이딩으로 간단히 볼 수 있다. 그리고 PSB는 일반적으로 입자를 가로질러 확장되고 피로 동안 악화되기 때문에 (유효) 버거스 벡터가 압출 면과 정렬되어 연구된다;[12] 단조 슬립 밴드는 전파를 위한 버거스 벡터와 팁의 조건에 의해 모두 제어되는 평면 압출을 위한 다른 버거스 벡터를 갖는다.
3. 1. 영구 슬립 밴드 (PSB)
반복 하중 조건에서 형성되는 슬립 밴드를 영구 슬립 밴드(PSB)라고 한다.[11] 슬립 밴드는 표면 단차 및 균열 핵 생성 부위가 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유발하며, 경계에 부딪힐 때까지 확장된다.[9][10] 경계에 대한 전위 축적으로부터 생성된 응력은 작동하는 슬립을 멈추거나 전달한다. PSB는 입자를 가로질러 확장되고 피로 동안 악화되기 때문에 (유효) 버거스 벡터가 압출 면과 정렬되어 연구된다.[12] PSB는 피로 균열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4. 슬립 활성도 분석
활성 슬립 시스템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에는 단결정[13][14] 또는 다결정체의 슬립 흔적 분석[15][8], 중성자 회절[16] 및 고각 분해 전자 후방 산란 회절 탄성 변형 분석과 같은 회절 기술[17], 투과 전자 현미경 전위의 회절 이미징[18] 등이 있다.
회절 기반 연구는 슬립된 전위 대신 잔류 전위 함량을 측정하는데, 이는 면심 입방 다결정체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필요한 전위 네트워크를 축적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만 좋은 근사치이다.[19] 육방정계 결정족 지르코늄과 같은 낮은 대칭 결정에서는 기하학적으로 필요한 전위가 반드시 축적되지 않을 수 있는 단일 슬립이 우세한 영역이 있을 수 있다.[20] 잔류 전위 함량은 가동 전위와 정지 전위를 구별하지 않는다. 가동 전위는 슬립과 경화에 기여하지만, 정지 전위는 잠재적 경화에만 기여한다.[5]
회절 방법은 일반적으로 잔류 전위의 슬립면을 해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Zr에서 ⟨a⟩/〈𝑎〉영어 전위의 나사 성분은 프리즘, 기저 또는 1차 피라미드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 + a⟩/〈𝑐 + 𝑎〉영어 나사 전위는 1차 또는 2차 피라미드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5]
슬립 흔적 분석에서는 슬립면만 측정하고 슬립 방향은 추론한다. 예를 들어 지르코늄에서는 이를 통해 기저면, 프리즘면 또는 1/2차 피라미드면의 슬립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1차 피라미드면 흔적의 경우 슬립은 ⟨a⟩/〈𝑎〉영어 또는 ⟨c + a⟩/〈𝑐 + 𝑎〉영어 방향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슬립 흔적 분석은 이 둘을 구별할 수 없다.[5]
대한민국에서는 슬립 활성도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재료의 슬립 시스템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과 재료연구소 (KIMS)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주도되고 있다.
4. 1. 슬립 흔적 분석
슬립 흔적 분석은 활성 슬립 시스템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로,[13][14] 변형된 재료 표면에 나타나는 슬립 자국을 관찰하여 슬립 면을 확인한다.[15][8] 예를 들어 지르코늄에서는 슬립 흔적 분석을 통해 기저면, 프리즘면 또는 1/2차 피라미드면의 슬립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하지만 슬립 흔적 분석만으로는 슬립 방향을 정확하게 결정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1차 피라미드면 흔적의 경우 슬립은 〈𝑎〉 또는 〈𝑐 + 𝑎〉 방향 중 하나일 수 있지만, 슬립 흔적 분석으로는 이 둘을 구별할 수 없다.[5]4. 2. 회절 기술
활성 슬립 시스템을 식별하는 주요 방법에는 단결정[13][14] 또는 다결정체의 슬립 흔적 분석,[15][8] 중성자 회절[16] 및 고각 분해 전자 후방 산란 회절 탄성 변형 분석과 같은 회절 기술,[17] 또는 투과 전자 현미경 전위의 회절 이미징을 사용한다.[18]회절 기반 연구는 슬립된 전위 대신 잔류 전위 함량을 측정하는데, 이는 면심 입방 다결정체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필요한 전위 네트워크를 축적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만 좋은 근사치이다.[19] 육방정계 결정족 지르코늄과 같은 낮은 대칭 결정에서는 기하학적으로 필요한 전위가 반드시 축적되지 않을 수 있는 단일 슬립이 우세한 영역이 있을 수 있다.[20] 잔류 전위 함량은 가동 전위와 정지 전위를 구별하지 않는다. 가동 전위는 슬립과 경화에 기여하지만, 정지 전위는 잠재적 경화에만 기여한다.[5]
회절 방법은 일반적으로 잔류 전위의 슬립면을 해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Zr에서 〈𝑎〉 전위의 나사 성분은 프리즘, 기저 또는 1차 피라미드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𝑐 + 𝑎〉 나사 전위는 1차 또는 2차 피라미드면에서 슬립될 수 있다.[5]
4. 3. 투과 전자 현미경 (TEM)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전위의 회절 이미징은 활성 슬립 시스템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18] TEM을 이용하면 슬립 시스템을 직접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다.참조
[1]
서적
Nature and Properties of Engineering Materials
[2]
서적
Introduction to Dislocations
2001
[3]
서적
Mechanical properties of engineered materials
Marcel Dekker
2003
[4]
웹사이트
3.032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http://ocw.mit.edu/O[...]
2006
[5]
논문
Characterisation of slip and twinning in high rate deformed zirconium with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2018
[6]
논문
On the ductility of alpha titanium: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deformation mode
https://www.research[...]
2018
[7]
서적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2007
[8]
논문
In situ characterisation of the strain fields of intragranular slip bands in ferrite by high-resolution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2022-10-15
[9]
간행물
Chapter 9 - Plastic Deformation and Dislocation Behaviour
https://www.scienced[...]
Butterworth-Heinemann
2022-10-04
[10]
논문
The physics of fatigue crack initiation
https://www.scienced[...]
2013-12-01
[11]
논문
Dislocations and Persistent Slip Bands in Copper Single Crystals Fatigued at Low Stress Amplitude
https://onlinelibrar[...]
1968
[12]
논문
Numerical simulation of persistent slip band formation
https://dx.doi.org/1[...]
1988-03-01
[13]
논문
Plastic deformation of zirconium single crystals
https://linkinghub.e[...]
1971-07
[14]
논문
" Prismatic, basal, and
[15]
논문
Study of $$ \{ 11\bar{2} 1\} $$ Twinning in α-Ti by EBSD and Laue Microdiffraction
2013-08
[16]
논문
Evolution of dislocation density in a hot rolled Zr–2.5Nb alloy with plastic deformation studied by neutron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ttps://www.tandfonl[...]
2017-11-02
[17]
논문
Dislocation mechanisms in a zirconium alloy in the high-temperature regime: An in situ TEM investigation
https://linkinghub.e[...]
2015-04
[18]
논문
Effects of texture, temperature and strain on the deformation modes of zirconium
http://www.tandfonli[...]
2006-08-11
[19]
논문
The orientation and strain dependence of dislocation structure evolution in monotonically deformed polycrystalline copper
https://linkinghub.e[...]
2015-06
[20]
논문
Deformation compatibility in a single crystalline Ni superalloy
201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