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승효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승효상은 대한민국의 건축가로,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했다. 김수근의 공간연구소에서 실무를 익히고, 오스트리아 유학 후 이로재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여 '빈자의 미학'을 바탕으로 한 건축 철학을 펼쳤다. 주요 작품으로 수졸당, 노무현 대통령 묘역 등이 있으며, 베이징 장성호텔 등 해외 프로젝트도 수행했다. 서울시 총괄 건축가, 국가건축정책위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수근문화상, 대한민국예술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일 승씨 - 승병일
    승병일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혈맹단을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펼치고 한국광복군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망명을 계획했으며, 광복 후에는 독립운동 관련 사업에 참여하다 2022년에 사망했다.
  • 건축 작가 - 제인 제이콥스
    제인 제이콥스는 도시 계획과 경제에 대한 혁신적인 관점을 제시한 캐나다계 미국인 저술가이자 활동가로, 『미국의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혼합 용도 개발과 하향식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동차 중심 도시 개발을 비판했으며, '거리의 눈'과 '보도의 발레' 개념을 통해 도시 안전과 활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여 도시 계획 및 경제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건축 작가 - 비트루비우스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의 건축가이자 군사 기술자로,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가와 건축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건축론》을 통해 건축의 세 가지 요소인 안정성, 실용성,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인체의 비례를 건축의 주요 원천으로 묘사했다.
  • 빈 공과 대학교 동문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는 콜로이드 화학 연구와 초현미경 개발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출신 화학자로, 특히 유리 착색 연구와 금 하이드로졸 연구를 통해 콜로이드 입자의 특성을 밝히고 슬릿 초현미경을 개발하여 나노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2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빈 공과 대학교 동문 - 리하르트 폰 미제스
    리하르트 폰 미제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응용 수학자로서 유체역학, 항공역학, 통계학 분야에 기여했고, 변형 에너지 이론을 개발했으며, 확률론 연구와 도박 시스템의 불가능성을 정의했다.
승효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승효상
한글승효상
로마자 표기Seung Hyosang
한국어 음성 표기승효상
인물 정보
출생일1952년 10월 26일
출생지대한민국 부산시
거주지서울
국적대한민국
직업건축가
대표작《수졸당》 (1993년)
《노무현 대통령 묘역》 (2009년)
수상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미국 건축가협회 명예상
대한민국예술문화상
영향 받음김수근
아돌프 로스
웹사이트이로재

2. 생애 및 경력

승효상은 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11]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부터 1980년까지 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11]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https://www.tuwien.at/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아돌프 로스(1870~1933)의 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12]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부터 1989년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그는 1989년에 공간연구소의 빚을 모두 청산하고 독립하여 건축사무소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하였다.[13] 그리고 1990년에는 민현식 등과 함께, 학연을 지양하고 자정 기능을 회복하는 한국 건축의 새로운 담론을 요구하는 젊은 건축가 14명의 모임인 '4.3그룹'을 결성하였다.[14][15] 이 시기 그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이 있는데 이것은 이후 그의 평생의 건축 철학이 되는 '빈자의 미학'을 구현한 첫 작품으로 꼽는다.[16] 그는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은 다시 동양의 비움을 찾고 있는데, 우리는 역설적으로 그러지 못하다고 비판하면서, 빈자의 미학이란 "가난한 사람의 미학이 아니라 가난할 줄 아는 사람의 미학"이며 "악다구니하는 한갓 조형물과 건조물로 가득 차고 만 근대 한국이 옛 종묘와 같은 어떤 형태의 사유와 모임도 가능하게 하는 '비움의 아름다움'을 회복해야한다"고 말하였다.[12][18][17] 그리고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봉하마을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설계하고 조성하였는데, 여기서도 화려한 묘역이 아닌, 추모글이 다 닳아 없어지고 기억만 남는 '비움의 설계'를 추구하였다.[18][19] 또한 해외에서는 베이징 장성호텔,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쿠알라룸푸르 복합빌딩 등을 디자인했다.[20] 현재 그의 작업은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있다.

그러는 동안 후학 양성을 위해 1994년부터는 다음 세대의 건축학도들에게 필요한 '총체적이며 근원적인 사고'의 함양을 위해 건축가 이종호 등과 함께 포럼식의 '서울 건축학교 (SA)'를 운영하였다.[21][22] 1998년에는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다.

그는 김수근 문화상, [http://kaa.kira.or.kr/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건축가협회에서 명예상(Honorary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또한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23]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한국정부는 그의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그에게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으며,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4년 초대 서울시 총괄 건축가로 선임되어 2016년까지 활동하였다.[24] 2018년에는 문재인 정부의 국가건축정책위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2020년을 끝으로 공공영역에서의 오랜 직무를 마쳤다.[25] 2019년에 아시아인으로서는 최초로 오스트리아 '학술예술 1급 십자훈장'을 수여받았으며 2020년 대학민국 정부는 그의 문화적 공적을 기려 '은관문화훈장'을 수여하였다.[26]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2. 2. 공간연구소 시절 (1974-1989)

승효상은 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11]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에서 공부하였다.[11]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부터 1980년까지 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11]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https://www.tuwien.at/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아돌프 로스(1870~1933)의 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12]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부터 1989년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11]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2. 3. 이로재 설립과 건축 철학 (1989-현재)

1989년 승효상은 건축사무소 이로재(履露齋)를 설립하였다.[13] 1990년에는 민현식 등과 함께 '4.3그룹'을 결성하여[14][15] 한국 건축의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시기 대표작인 유홍준의 자택 '수졸당'은 그의 건축 철학인 '빈자의 미학'을 구현한 첫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6] 그는 "가난할 줄 아는 사람의 미학"을 추구하며, "비움의 아름다움"을 통해 한국 근대 건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12][18][17]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설계하면서 '비움의 설계'를 추구하였다.[18][19]

그는 김수근의 '공간연구소'에서 1974년부터 1980년까지, 그리고 1982년부터 1989년까지 대표이사직을 역임했다. 공간연구소에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86년 김수근 타계 이후 30억 원의 빚을 청산하고 독립하였다. 오스트리아 [https://www.tuwien.at/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에서 일하면서 아돌프 로스의 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았다.[12]

승효상은 해외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베이징 장성호텔,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쿠알라룸푸르 복합빌딩 등을 디자인했다.[20] 그의 작업은 아시아, 미국, 유럽으로 확장되었다.

1994년부터 이종호 등과 함께 '서울 건축학교 (SA)'를 운영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21][22] 1998년 북 런던대학 객원교수,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김수근 문화상, [http://kaa.kira.or.kr/ 한국건축문화대상], 미국 건축가협회 명예상(Honorary Fellowship) 등 다수의 건축상을 수상했다. 2002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개최했다.[23]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 2014년 서울시 총괄 건축가[24], 2018년 문재인 정부 국가건축정책위 위원장[25]을 역임했다. 2019년 오스트리아 학술예술 1급 십자훈장, 2020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26]

2. 4. 건축 교육 및 사회 활동

승효상은 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11]에서 공부하였고, 1974년부터 1980년까지 김수근의 '공간연구소'에서 일했다.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오스트리아 [https://www.tuwien.at/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12] 1982년부터 1989년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았다.

1989년 건축사무소 이로재(履露齋)를 개설[13]하였고, 1990년에는 민현식 등과 함께 '4.3그룹'을 결성하였다.[14][15] 1994년부터는 이종호 등과 함께 포럼식의 '서울 건축학교 (SA)'를 운영하였다.[21][22] 1998년에는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다.

그는 김수근 문화상, [http://kaa.kira.or.kr/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건축가협회에서 명예상(Honorary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또한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23]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했다. 2014년 초대 서울시 총괄 건축가로 선임되어 2016년까지 활동하였다.[24] 2018년에는 문재인 정부의 국가건축정책위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2020년을 끝으로 공공영역에서의 오랜 직무를 마쳤다.[25] 2019년에 아시아인으로서는 최초로 오스트리아 '학술예술 1급 십자훈장'을 수여받았으며 2020년 대학민국 정부는 그의 문화적 공적을 기려 '은관문화훈장'을 수여하였다.[26]

3. 주요 작품

3. 1. 국내

1993년 완공된 《수졸당》[27], 1998년 완공된 《수백당》, 2000년 완공된 《웰콤시티》, 2003년 완공된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27], 2005년 완공된 한국 DMZ 평화생명동산, 2008년 완공된 대전대학교 30주년 기념관, 2009년 완공된 노무현 대통령 묘역[5], 2009년 완공된 지수화풍 360° 컨트리클럽, 2010년 완공된 제주 추사관 및 퇴촌주택, 2012년 완공된 사유원 - 현암[6], 2013년 완공된 명필름 파주사옥[7], 2016년 완공된 시안가족추모공원, 2018년 완공된 심연당 및 하양 무학로 교회, 명례성지, 2019년 완공된 사유원 - 명정 및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2021년 완공된 아쿠아리우스 피라미드와 제정구 커뮤니티 센터, 그리고 2022년 완공된 노무현 대통령 기념관 등이 있다.

3. 2. 해외

승효상은 대한민국 외에도 중국 베이징에서 건축 활동을 하였다. 2000년에는 만리장성 공사에 참여하였고, 2004년에는 차오와이 SOHO 설계를 맡았다.

4. 저서


  • 1996년 《빈자의 미학》, 미건사,
  • 1999년 《지혜의 도시 지혜의 건축》, 서울포럼,
  • 2001년 《승효상 작품집》, 건축과 환경,
  • 2004년 《건축, 사유의 기호》, 돌베개,
  • 2005년 '''승효상''', 정기용, 조성룡, 김인철, 김영섭, 민현식, 이종호, 김준성, 김종규, 이일훈, 김영준 《건축이란 무엇인가 - 우리 시대 건축가 열한 명의 성찰과 사유》, 열화당,
  • 2009년 《지문 - 땅 위에 새겨진 자연과 삶의 기록들, LANDSCRIPT》, 열화당, 9788930103619
  • 2010년 《노무현의 무덤 -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 눌와,
  • 2012년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컬처그라퍼,
  • 2013년 '''승효상''', 홍동원 《모용공간》, 글씨미디어,
  • 2015년 《'''승효상''' 도큐먼트》, 열화당,
  • 2016년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 돌베개 ISBN 9788971997505
  • 2016년 《지문》, 열화당 ISBN 9788930103619
  • 2019년 《묵상: 건축가 승효상의 수도원 순례》, 돌베개 ISBN 9788971999615
  • 2021년 《결구와 수직의 풍경》, 우리북 ISBN 9791185164397[28]
  • ''가난한 아름다움''(초판: 미건사, 1996; 30주년 개정판: 슬로우 워크, 2016)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 ''건축, 생각의 흔적''(돌베개, 2004)
  • ''빈자의 건축''(동녘, 2005)
  • ''건축가의 언어''(열화당, 2005)
  • ''랜드스케이프''(열화당, 2009)
  • ''노무현 대통령의 기억''(눌와, 2010)
  • ''파주출판도시 문화경관''(김문당, 2010)
  • ''360° 컨트리클럽 이야기''(컬처그래퍼, 2012)
  • ''낡은 것은 다 아름답다''(컬처그래퍼, 2012)
  • ''某用空間''(타이포메디아, 2013)
  • ''승효상 도큐먼트''(열화당, 2015)
  • ''보이지 않는 건축, 불안한 도시''(돌베개, 2016)
  • ''명상''(돌베개, 2019)
  • ''Natured: IROJE 승효상''(Actar, 2019)

5. 수상 경력

승효상은 1989년 법무부 장관 표창을 받았으며, 1992년 한국건축가협회상을 수상했다. 1993년에는 김수근문화상과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을, 1994년에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았다. 1995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 1997년 부산시 건축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부터 대한민국 예술·문화상을, 파라다이스 코리아로부터 파라다이스상, 예술·문화 코리아를 받았다. 2017년 제13회 경암상 특별상을 수상하였고, 2019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로부터 과학예술 훈장 1등급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IROJE company website http://www.iroje.com[...]
[2] 서적 Transcultural Architecture Ashgate/Routledge
[3] 뉴스 제5기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출범…위원장엔 건축가 승효상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8-11-16
[4] 서적 Beauty of Poverty Slow Walk
[5] 웹사이트 MIMOA, Sosukwon, Memorial For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http://www.mimoa.eu/[...]
[6] 웹사이트 ArchDaily, Hyunam, Gunwi, South Korea http://www.archdaily[...]
[7] 웹사이트 ArchDaily, Myung Films Paju Office, Paju, South Korea http://www.archdaily[...]
[8] 서적 Pinja ŭi mihak / Beauty of poverty / Seung H-Sang.
[9] 웹사이트 Kyung-Am website, 13th Priza winners(2017) http://www.kafound.o[...]
[10] 뉴스 Awarded Cross of Honour for Science and Art, First Class. http://www.yna.co.kr[...] YNews
[11] 문서
[12]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 - '빈자의 미학'이라는 철학을 가진 건축가 승효상 http://navercast.nav[...]
[13] 웹사이트 http://www.iroje.com
[14] 문서
[15] 뉴스 20년 전, 건축계 4·3그룹을 아시나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12-23
[16] 뉴스 (김문이 만난사람) '빈자의 미학' 20년 건축가 승효상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01-03
[17] 뉴스 KBS 양영은앵커의 인터뷰 '선물' 23회 승효상, 건축이란 땅의 이야기를 듣는 것 http://news.kbs.co.k[...] KBS
[18] 뉴스 노前대통령 묘역 공간디자인 한 건축가 승효상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8-04
[19] 웹인용 설계자 승효상이 생각한 대통령 묘역 - 노무현 재단 https://web.archive.[...] 2015-01-14
[20] 뉴스 건축가 승효상 ‘땅과 건축’ 강연 http://www.hani.co.k[...] 한겨레뉴스 2013-12-03
[21] 뉴스 창의적 일꾼 키울 서울건축학교 정식 출범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1997-06-26
[22] 뉴스 건축가 승효상씨 제주대서 초청 특강 http://www.ihalla.co[...] 한라일보 2014-05-07
[23] 뉴스 건축가 승효상이 말하는 ‘貧者의 미학’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4-03
[24] 뉴스 건축가 승효상, 서울시 첫 '총괄건축가'로 임명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9-11
[25] 웹인용 승효상 5기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임기 종료 https://www.joongang[...] 2022-06-15
[26] 웹인용 "[단독] 건축가 승효상씨, 아시아인 최초로 ‘오스트리아 학술예술 1급 십자훈장’ 받는다" http://m.monthly.cho[...] 2022-06-17
[27] 뉴스 건축가 승효상의 주요 작품 목록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3-07-27
[28] 웹인용 건축과 공예의 만남, 승효상과 최덕주 2인전 https://vmspace.com/[...] 2022-06-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