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근 (건축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근은 1931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나,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건축가로 활동하며 한국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도쿄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 후 건축사무소인 '김수근 건축연구소'를 설립, 이후 '공간 그룹'으로 발전시켰다. 1966년 건축, 예술 종합지인 월간 《공간》을 발행하고, 공간사옥을 건립하여 문화 활동을 지원했다. 김종필과의 친분으로 박정희, 전두환 군사정권에서 국가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워커힐, 자유센터, 세운상가, 올림픽주경기장 등 많은 건축물을 설계했다. 또한, 남영동 대공분실 설계를 통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는 한국 건축의 독자성을 강조하며 많은 제자를 양성했고, 1986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진시 출신 - 김지영 (1938년)
김지영은 1965년 영화 《마포사는 황부자》로 데뷔하여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로, 2009년 영화 《해운대》와 드라마 《장밋빛 인생》등을 통해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대종상과 K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청진시 출신 - 박영무
박영무는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로 임용된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여러 법원에서 법원장을 역임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서울형사지방법원 재판장 시절에는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 등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주요 판결들을 내렸다. - 대한민국의 건축가 - 김영종 (1953년)
김영종은 대한민국의 건축가이자 민선 5·6·7기 종로구청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건축사로서 다수의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종로구청장 재임 시절에는 한복 문화 조성에 힘썼다. - 대한민국의 건축가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권옥연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서양화가로,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화를 그렸으며, 194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청회색 톤의 작품을 선보이고 무의자박물관을 운영하다 2011년 작고했다.
김수근 (건축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김수근 |
출생일 | 1931년 2월 2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청진시 |
사망일 | 1986년 6월 14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사망 원인 | 간암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건축가 |
종교 | 천주교(세례명: 김바오로) |
웹사이트 | 공간 그룹 웹사이트 |
학력 | |
모교 | 도쿄예술대학 도쿄대학 |
활동 | |
주요 건축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민현식, 승효상, 이종호, 장세양, 정기용 |
이름 | |
한글 | 김수근 |
로마자 표기 | Gim Sugeun |
2. 일생
김수근은 1931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나 대한민국의 현대 건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건축가이다.[12][2] 일본 유학을 통해 건축을 공부하고 귀국한 후, 1961년 건축사무소 '김수근 건축연구소'(현 공간 그룹)를 설립하고 홍익대학교 등에서 후학을 양성했다.[11][5] 1966년에는 종합 예술지 월간 《공간》을 창간하여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2] 올림픽 주경기장, 공간사옥 등 한국 현대 건축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여러 건축물을 설계했다.[2] 그러나 박정희, 전두환 군사정권 시기에 국가 주도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16] 인권 탄압의 상징적 장소인 남영동 대공분실을 설계한 사실[17] 등으로 인해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1986년 간암으로 타계했다.[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1-1960)
김수근은 1931년 2월 20일 함경북도 청진 신압동에서 김용환(金龍煥)과 어머니 김우수달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12][2] 1938년 청진의 천마소학교에 입학했으나 한 학기 만에 서울 교동국민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경기공립중학교에 진학하여 2학년 때 건축학을 전공한 미군 병사에게 영어 회화를 배우며 건축가의 꿈을 꾸게 되었다.[14][4]1950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에 입학하여 당시 서울대 교수였던 김중업을 처음 만났다.[15] 그러나 곧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통역관으로 근무하던 중 휴가차 방문한 부산에서 일본으로 건너갔다.[15][5] (일부 자료에서는 1951년 4월 서울대 2학년 중퇴 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 대학 편입이 결정되었으나 입학금을 마련하지 못해 포기했다고도 하며,[15] 탈영 후 밀항했다는 기록도 있다.[15]) 1954년 도쿄 예술대학 건축과에 입학하여 요시무라 준조를 스승으로 만났고,[11] 재학 중에는 마쓰다·히라다(松田平田) 건축 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혔다.[11][5]
1958년 도쿄 예술대학 건축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 도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했다. 대학원 재학 시절, 인근 단게 겐조 연구실에 있던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일본어)와 교류하며 친구가 되었다. 또한 같은 해 일본인 야지마 미치코(矢島道子일본어)와 결혼했다.
1959년 남산에 건립 예정이던 한국 국회의사당 건축 설계안 현상 공모에 당선되었으나,[15] 이 계획은 1961년 5·16 군사 정변 발발로 백지화되었다. 1960년 도쿄 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5] 1962년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60년 아내 야지마 미치코와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
2. 2. 귀국 및 건축 활동 (1960-1986)
1959년 국회의사당 건축 설계안 현상 공모에 당선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인해 이 설계안은 실현되지 못했다.[15] 1960년 도쿄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일본인 아내 야지마 미치코(矢島道子일본어)와 함께 귀국하여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다.[5]1961년 자신의 건축사무소인 '김수근 건축연구소'를 설립했는데, 이는 훗날 공간 그룹이 되었다. 같은 해 홍익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11][5] 1962년에는 도쿄 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66년 건축과 예술을 아우르는 종합지 월간 《공간(空間)》을 창간하여 한국 문화의 기록과 확산에 기여했다.[2]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 예술지로 평가받는다. 1971년에는 자신의 설계사무소 건물인 공간사옥을 완공했고, 사옥 내 소극장 '공간 사랑'을 열어 전위극, 무용, 전통 연희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의 장으로 제공했다.[2]
1974년 국민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어 건축학과, 의상학과, 장식미술학과, 생활미술학과 등을 통합하여 조형학부로 개편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1979년에는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의 초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한편, 5·16 군사 정변의 핵심 인물이었던 김종필과의 친분을 바탕으로 박정희 및 전두환 군사정권 시기에 다수의 국가적인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했다.[16] 대표적으로 워커힐 호텔, 자유센터, 타워호텔, 세운상가, 여의도 종합개발 계획, 올림픽주경기장, 올림픽 체조·사이클·수영 경기장, 서울지방법원 청사 등이 있다.
1976년에는 남영동 대공분실 설계를 맡았다. 이 건물은 김근태가 이근안에게 고문을 당하고 박종철이 물고문으로 사망한 장소로, 많은 민주 인사들에게 고문과 공포의 상징으로 각인되었다. 김수근의 제자들은 그가 건물의 용도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설계했을 것이며, 실제 건축 과정에서 설계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를 옹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건물의 창문, 계단, 문 등 세부적인 요소들이 고문과 취조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17] 건물의 치밀한 설계를 고려할 때, 설계팀이 그 공간에서 벌어질 인권 유린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은 낮으며, '국가 안보'라는 명분 아래 도덕적 판단이 무뎌졌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18]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던 김수근은 1985년 간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6년 6월 14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5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6]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김수근 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6]
'''주요 경력 및 활동'''
연도 | 내용 |
---|---|
1960 | 도쿄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취득, 귀국 |
1961 | 김수근건축연구소(현 공간 그룹) 설립, 홍익대학교 강사 부임, 국가추천작가 선정 |
1962 | 도쿄 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
1966 | 월간 《공간》 창간, 홍익대학교 부교수 승진 |
1969 | 인간환경계획연구소 개설 |
1970 |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부장 |
1971 | 공간사옥 건립, 소극장 공간 사랑 개관 |
1972 | 국가건설부 국립공원제정위원 위촉 |
1974 | 국민대학교 교수 초빙, 조형학부 개편 주도,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위원 위촉 |
1976 |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역임, 남영동 대공분실 설계, 문화훈장 수훈 |
1977 | 국제건축가연맹(UIA) 상임이사 선임 |
1979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초대 학장 취임, 문화재위원 위촉, 이탈리아 정부 카발리에 훈장 수훈 |
1985 | 간암 진단 |
1986 | 간암으로 별세 (향년 55세) |
김수근은 한국 현대 건축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건축가이다. 그는 자유센터,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등 국가적으로 의미 있는 건축물 설계를 다수 맡았으며, 공간 사옥과 같은 자신의 철학이 담긴 작품도 남겼다. 건축 설계 외에도 1970년 세계 박람회 한국관 설계와 같은 국제 활동 및 여의도 종합 개발 계획 등 도시 계획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의 건축 지평을 넓혔다.
3. 주요 작품
3. 1. 주요 건축물
연도 | 건축물 | 위치 |
---|---|---|
1962년 | 한국일보사 | (위치 정보 없음) |
1963년 | 자유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
1963년 | 워커힐 힐탑바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준공 당시 동대문구) |
1967년 |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
1968년 | 세운상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 ~ 중구 퇴계로3가 |
1969년 | 타워호텔 (현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
1969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본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1970년 | 1970년 세계 박람회 한국관 | 일본 오사카부 |
1971년 | 공간 사옥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서동 |
1976년 | 남영동 대공분실 (현 민주인권기념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갈월동 |
1977년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1977년 | 주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 인도 뉴델리 |
1977년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예회관 (현 아르코예술극장) | 서울특별시 종로구 마로니에 공원 |
1979년 | 국립청주박물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1979년 | 천주교 마산교구 양덕주교좌성당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준공 당시 마산시) |
1980년 | 경동교회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
1981년 |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982년 | 주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 | 카타르 도하 |
1983년 | 주한 미국 대사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
1983년 | 구미문화예술회관 |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동 |
1983년 | 광명시청사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
1984년 | 국립중앙과학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1984년 | 국립진주박물관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
1985년 | 천주교 서울대교구 불광동 성당 |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
1985년 | 벽산빌딩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
오사카 엑스포에서는 한국관 설계를 담당했다. 1971년 프랑스 퐁피두 센터 국제 설계 공모전, 1975년 서울시청사 설계 공모전에 참가했다.
3. 2. 도시 계획
김수근은 건축 작업 외에도 다수의 도시 계획 및 개발 계획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주요 계획은 다음과 같다.연도 | 계획명 |
---|---|
1967년 | 영천·남대문 지역 재개발 계획 |
1968년 | 여의도 종합 개발 계획 |
1969년 | 신진자동차 풍평공장 단지 종합 계획 |
1972년 | 내장산 국립공원 개발 계획 |
1972년 | 설악산 국립공원 개발 계획 |
1972년 | 금강산 지역 관광 개발 계획 |
1973년 | 국립공원 기본 시설 계획 설정 |
1973년 | GM Korea 주거 단지 계획 |
1973년 | 속리산 국립공원 개발 계획 |
1975년 | 엑스바단 '75 테헤란 아파트 단지 |
1976년 | 알보즈 '76 테헤란 아파트 단지 |
1976년 | 마산시 양각동 주거 단지 종합 계획 |
1976년 | 테헤란 서부 도시 샤야드 지역 재개발 계획 |
1977년 | 남대문시장 재개발 계획 |
4. 평가 및 영향
김수근은 한국 현대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건축 설계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활동 등 다방면에 걸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한국 건축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건축 전문지 창간과 문화 공간 운영을 통해 건축 및 예술계 전반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그의 활동과 영향력은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았다.
4. 1. 긍정적 평가
국민대학교 박길룡 교수는 김수근이 한국 건축에 고유한 개념과 철학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건축가 민현식은 김수근이 한국 전통을 현대 건축에 효과적으로 접목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했다고 언급하며, 이를 그의 중요한 집념으로 보았다. 교육자로서 김수근은 김원, 류춘수, 민현식, 이종호, 승효상과 같은 뛰어난 건축가들을 길러냈으며, 이들의 성과 역시 높이 평가받는다.[7]김수근은 평생 동안 국내에 2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잠실종합운동장(1977년), 공간 사옥(1978년), 마산 성당(1979년), 국립청주박물관(1986년) 등이 있다.
또한, 김수근은 1966년 한국 최초의 건축 및 예술 종합 잡지인 월간 「공간」을 창간했으며, 1972년에는 공간사옥을 지어 문화 활동의 장으로 개방했다.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다양한 예술 분야를 지원하고 예술 운동을 이끌었다. 그의 이러한 문화적 기여는 197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으로부터 '서울의 로렌초 데 메디치'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공간사 출신의 주요 제자로는 유걸(兪杰, 1940-), 김원(金洹, 1943-), 민현식(閔賢植, 1946-), 승효상(承孝相, 1952-), 김병윤(金炳允, 1952-), 김영준(金榮俊, 1960-) 등이 있다.
4. 2. 영향
국민대학교 박길룡 교수에 따르면, 김수근은 한국에서 건축이 고유한 개념과 철학을 가져야 한다고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이다.[7] 건축가 민현식은 김수근이 한국 전통을 현대 건축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고민했으며, 이는 그의 중요한 건축적 집념이었다고 평가했다.[7]그는 평생 동안 국내에 200개 이상의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대표작으로는 잠실종합운동장(1977년), 공간 사옥(1978년), 마산 성당(1979년), 국립청주박물관(1986년) 등이 있다.
교육자로서 김수근은 많은 후배 건축가들을 양성하는 데 기여했으며[7],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후학 양성과 건축 문화 확산에 힘썼다.
또한 1966년 한국 최초의 건축·예술 종합지인 월간 「공간」을 창간했고, 1972년에는 공간사옥을 건립하여 문화 활동 공간으로 개방하는 등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예술 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공로로 197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그를 '서울의 로렌초 데 메디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공간사 출신의 주요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5. 수상 경력
참조
[1]
서적
Culture and the City in East A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4-30
[2]
웹사이트
SPACE Group
http://www.space-arc[...]
SPACE Group Official site
2008-04-30
[3]
뉴스
His architecture is his philosophy (그의 건축은 철학이다…타계 20주기 '지금 여기 김수근' 전)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06-06-05
[4]
뉴스
Did the Kyunghyang Shinmu building have a hotel? (경향신문에 문화관광호텔이 있었다?)
http://www.mediatoda[...]
Media Today
2005-01-14
[5]
웹사이트
김수근 (金壽根)
http://100.empas.com[...]
Empas/EncyKorea
2008-05-01
[6]
웹사이트
김수근 (金壽根 1931.2.20 ~ 1986.6.14)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30
[7]
뉴스
(건축가 故김수근 20주기 ‘지금 여기’展)
http://www.donga.com[...]
2006-06-03
[8]
웹사이트
3-1 韓國性의 모색 / 國際建築에서의 位相
http://www.kia.or.kr[...]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2008-04-30
[9]
웹사이트
Convention 2007
http://www.aia.org/S[...]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2008-04-30
[10]
웹인용
동 아시아의 문화와 도시(Culture and the City in East Asia)
http://books.google.[...]
옥스퍼드대학교 출판부
2008-04-30
[11]
웹인용
김수근 (金壽根)
http://100.empas.com[...]
네이트/EncyKorea
2008-05-01
[12]
웹인용
공간 그룹
http://www.space-arc[...]
공간 그룹 공식 사이트
2008-04-30
[13]
뉴스인용
그의 건축은 철학이다…타계 20주기 '지금 여기 김수근' 전
http://www.segye.com[...]
세계 일보
2006-06-05
[14]
뉴스인용
경향신문에 문화관광호텔이 있었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2005-01-14
[15]
뉴스인용
집이 사람이다 (4) 천재 건축가의 ‘이상한 설계’…누이는 그 불편함이 좋았다
https://m.khan.co.kr[...]
2016-01-29
[16]
뉴스인용
박종철 열사가 숨진 ‘남영동 대공분실’ 5층 가보셨나요
http://www.hani.co.k[...]
2020-06-10
[17]
뉴스인용
천재가 설계한 완벽한 '고문밀실'/남영동 대공분실
https://interactive.[...]
2020-06-10
[18]
뉴스인용
남영동 대공분실 설계한 김수근은 ‘고문 공장’ 오명을 예상했을까
http://www.hani.co.k[...]
2020-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