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겐설러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겐설러 사건은 2005년 익명의 사용자가 위키백과에 미국의 언론인 존 시겐설러에 대한 허위 정보를 게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시겐설러는 위키백과의 정보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위키백과와 관련된 모든 것을 거부했다. 사건 이후 위키미디어 재단은 가짜 정보 감지 실패를 인정하고, 새로운 계정 정책 도입, 편집 제한, 감독 기능 추가 등 정보 신뢰도 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 또한, 이 사건은 온라인 플랫폼의 책임 문제, 허위 정보 유포 방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했으며,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논란 - Live at The Gaslight 1962
    `Live at The Gaslight 1962`는 1962년 뉴욕 가스라이트 카페에서 녹음된 밥 딜런의 공연 실황 음반으로, 그의 초기 대표곡들과 블루스, 포크 음악 스타일을 담고 있어 딜런의 초기 경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2005년 논란 -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
    《PD수첩의 황우석 사건 보도》는 MBC PD수첩이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 윤리 및 논문 조작 의혹을 제기하여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과학계 자정 노력과 연구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2005년 인터넷 문화 -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은 바비 헨더슨이 창조한 패러디 종교의 신이자 지적 설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인터넷 밈으로, 캔자스 교육위원회의 지적 설계 주장에 대한 항의로 시작되어 독특한 교리를 가지고 각국에서 종교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 2005년 인터넷 문화 -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노무현 정부 말기 부동산 정책 비판에서 시작된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는 지지자들의 자조적 표현에서 비롯되어 패러디 댓글로 확산, 다양한 대상을 비꼬는 데 사용되었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에는 그의 부재를 안타까워하거나 업적을 기리는 반어적, 긍정적 표현으로 변환되기도 했다.
  • 인터넷 속임수 - 가짜뉴스
    가짜 뉴스는 뉴스 형식을 띠지만 허위이거나 오도된 정보를 의미하며, 정치적, 경제적 동기를 가지고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사회적 분열과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한다.
  • 인터넷 속임수 - 클릭베이트
    클릭베이트는 온라인 광고 수익이나 트래픽 확보를 위해 자극적인 제목과 이미지로 클릭을 유도하는 콘텐츠로,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으며 과장, 선정성, 허위 사실을 포함하여 비판받고 있다.
시겐설러 사건
사건 개요
사건명존 시겐설러 시니어 위키백과 전기 논쟁
발생 시기2005년
관련 인물존 시겐설러 시니어
쟁점위키백과의 신뢰성, 익명 편집, 명예훼손
상세 내용
발단2005년 5월, 존 시겐설러 시니어의 위키백과 전기에 허위 사실이 익명으로 게시됨.
허위 내용존 시겐설러 시니어가 존 F. 케네디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내용.
존 시겐설러의 반응USA 투데이에 위키백과의 익명 편집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고를 함.
위키백과의 대응익명 편집 제한, 특정 기사에 대한 편집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함.
여파
사회적 영향위키백과의 신뢰성에 대한 논쟁을 촉발하고, 온라인 정보의 정확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
위키백과 정책 변화명예훼손 가능성이 있는 기사에 대한 편집 제한 강화, 익명 편집에 대한 규제 강화.
관련 기사

2. 사건의 발단

2005년 5월, 익명의 사용자가 미국의 저명한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의 보좌관을 지낸 존 시겐설러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위키백과에 게시하면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2005년 9월, 시겐설러의 친구인 빅터 S. 존슨 주니어는 해당 내용을 발견하고 시겐설러에게 알렸다. 시겐설러는 즉시 위키백과의 창립자인 지미 웨일스에게 연락하여 내용 수정을 요청했다.

2. 1. 거짓 정보의 내용

시겐설러 사건과 관련된 거짓 정보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첫째, 시겐설러가 존 F. 케네디와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암시가 있었다. 둘째, 시겐설러가 과거 소련에 거주했다는 허위 사실이 유포되었다. 셋째, 시겐설러가 존재하지 않는 홍보 회사를 창립했다는 거짓 정보가 퍼졌다. 이러한 내용들은 시겐설러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었다.

2. 2. 허위 정보의 발견 및 대응

2005년 9월, 시겐설러의 친구인 빅터 S. 존슨 주니어는 해당 내용을 발견하고 시겐설러에게 알렸다. 시겐설러는 즉시 위키백과의 창립자인 지미 웨일스에게 연락하여 내용 수정을 요청했다.

3. 익명 편집자 추적 및 시인

2005년, 존 시겐설러는 인터넷에서 자신에 대한 허위 정보가 유포된 사건에 대해 대응했다. 그는 USA 투데이에 기고하여 이 사건을 공론화하고, 익명의 편집자를 추적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IP 주소 추적을 요청했다. 이후, 다니엘 브란트라는 활동가가 IP 주소를 추적하여 그 배후에 내슈빌의 Rush Delivery라는 회사가 있음을 밝혀냈다.

2005년 12월, Rush Delivery의 운영 관리자인 브라이언 체이스는 허위 전기 작성 사실을 시인하고 사직했다. 체이스는 시겐설러에게 사과 편지를 제출했고, 시겐설러는 그의 재고용을 요청하는 등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시겐설러는 이 사건을 계기로 통신 품위법 230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웹에 대한 정부 규제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가정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위키백과와 관련된 모든 것을 거부했다.

사건 이후, 지미 웨일스 위키미디어 재단 설립자는 가짜 정보 감지를 실패한 것에 대해 인정하고, 새로운 계정 정책을 도입하고 편집 제한을 시행했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의 전기에 대한 새로운 추적 범주를 구현하고,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에 "감독" 기능을 추가했다.

이 사건에 대한 사회적 반응도 있었다. 2005년, 과학 저널 *네이처*는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네이처는 각 백과사전의 과학 분야 항목 42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전문가들에게 내용의 정확성을 평가받도록 했다. 그 결과,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오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네이처는 위키백과가 개방형 편집 시스템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4. 사회적 반응 및 논란

시겐설러 사건 이후, 위키백과는 "결함이 있고 무책임한 연구 도구"라는 비판을 받았다. 온라인 플랫폼의 책임 문제에 대한 논의가 촉구되었으며, 위키백과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언론에서는 위키백과의 개방형 편집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는 비판이 나왔다.

위키미디어 재단의 설립자 지미 웨일스는 가짜 정보 감지에 실패한 점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그는 신규 계정 정책을 도입하고 편집 제한을 시행했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의 전기에 대한 새로운 추적 범주를 구현하고,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에 "감독" 기능을 추가했다. 이러한 조치는 위키백과의 정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2005년, 과학 저널 *네이처*는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네이처는 각 백과사전의 과학 분야 항목 42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전문가들에게 내용의 정확성을 평가받도록 했다. 그 결과,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오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네이처는 위키백과가 개방형 편집 시스템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4. 1. 시겐설러의 공적인 반응

시겐설러는 통신 품위법 230조에 대해 비판하며 웹에 대한 정부 규제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가정에 동의하지 않으며, 위키백과와 관련된 모든 것을 거부했다.

4. 2. 위키미디어 재단의 반응

지미 웨일스 위키미디어 재단 설립자는 가짜 정보 감지를 실패한 것에 대해 인정했다. 그는 새로운 계정 정책을 도입하고 편집 제한을 시행했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의 전기에 대한 새로운 추적 범주를 구현하고, 미디어위키 소프트웨어에 "감독" 기능을 추가했다. 이러한 조치는 위키백과의 정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4. 3. 기타 반응

2005년, 과학 저널 *네이처*는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네이처는 각 백과사전의 과학 분야 항목 42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전문가들에게 내용의 정확성을 평가받도록 했다. 그 결과, 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오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네이처는 위키백과가 개방형 편집 시스템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5. 사건의 영향 및 교훈

위키백과는 신뢰성 논란에 휩싸이며, 정보 검증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시겐설러 사건은 온라인 플랫폼의 익명성에 대한 책임과 허위 정보 유포 방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시켰다. 이 사건은 온라인 정보의 무분별한 확산과 그로 인한 피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다.

6. 대한민국의 온라인 환경에 주는 시사점

대한민국의 온라인 환경은 시겐설러 사건과 유사한 허위 정보 유포, 명예훼손, 여론 조작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익명성이 보장되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정보 접근성이 높은 위키백과 한국어판과 같은 플랫폼은 허위 정보의 온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있는 운영이 중요하다. 플랫폼 사업자는 허위 정보 유포를 방지하기 위한 자율 규제를 강화하고, 혐오 표현 및 명예훼손 게시물에 대한 삭제, 계정 제재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야 한다. 또한, 가짜 뉴스 감별 기술을 개발하고 도입하여 허위 정보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

다음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감시 및 처벌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허위 정보 유포 행위에 대한 법적 처벌을 강화하고, 사이버 명예훼손 등 관련 법규를 정비해야 한다. 또한, 허위 정보 유포자를 추적하고 처벌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온라인 상의 불법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하며, 정치적 의도를 가진 검열이나 탄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들의 비판적인 정보 수용 태도가 중요하다. 사용자들은 특정 정보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다양한 출처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고, 팩트 체크를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또한, 허위 정보를 발견했을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하고,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언론과 시민단체는 이러한 팩트 체크 활동을 지원하고, 대중의 정보 판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캠페인을 실시해야 한다.

참조

[1] 뉴스 Wikipedia to Limit Changes to Articles on People https://www.nytimes.[...] 2012-04-07
[2] 뉴스 A false Wikipedia 'biography' http://usatoday30.us[...] 2013-10-27
[3] 뉴스 The State of the News Media 2006 http://stateofthemed[...] 2009-09-14
[4] 웹사이트 Wikipedia: "A Work in Progress" http://www.businessw[...] Bloomberg Businessweek 2013-10-16
[5] 웹사이트 First edit to Seigenthaler's biography page https://en.wikipedia[...] Wikipedia 2022-08-24
[6] 뉴스 Seigenthaler battles online encyclopedia http://www.t-g.com/s[...] 2006-02-13
[7] Webarchive http://en.wikipedia.[...] 2022-06-09
[8] Webarchive http://en.wikipedia.[...] 2021-11-22
[9] 서적 The World and Wikipedia: How we are editing reality https://archive.org/[...] Siduri
[10] 웹사이트 Is Wikipedia safe from libel liability? https://www.cnet.com[...] 2021-01-25
[11] 웹사이트 In search of the Wikipedia prankster http://news.cnet.com[...] CNET 2014-07-03
[12] 웹사이트 Founder shares cautionary tale of libel in cyberspace http://www.firstamen[...] First Amendment Center 2011-10-04
[13] 뉴스 The wiki principle https://www.economis[...] 2021-11-22
[14] 웹사이트 Man who posted false Wikipedia bio apologizes to Seigenthaler http://www.firstamen[...] 2022-07-12
[15] 뉴스 Author apologizes for fake Wikipedia biography https://www.usatoday[...] 2013-10-27
[16] 간행물 Wikipedia and Beyond: Jimmy Wales' sprawling vision http://reason.com/ar[...] 2016-03-08
[17] 웹사이트 Wikipedia and Seigenthaler; Restricted editing https://en.wikipedia[...] 2021-11-23
[18] 웹사이트 New revision-hiding feature added https://en.wikipedia[...] 2015-02-23
[19] 웹사이트 Office actions https://en.wikipedia[...] Wikimedia Foundation 2021-11-23
[20] 웹사이트 The New York Times Business editor Larry Ingrassia's memo "Wiki-whatdia?" http://poynter.org/f[...] 2005-12-07
[21] 뉴스 "There's no Wikipedia entry for 'moral responsibility'"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UK) 2017-08-10
[22] 뉴스 Growing pains for Wikipedia http://news.cnet.com[...] CNET 2014-07-03
[23] 간행물 Special Report: Internet encyclopaedias go head to head 2005-12-15
[24] 뉴스 Wikipedia to Limit Changes to Articles on People https://www.nytimes.[...] 2012-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