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는 2009년에 명명된 쌀쥐의 일종이다. 볼리비아 동부의 좁은 지역에서 발견되며, 이색나무쌀쥐보다는 크고, 단색나무쌀쥐와 마모레나무쌀쥐보다는 작은 중간 크기의 쌀쥐이다. 털은 부드럽고 짧으며, 등 쪽은 황토색 갈색, 배 쪽은 회색을 띤다. 주로 계절성 범람원 초원의 작은 삼림지대에서 발견되며, 수목성으로 추정된다. 생태, 행동, 식단, 번식 또는 보존 상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기재된 포유류 - 비숍이끼쥐
    비숍이끼쥐는 뉴기니섬의 산악 이끼숲에 서식하는 몸길이 10~15cm의 야행성 잡식성 설치류로, 뛰어난 나무 타기 능력과 짝짓기 시 수컷의 구애 행동을 보이며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2009년 기재된 포유류 - 황금건초지사향고양이
    황금건초지사향고양이는 황금빛 갈색 모피와 짙은 갈색 줄무늬를 가진 아시아사향고양이속의 한 종으로, 스리랑카의 하푸탈레와 윌파투 국립공원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남아메리카 지도, 콜롬비아 남동부, 베네수엘라 남부, 브라질 북서부가 녹색으로 표시됨; 볼리비아 북동부의 좁은 띠가 빨간색으로 표시됨; 볼리비아 동부 대부분, 파라과이 대부분, 인근 브라질이 짙은 파란색으로 표시됨; 아르헨티나 북동부의 작은 지역이 밝은 파란색으로 표시됨.
"콘컬러나무쌀쥐(Oecomys concolor) (녹색),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 (빨간색), 마모레나무쌀쥐(Oecomys mamorae) (짙은 파란색), 마모레나무쌀쥐와 가까운 나무쌀쥐(Oecomys) (밝은 파란색)의 분포"
기본 정보
학명Oecomys sydandersoni
명명자Carleton, Emmons, & Musser, 2009
무게45g

2. 분류학

1964년1965년미국 자연사 박물관 탐사팀을 이끈 시드니 앤더슨(Sydney Anderson)이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의 표본 3점을 처음 수집했다.[23] 이 표본은 이 지역 털진드기에 대한 보고서에서 언급되었고,[24] 1990년대 출판에서 ''O. concolor''라는 학명으로 임시 동정되었다.[25]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노엘 캠프 메르카도 국립공원(NKMNP)에서의 연구에서 스미스소니언 협회 동물학자 엠몬스(Louise Emmons)와 동료 연구자는 이색나무쌀쥐(''O. bicolor''), 로버트나무쌀쥐(''O. roberti''), 긴털쌀쥐(''O. trinitatis''), 종 수준을 식별할 수 없는 4번째 종을 포함하여 일련의 나무쌀쥐속 4종을 입수했다.[26] 2009년 칼레톤(Michael Carleton)과 엠몬스, 무세르(Guy Musser)가 후자를 1960년대 수집했고 이전에 이색나무쌀쥐(''O. bicolor'')로 식별했던 표본을 참고하여 신종 ''Oecomys sydandersoni''로 기재했다.[27] 일반명은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 첫 표본 수집을 포함하여 볼리비아 포유류 동물상을 연구한 시드니 앤더슨(Sydney Anderson)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28]

근연종은 브라질 북서부와 베네수엘라 남부, 콜롬비아 동부를 포함한 아마존 우림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단색나무쌀쥐볼리비아파라과이, 브라질 인근 지역에서 발견되고 아르헨티나 북동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이는 마모레나무쌀쥐로 추정된다.[29] 이 3종은 파생된 경동맥 순환 패턴으로 알려진 머리 동맥의 특별한 구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나무쌀쥐속에서 독특한 특징이지만[30] 다른 형질에서는 일반적인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23] 그러나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는 다른 종들과 털과 신체 치수 특징에서 차이가 난다.[31] 3종이 확실히 근연종 관계를 갖고 있는 지는 분자생물학 정보를 사용해서 결정해야 한다.[23]

3종 모두, 남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 남부 우림 서식지에 분포하는 약 15종을 포함하고 있는 나무쌀쥐속의 일부이다.[30] 나무쌀쥐속은 100종 이상의 아메리카 설치류의 다양한 조합인 쌀쥐족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32] 수백 종의 작은 설치류를 포함하고 있는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로 분류된다.[33]

3. 특징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는 나무쌀쥐속 중에서 중간 크기의 쌀쥐로, 이색나무쌀쥐보다는 크지만 마모레나무쌀쥐보다는 작다. 털은 짧고 부드러우며, 등 쪽은 밝은 황토색빛 갈색부터 연한 황갈색을 띠고 배 쪽은 회색이다. 턱과 목의 털, 배 일부는 완전히 희다. 머리는 회색빛을 띠고 눈꺼풀은 검으며, 귀에는 짧은 털이 덮여 있고 갈색 또는 회색빛 갈색을 띤다.[35]

뒷발은 짧고 넓으며[36] 때묻은 흰색이다.[35] 발바닥과 발가락의 털뭉치, 긴 다섯번째 발가락 등 나무쌀쥐속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꼬리 길이는 평균 몸길이보다 약간 길지만,[36] 나무쌀쥐속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짧다.[37] 꼬리는 균일한 갈색을 띠지만 피부 쪽은 약간 희미한 부분이 있다. 듬성듬성 털이 난 꼬리는 끝이 검다. 성적이형성에 대한 정보는 없다.[36]

두개골은 짧은 앞부위(주둥이)와 넓은 안와간 부위(두 눈 사이)를 보인다. 두개 덮개는 안와상 판을 통해 드러난다. 구개 앞 부분의 구멍인 절치공은 아주 넓고 첫번째 어금니까지 이어진다. 광대뼈 판은 확장되어 있고 앞 쪽 끝에 잘 발달된 절흔이 보인다. 구개는 편평하고 제3 어금니 뒤에서 살짝 끝난다. 제3 어금니 근처의 후외측 구개 구멍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익상돌기 사이의 개구는 둥글고 넓다. 익설골 지주로 알려진 익설골이 확장된 부분이 보통 2개의 난원형 보조 구멍과 저작근-협근 구멍(개구)으로 분리하고 있다. 고실막 덮개는 작다.[36]

3. 1. 측정값

20개 표본 측정값[34]
측정치범위평균
몸길이109mm~166mm125mm
꼬리 길이115mm~145mm132.8mm
뒷발 길이21mm~27mm24.1mm
귀 길이15mm~19mm16.4mm
몸무게30g~57g44.9g


4. 분포 및 생태

볼리비아 동부 베니 주와 산타크루스 주에 분포하며, 모식산지가 위치한 노엘 캠프 메르카도 국립공원을 포함한다.[38][17] 대부분의 표본은 계절성 범람원 초원의 작은 삼림지대에서 발견되는데, 이곳은 설치류가 가장 자주 발견되는 곳이다. 근연종인 이테네스강쌀쥐와 가시쥐 긴꼬리가시쥐, 주머니쥐 린네쇠주머니쥐도 같은 서식지에서 발견된다.[39] 이 종은 더 연속적인 숲이나 숲이 없는 넓은 초원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19] 따라서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는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는 좁은 서식지 전문종으로 간주된다. 노엘 캠프 메르카도 국립공원에서는 이 종 외에도 ''힐라에아미스 아크리투스'', 아코돈족 설치류 ''유스셀리노미스 과포렌시스''와 ''유스셀리노미스 완차카에'', 주머니쥐 ''크립토나누스 운두아비엔시스'' 등 좁은 분포를 가진 여러 종이 함께 발견된다.[2]

노엘 캠프 메르카도 국립공원에서 발견된 모든 표본은 식물 위에서 채집되었으며,[18] 이는 이 종이 다른 근연종처럼 수목성임을 시사한다.[20] 시드니앤더슨나무쌀쥐에서는 털진드기의 일종인 ''유트로미쿨라 바타타스''가 발견되었다.[3] 생태, 행동, 식단, 번식, 보존 상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21]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Carleton et al., 2009
[37] 논문 Carleton et al., 2009
[38] 논문 Carleton et al., 2009
[39] 논문 Carleton et al.,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