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위병 (핀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민위병(핀란드)은 20세기 초 핀란드의 러시아화에 대한 반발과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발생한 권력 공백을 배경으로 결성된 준군사 조직이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의 권력이 붕괴되면서 핀란드 내 질서 유지를 위해 창설되었으나, 적위대와 백위대로 분열되어 무력 충돌을 겪었다. 핀란드 내전에서 백위대는 승리했지만, 이후 백색 테러로 비판받았다. 백위대는 내전 이후 사회 활동과 국민 통합에 기여했으나, 정치적 갈등과 극우 세력과의 연계 의혹으로 논란이 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 조약에 따라 해산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핀란드 사회에서 논쟁적인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민병 - 바스크 조국과 자유
바스크 조국과 자유(ETA)는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독립을 목표로 1959년 결성된 무장 분리주의 단체로, 무장 투쟁, 테러 활동, 정치 단체와의 연계 등으로 바스크 분쟁의 주요 당사자였으나 2011년 무력 활동 중단, 2018년 최종 해체를 선언했다. - 유럽의 민병 - 프랑스 민병대
프랑스 민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에서 조직되어 레지스탕스 진압, 치안 유지, 유대인 강제 수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 준군사 조직으로, 극우 성향 인사와 친독 협력자들이 주축이었으나 해방 후 보복과 처벌을 받았다. - 핀란드의 준군사조직 - 비엔티라우하
비엔티라우하는 1930년대 초 핀란드에서 파업 파괴를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로, 마르티 피칼라가 주도하여 백위대를 통해 파업 파괴자를 모집하고 항만 파업 무력화에 활용되었으나, 1940년 겨울 전쟁 중 운영이 종료되었으며, 노동 운동과 고용주 간의 갈등 속에서 핀란드 경제 주요 인물들에 의해 설립되어 핀란드 사회 내에서 평가가 엇갈린다. - 핀란드의 준군사조직 - 핀란드 국경경비대
핀란드 국경경비대는 핀란드의 육상 및 해상 국경을 보호하고, 여권 통제를 수행하며, 영토 침략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19년에 창설되어 핀란드 내전 이후 국경 통제를 담당해왔다. - 핀란드 국민주의 - 라푸아 운동
라푸아 운동은 1929년 핀란드에서 반공주의, 루터교,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시작되어 좌파 및 노동계 활동을 방해했으나, 과격한 행보로 인해 불법화되었다. - 핀란드 국민주의 - 페노마니아
페노마니아는 크림 전쟁 이후 핀란드에서 일어난 민족주의 운동으로, 핀란드어와 문화를 국가의 핵심으로 격상시키고 핀란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시민위병 (핀란드)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원래 이름 (핀란드어) | Suojeluskunta |
원래 이름 (스웨덴어) | Skyddskår |
번역 | 보호 군단 |
조직 정보 | |
창설 | 1918년 8월 |
이전 조직 | 국민위병 |
해산 | 1944년 11월 |
후신 | 핀란드 방위군 |
관할 지역 | 핀란드 |
조직 유형 | 자원 민병대 |
지도부 | |
지도자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
군사 정보 | |
이념 | 반공주의 핀란드 국민주의 |
동맹 | 독일 제국 육군 |
적대 세력 | 적위대 붉은 군대 독일 국방군 |
2. 역사적 배경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은 핀란드의 자치 지위 폐지를 추진하여 핀란드 사회에 강한 불만을 야기했다. 1905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면서 1905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났고, 핀란드에서는 1905년 핀란드 총파업으로 나타났다.[1]
총파업 기간 동안 핀란드 경찰은 러시아 당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실상 해산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을 비롯한 여러 단체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보안군을 조직했다. 처음에는 모든 정치 단체가 함께 활동했지만, 1906년 무렵 대도시의 시민군은 당파에 따라 분열되었다. 1906년 7월 헬싱키에서 적위대와 백위대 간의 첫 번째 폭력 충돌이 발생했지만, 핀란드의 자치가 회복된 후 온건한 사회민주당과 헌법 정당은 군사 활동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헬싱키의 급진화된 적위대는 해산되지 않고 혁명적이고 반제국주의적인 러시아 군인들과 함께 비아포리 요새 반란에 참여했고, 이어진 전투에서 차르 러시아군에 의해 조직적으로 파괴되었다.
2. 1. 러시아 혁명과 핀란드의 혼란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면서 핀란드에서는 러시아의 정치적, 군사적 권력이 무너졌다. 러시아화 정책으로 인해 핀란드 경찰은 사실상 해산되었고, 훈련받지 못한 러시아 군인들은 주로 자신의 장교들에게 폭력을 행사했다.[1] 1917년 여름, 보호와 질서 유지를 위해 준군사 조직인 "소방대"가 초당파적으로 결성되기도 했지만, 1917년 가을 무렵 사회는 두 파벌로 갈라졌다.
처음에는 비무장이었던 적위대와 백위대는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적위대는 혁명적인 러시아 군 부대로부터, 백위대는 해외의 스웨덴 및 독일 지지자들로부터 무기를 획득했다. 이와 함께 사회주의자와 비사회주의자 사이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 내부에서는 공식 지도부가 제 역할을 못하고, 적위대 집행위원회와 노동 조합이 더 큰 권력을 쥐게 되었다.
3. 핀란드 내전과 백위대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가 이끄는 상원은 독립 선언을 제안했고, 의회는 1917년 12월 6일에 이를 채택했다. 그러나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했지만, 영토를 통제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였다. 당시 핀란드에는 42,500명의 러시아 군인이 주둔하고 있었고, 이들은 사기가 저하되고 훈련이 부족하여 핀란드 당국에 큰 위협이 되었다.
의회에서는 새로운 치안 부대를 구성하는 문제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1918년 1월 13일, 비사회주의 다수는 상원에 백군을 중심으로 경찰력을 조직할 권한을 부여했다. 곧 상원은 만네르헤임 장군에게 백군 민병대를 기반으로 새로운 핀란드 군대를 창설하도록 요청했다. 1918년 1월 27~28일 밤, 백군은 오스테르보트니아에서 러시아 주둔군을 무장 해제하고 체포하기 시작했다. 같은 날 밤, 적군의 집행위원회는 헬싱키에서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을 선포하면서 핀란드 내전이 시작되었다.
전쟁 초기에는 백군과 적군 모두 전투 훈련을 받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백군은 1915년부터 독일에서 훈련받은 약 1,900명의 핀란드 예거 부대[2]와 스웨덴 자원병, 러시아 제국군 출신 핀란드 장교들을 보유하고 있어 더 나은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전쟁 초반에는 백군의 자원병들이 주축을 이루었지만, 징집병 부대가 빠르게 성장하여 백군의 주력 부대가 되었다. 반면 적군은 징집에 실패하여 패배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1. 백군의 승리와 백색 테러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가 이끄는 상원이 독립을 선언한 후, 만네르헤임 장군의 지휘 아래 백군은 핀란드 내전에서 승리했다. 이 과정에서 백군은 독일의 지원과 1915년부터 독일에서 훈련받은 약 1,900명의 핀란드 예거 부대의 활약에 힘입었다.[2] 스웨덴에서 온 1,200명의 자원병(대부분 장교)과 혁명 이후 귀국한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했던 상당수의 핀란드 장교들도 백군에 합류했다.
그러나 백군은 내전 승리 과정에서 '백색 테러'를 자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적군이 자신들의 통제 구역에서 약 1,100명을 살해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백군은 적군 지역을 재탈환한 후 약 7,370명을 가혹하게 처형했다. 약 4,000명의 백군과 4,500명의 적군이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1918년의 기근으로 20,000명이 더 목숨을 잃었다. 또한 약 13,000명이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이러한 잔혹하고 보복적인 태도로 인해 백군은 적군 사이에서 'Lahtarikaarti'(도살자 경비대)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4. 내전 이후 백위대의 역할과 활동
내전 이후 백위대의 기능은 명확하지 않았다. 일부 지방 자치 단체는 지역 백위대를 지방 행정부의 일부로 보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전쟁의 결과를 지키는 정치적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여겨졌다.[3] 1918년 8월 2일 핀란드 국무원의 법령으로 백위대는 법적 근거를 얻었고, 조직 구조 개선을 위한 법령 수정이 이루어졌다. 백위대는 핀란드 군대의 자발적인 일부로 간주되었다.[4]
겨울 전쟁까지 20년 동안, 지역 백위대는 재향군인회와 향토 방위군의 역할을 함께 수행했다. 1921년 이후 백위대는 참모 본부, 백위대 지구, 지역 백위대 지부로 구성되었다. 각 지방 자치 단체에는 최소 하나의 지부가 있었고, 이들은 비정부 기구(NGO) 역할을 하면서도 군사 문제에서는 국가 지휘 체계의 일부였다. 각 지부는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했지만, 국가 예산에서 소액의 보조금을 받았다.[5]
백위대장과 지구 사령관은 핀란드 대통령이 임명했다. 1921년부터 해산될 때까지 라우리 말름베르그 장군이 이 직책을 맡았다. 지구 사령관과 지구 본부 장교 대부분은 정규군 출신이었다.
17세에서 40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만이 백위대의 정식 회원이 될 수 있었고, 회원은 일정량의 훈련을 받아야 했다. 회원들은 자체 장비와 소총을 구매해야 했지만, 지역 지부에서 지원을 하기도 했다. 1934년까지 백위대는 전면 동원 시 사단을 구성할 수 있었다.[8]
1934년 핀란드의 동원 시스템이 변경되면서 군사 지구가 지역 동원 센터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는 백위대 지구와 일치했다. 동원 시 두 조직은 통합되었고, 백위대 회원들은 전시 부대의 간부를 형성했지만, 별도의 경비대 부대는 계획되지 않았다. 백위대의 목표는 전투 부대 제공에서 예비군 훈련 조직으로 바뀌었다. 동부 국경에 인접한 경비대 지부만이 초기 방어 책임을 맡았다.[9] 이는 백위대가 별도의 정치적 무력 부대로서의 역할을 사실상 종식시켰음을 의미한다.
전쟁 기간 동안 경비대 회원들은 주로 전선에서 복무했다. 후방 지역에서 경비대 지구는 군사 지구의 지역 본부 역할을 했고, 고령 및 어린 경비대 회원들은 경비 및 대공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계속 전쟁 이후 핀란드 백위대는 소련의 요구로 1944년 11월 해산되었다.[10] 군사 지구 시스템은 동원의 기반으로 유지되었고, 현재는 완전한 군대 구조로 유지되고 있다. 겨울 전쟁에서 백위대는 동원을 담당했고, 야전군 병력의 4분의 1이 경비대 회원이었다. 이들은 기본적인 물품조차 부족한 군대에서 가장 훈련되고 장비를 잘 갖춘 인력이었다.
4. 1. 다양한 사회 활동과 국민 통합 노력

백위대는 군사 훈련 외에도 크로스컨트리 스키, 사격, 오리엔티어링, 핀란드 야구와 같은 스포츠 활동을 장려하고, 수많은 비공식 행사와 복권을 조직하여 자금을 모금했다.[6] 핀란드에서 열린 전체 모임의 약 5분의 1이 백위대에 의해 조직되었을 정도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또한, 백위대는 수백 개의 합창단, 오케스트라 및 극단을 운영하며 문화 예술 활동도 지원했다.[7] 이처럼 백위대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핀란드 사회 통합에 기여했다.
5. 정치적 갈등과 해산
내전 이후 백위대의 기능은 불분명했다.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지역 백위대가 지방 행정부의 일부로 이해되었고, 다른 곳에서는 전쟁의 결과를 보호하는 데 주된 정치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3] 1918년 8월 2일 핀란드 국무원의 법령에 의해 법적 근거를 부여받았으며, 조직 구조 개선을 위해 법령이 수정되었다. 백위대는 처음부터 핀란드 군대의 자발적인 일부로 간주되었다.[4]
1921년 이후 백위대 조직은 참모 본부, 백위대 지구 및 지역 백위대 지부로 구성되었다. 모든 지방 자치 단체에는 최소 하나의 지부가 있었으며, 이 지부는 일부는 비정부 기구(NGO) 역할을 했지만 군사 문제에서는 국가 지휘 체계의 일부였다.[5] 각 지부는 자체 자금 조달을 책임졌지만, 국가 예산에서 소액의 보조금을 받았다.[5] 백위대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사격, 오리엔티어링, 핀란드 야구와 같은 스포츠 활동을 조직했다.[6] 자금 모금을 위해 지부들은 수많은 비공식 행사와 복권을 조직했고, 핀란드에서 열린 모든 모임의 약 5분의 1이 백위대에 의해 조직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위해 백위대 지부는 수백 개의 합창단, 오케스트라 및 극단을 운영했다.[7]
백위대장과 지구 사령관은 핀란드 대통령이 선출했다. 1921년부터 조직이 해체될 때까지 이 직책은 백위대 사건 이후 라우리 말름베르그 장군이 맡았다. 일반적으로 지구 사령관과 지구 본부의 대부분의 장교는 정규군 출신이었다.
1934년 핀란드의 동원 시스템 변경으로 백위대의 역할은 예비군을 위한 자발적인 훈련 조직으로 변화하였다. 동부 국경에 인접한 경비대 지부만이 침략에 대한 초기 방어를 시작할 책임이 있었고, 이는 별도의 정치적 무력 부대로서 백위대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9]
1930년대에 백위대와 사회주의자 간의 냉랭한 관계는 완화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 사회주의자들은 백위대의 해산을 요구했지만, 멘살라 반란 당시 백위대 지도부와 대다수의 대원들이 정부에 충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요구는 백위대를 공식적인 군의 일부로 만드는 것으로 바뀌었다. 백위대와 노동 운동 간의 정치적 갈등은 겨울 전쟁 동안 해소되었다. 1940년 2월 15일 백위대 지도부와 사회민주당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여 백위대 지도부가 지역 백위대에 사회주의자를 모집할 것을 권고하고, 당 지도부는 당원들에게 백위대에 가입할 것을 권고했다. 동시에, 고용주 단체는 노동조합과의 단체 교섭 협약에 동의했다. 백위대의 비사회주의 정당과의 관계는 대부분 우호적이었다. 백위대는 비사회주의 정치적 견해를 구별하지 않았으며 모든 비사회주의 정당의 지지를 받았다.
5. 1. 몐챌래 반란과 극우 세력과의 연계 의혹
1932년 몐챌래 반란은 백위대 내 일부 극우 세력과 핀란드 정부 간의 충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10] 이 사건으로 인해 백위대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백위대의 일부 급진적인 세력이 극우 세력과 연계되면서, 비사회주의 정당들과의 우호적인 관계가 악화되기도 하였다.[10]5. 2. 제2차 세계 대전과 해산
겨울 전쟁과 계속 전쟁 기간 동안 백위대원들은 주로 전선에서 복무하였다. 후방 지역에서는 백위대 지구가 군사 지구의 지역 본부 역할을 하였고, 가장 나이가 많거나 어린 백위대원들은 경비 및 대공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10] 1941년 홀롤라 등 후방에서 소규모 강하 작전이 있기도 했다.[10] 계속 전쟁 이후 핀란드 백위대는 소련의 요구에 따라 1944년 11월 해산되었다.[10] 그러나 동원의 기반으로서 군사 지구 시스템은 유지되었고, 현재는 완전한 군대 구조로 유지되었다. 겨울 전쟁에서 백위대는 동원 수행을 담당했다. 야전군 병력의 4분의 1이 백위대 회원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백위대 회원들이 기본적인 물품조차 부족한 군대에서 가장 훈련되고 장비를 잘 갖춘 인력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기여였다.[10]6. 유산과 평가
파리 조약(1947년)에 따라 소련은 백위대와 로타 스베르드를 파시스트 조직으로 간주하여 해산시켰다.[10]
백위대 해산은 이후 수십 년 동안 핀란드의 자발적인 군사 훈련을 사실상 종식시켰다. 백위대의 스포츠 활동은 일반 시민 스포츠 협회가 인수했고, 국가 방위 정신을 심어주는 심리적 작업은 예비군 협회가 계속했다. 그러나 백위대 자체는 여전히 정치적 입장에 따라 사람들을 분열시키는 논쟁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6. 1. 핀란드 국방 훈련 협회와 지역 방위군
소련 붕괴 이후 핀란드는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의 군사 조항을 일방적으로 폐기했다. 이에 따라 총력 방위와 관련된 분야에서 활동하는 비정부 기구들이 핀란드 국방 훈련 협회(Maanpuolustuskoulutus ryfi)를 결성하여 국방군과 연계, 주로 핀란드 방위군 예비군을 위한 보충 자발적 훈련을 시작했다.[10] 이 활동의 법적 근거는 1994년 국방군법 개정을 통해 제공되었으며, 2007년 자발적 방위 활동법에 의해 보다 정확한 근거가 제공되어 협회는 정치적 국가 통제하에 있는 명목상 독립적인 공공 기관이 되었다. 핀란드에서 백위대의 유산은 매우 복잡하므로 국방 훈련 협회는 스스로 백위대의 후계자로 여기지 않는다.[10]2007년에는 예비군으로 구성된 자원 군사 조직인 지역 방위군의 창설이 시작되었다. 일부 정치 단체는 이 부대가 1944년에 파시스트 조직으로 폐지된 백위대와 너무 가깝다며 비판했지만, 지역 방위군은 백위대와 달리 핀란드 방위군의 완전한 통제를 받는다.[10]
6. 2. 역사적 논쟁과 재평가
내전 이후 백위대의 기능은 불분명해졌다. 1918년 8월 2일 핀란드 국무원의 법령에 의해 법적 근거를 부여받았고, 조직 구조 개선을 위해 법령이 수정되었다. 백위대는 핀란드 군대의 자발적인 일부로 간주되었다.[4] 1921년 이후 백위대 조직은 참모 본부, 백위대 지구 및 지역 백위대 지부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지방 자치 단체에 최소 하나의 지부가 있었다.[5] 백위대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사격, 오리엔티어링, 핀란드 야구 등 스포츠 활동을 조직하고, 자금 모금을 위해 행사와 복권을 조직했다.[6]1934년 핀란드의 동원 시스템 변경으로 백위대 회원들은 모든 전시 부대의 간부를 형성했지만, 별도의 전시 백위대 부대는 동원 계획에서 제거되었다. 백위대의 목표는 예비군을 위한 자발적인 훈련 조직으로 바뀌었으며, 동부 국경에 인접한 경비대 지부만이 초기 방어 책임이 있었다.[9] 이는 백위대의 정치적 무력 부대로서의 역할을 종식시켰다.
겨울 전쟁 동안 백위대 지도부와 사회민주당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여 화해했다. 백위대 지도부는 지역 백위대에 사회주의자를 모집할 것을 권고했고, 사회민주당 지도부는 당원들에게 백위대에 가입할 것을 권고했다.[10]
파리 조약 (1947년)에 따라 소련은 백위대를 파시스트 조직으로 간주하여 해산시켰다.[10] 백위대의 해산은 이후 수십 년 동안 핀란드의 자발적인 군사 훈련을 종식시켰다. 백위대의 스포츠 활동은 일반 시민 스포츠 협회가 인수했고, 국가 방위 정신을 심어주는 심리적 작업은 예비군 협회가 계속했다.
소련 붕괴 이후 핀란드는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의 군사 조항을 폐기했다. 총력 방위 관련 비정부 기구들이 핀란드 국방 훈련 협회(fi: Maanpuolustuskoulutus ry)를 결성하여 국방군과 연계, 예비군을 위한 보충 훈련을 시작했다. 2007년에는 지역 방위군이 창설되었으나, 일부 정치 단체는 백위대와 너무 가깝다며 비판했다.
참조
[1]
서적
Suomen kansallislakko : Helsinki
Alex F. Lindberg
1907
[2]
간행물
From Underground Terrorism to State Terrorism and Beyond: The Question of Terrorism in the Finnish Jäger Movement during and after the First World War
2018-09-03
[3]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4]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5]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6]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7]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8]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9]
서적
Sarkatakkien armeija – Suojeluskunnat ja suojeluskuntalaiset
WSOY
2004
[10]
웹사이트
Suojeluskunnat {{!}} Arkistojen Portti
https://portti.kansa[...]
[11]
웹사이트
Inboerdeskriget < Uppslagsverket < TWiki
http://www.uppslagsv[...]
2014-01-22
[12]
웹사이트
Palasuomenhistoriaa.net
http://www.palasuome[...]
[13]
URL
https://portti.kansa[...]
[14]
웹사이트
Siirto
http://digi.narc.fi/[...]
2024-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